아시아인의 삶에 대한 의식: 최근 10개국 설문 조사 결과 분석

노익상 (한국리서치)

한국리서치가 칸타(Kantar) 그룹의 의뢰로 매년 실시하고 있는 TGI-GQV(Target Group Index-Global Quick View)[1] 의 최근 설문조사에 의하면 근대화로 인한 엄청난 사회변동에도 불구하고 아시아인은 여전히 인간관계와 전통적인 관습을 매우 존중한다. 한편 아시아인은 창의적이거나 모험적이라고 스스로 생각하지는 않으나, 변화에 적응하여 더 높은 지위에 오르고자 하는 도전정신은 강하다. 이들은 젊게 보이고 싶으나 유행에 민감하지는 않고, 스스로 신앙심이 강하다고 여기지는 않는다.


[1] TGI-GQV는 1979년부터 사람들의 삶의 의식, 미디어와 SNS 접촉, 80의 상품/서비스 사용실태를 조사하고 있다. 이 자료는 세계 35개국중 아시아 10개국 (한국, 중국, 일본, 대만, 홍콩, 필리핀, 태국,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인도)의 16세 이상 27,882명을 대상으로 2021-2022년에 조사한 <삶의 의식>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이다. 

아시아인은 인간관계와 전통-관습을 중시

이번 조사에서 삶의 의식을 묻는 설문은 모두 12개로서 전통과 관습에 대한 태도에 관한 3개 문항, 현대적 개인적 가치에 관한 5개 문항, 독립적인 4개 문항 등을 포함하고 있다(부록1 참조). 먼저 전통과 관습에 대한 태도를 보면 3개 문항 중에서 한 파트너와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문항에 아시아인들은 80% 이상이 동의하고 있다(5점 만점에 평균 4.22). 인간관계는 아시아인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지켜야 할, 소중한 재산이다. 이해관계보다 사람들 간의 정을 중요시하는 아시아인의 가치관을 엿볼 수 있다. 이런 태도는 한국,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인도에서 모두 나타나고 있다. 아시아가 근대화, 산업화, 정보화, 세계화 등으로 인해 엄청난 사회 변동을 겪었지만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가치관은 여전히 강하다고 볼 수 있다. 그 다음, 전통적인 관습과 믿음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문항에는 74%가 동의하고 있다(평균 3.98). 특히, 일본과 싱가포르에서 동의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다. (Hankook Report에 의하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필리핀이 높은 편이고, 대만, 인도, 홍콩, 태국, 일본, 중국, 한국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한국, 중국에서도 높기는 하나, 앞의 2개국에 비하여는 낮다. 1인당 국민소득이 더 많은 나라에서 전통-관습의 중요도가 더 높고 가장 역사가 오래된 국가에서 중요도가 낮은 이유는 무엇일까? 관습에 오랫동안 너무 많이 얽매였기 때문일까? 혹은 문화적인 충격이 컸던 역사 때문일까? ‘전통-관습의 범주에 속하는 세 번째의 문항은 즐거움을 위해 사는 것보다 의무를 다 하는 것이 중요하다인데, 동의율이 50%수준(평균 3.69)으로 앞의 두 문항보다 동의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인간관계와 전통-관습은 중요하지만, 그래도 의무보다는 즐거움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권위에 의한 의무를 강조하기보다는 인간관계와 전통을 중시하는 가운데 삶을 즐기고자 하는 정서가 그들의 역사 속에 이어져 나오고 있는 것 같다.      

아시아 음식 역사가 인간관계-전통을 중시하는 민중사

아시아인이 인간관계와 전통-관습을 중요시하는 생각은 이들의 식생활에서 그 단면을   볼 수 있다. 아시아는 각 국가마다 나름대로의 고유한 전통 음식이 있다. 한국, 중국, 일본은 지역적으로 가까워도 음식의 맛과 향은 천지 차이이다. 예컨대 중국이나 일본의 김치에 비해 한국 김치는 매우 독특하다. 동남아시아의 음식 맛은 해물을 발효시켜 만든 간장과 매운 고추를 사용하는 공통점이 있으나 각국마다 특징이 있다. 인도 또한 카레의 고유한 풍미가 강한 곳이며 넓은 대륙이어서 지방마다 그 맛과 향이 다르다. 민중은 지배계급과 달리 허기를 채우기 위하여 산, 들, 바다에서 무엇이든 먹어 보았을 것이다. 구황식품(救荒食品)이다. 그 중에서 무엇을 먹으면 위험하고 안전한지를 모두가 알 때까지 수 많은 가족, 친척, 이웃이 다치거나 죽었을 것이다. 그래서 그 나라의 음식역사는 그 민중들의 역사, 민중의 공동역사이다. 음식은 식구라는 표현에서 느낄 수 있듯이 사람들과 나누어 먹음, ‘같이 먹음의 철학을 담고 있다. 각 나라마다 천년 이상의 전통적인 향과 맛을 담고 있는 음식을 가족, 친구, 동료와 지금도 같이 먹고 있는 사람들, 그들의 식탁 위에는 인간관계와 전통 및 관습이 융합되어 있는 것 같다. 지금도 아시아 10개국의 사람들은 전통 음식을 비롯한 자기 선조들의 유산을 존중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조사 결과일 것이다.  

 아시아인의 높은 도전 정신

전통-관습의 문항에 비해 현대적 개인적 가치로 분류되는 5개 문항에 대해 아시아인들의 동의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 중, 나는 내 분야에서 최고의 자리에 오르고 싶다에 대한 동의율이 82%로 비교적 높다. 나머지 4개 문항, 즉 인생의 도전, 새로운 변화 추구가 75%, 나는 창의적인 사람이다 73%, 내가 나의 시간을 보내는 것이 돈을 버는 것 보다 더 중요하다 65%나는 모험심이 강하다에 72%가 동의함으로써 동의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아시아인들은 내가 모험적인 사람이나 창의적인 사람은 아닐지 몰라도 변화의 시대에 도전하여 자신의 분야에서 최고의 자리에 서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다. 희망과 야망은 있으나 자신감은 조금 적은 것으로 해석된다. “최고의 자리에 오를 수 있다는 사람들은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에서 더 많고, 한국과 일본서 조금 낮다. 이미 더 선진화되었거나 경쟁이 심한 동북아에 비해 동남 아시아 사람들은 근로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자기 주변에서 인생의 기회가 더 많다고 믿기 때문일 것이다. 

 가족 중시, 종교심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

10개 설문 문항 중에서 위의 두 범주로 분류되지 않은 독립 항목 중에서 가족들이 내가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의율이 78%로서 상대적으로 높다. 가족을 위한 , 가족이 인정하는 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10개국에서 모두 그 점수가 높다. 서구의 개인주의가 아시아 사회 전체에 침투했지만 아시아인에게 가족은 여전히 중요하다. 반면에 나는 종교적인 사람이다에 대한 동의율은 62%로서 상대적으로 낮다. 10개국에서 모두 낮다. 불교, 이슬람교, 힌두교, 기독교, 천주교가 퍼져 있는 아시아에서 나는 종교인이다라고 외치는 사람이 그렇게 많지 않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신앙의 강도가 약한 것일까, 혹은 이들에게 종교는 그냥 생활의 의식(儀式)적인 한 부분인가? 

 젊게 보이고 싶으나, 유행에 민감하지 않아 

또 다른 독립 설문 문항인 젊게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에 대한 동의율은 74%로서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반면  나는 최신 유행에 뒤지지 않는 것을 좋아한다에 대한 동의율은 67%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아시아 사람들은 젊게 보이는 것은 좋지만 그렇다고 유행을 따르고 싶은 충동은 강하지 않다. ‘젊다는 것과 유행을 따르는 것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다.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최근 아시아인의 가치관을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자. 아시아 10개국 사람들은 인간관계의 유지와 전통과 관습을 여전히 중요시하지만 의무에 매달리기 보다는 즐거움을 찾고 있으며, 비록 모험적이거나 창의적이지는 않더라도 변화에 도전하여 한 분야에서 최고의 자리에 오르고 싶은 욕망이 상대적으로 강하다.  ‘가족은 지금도 인생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지만 종교에 대한 의존도는 높지 않고, ‘젊게 보이는 것은 좋지만 유행에 민감하고 싶지는 않다는 태도이다. 

아시아 10개국 사람들은 가족 및 오랜 친구와 함께 퓨전 음식보다는 전통 음식을 즐기고 싶고, 종교에 의존하기 보다는 변화에 도전하여 자신만의 위치를 갖고 싶어하며, 그를 위하여 창의력과 모험심을 키우고자 노력하는 사람들이라고 요약할 수 있겠다. 그들의 민중사 속에서 면면히 이어져 나오고 있는 아시아 사람들의 음식, 그 풍미를 유지하고 즐기면서 새로운 도전을 준비하는 사람들, 중용에서 벗어나지 않는 삶 속의 착한 사람들이라고 표현하여도 되지 않을까? 

<부록 1> 설문 문항과 아시아 평균치

전통과 관습의 가치

1) 한 파트너와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5점 척도, 4.22, 동의율 82%)

2) 전통적인 관습과 믿음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3.98, 74%)

3) 즐거움을 위해 사는 것보다 의무를 다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3.69, 54%)

현대적, 개인적 가치

4) 나는 내 분야에서 최고의 자리에 오르고 싶다 (3.95, 82%)

5) 나는 인생의 도전, 새로움, 변화를 추구한다 (3.90, 75%)

6) 나는 창의적인 사람이다 (3.80, 73%)

7) 내가 어떻게 시간을 보내는지가 내가 돈을 버는 것 보다 중요하다 (3.76, 65%)

8) 나는 모험심이 강하다 (3.67, 72%)

독립적 문항들

9) 가족들이 내가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4.06, 78%)

10) 젊게 보이는 것은 중요하다 (4.01, 74%)

11) 나는 최신 유행에 뒤지지 않는 것을 좋아한다 (3.70, 67%)

12) 나는 종교적인 사람이다 (3.59, 62%)

<부록 2> 아시아 10개국의 설문조사 결과

  합계 대만 싱가포르 인도 인도네시아 홍콩 필리핀 태국 일본 중국 한국
표본크기  27,882 1,500 3,002 5,003 2,995 1,384 3,000 1,502 2,999 4,997 1,500
모집단 (천 명, 16세 이상) 397,625 14,105 3,275 110,634 16,375 4,318 24,426 22,477 40,949 127,122 33,944
 파트너와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4.22 0.61 0.72 0.27 0.71 0.70 0.65 0.37 0.78 0.35 0.54
전통적인 관습과 믿음을 존중하는 것은 중요하다 3.98 0.15 0.40 0.21 0.44 0.22 0.54 0.02 0.28 0.11 0.13
즐거움을 위해 사는 것보다 의무를 다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3.69 0.04 -0.10 -0.12 0.01 0.11 -0.21 -0.22 -0.28 -0.06 0.01
나는 내 분야에서 최고의 자리에 오르고 싶다 3.95 0.08 -0.18 0.25 0.58 -0.04 0.30 0.32 -0.44 0.18 0.20
인생의 도전, 새로움, 변화 등을 추구하는 편이다 3.90 -0.06 0.09 0.17 0.29 -0.12 0.29 0.05 0.29 0.02 0.12
나는 창의적인 사람이다 3.80 -0.16 -0.12 0.15 0.05 -0.22 0.12 0.10 -0.29 0.03 -0.06
내가 어떻게 시간을 보내는 지가 내가 버는 돈보다 더 중요하다 3.76 -0.09 0.09 -0.03 -0.75 0.08 -0.14 -0.03 0.37 -0.03 0.05
나는 모험심이 강하다 3.67 -0.21 0.09 0.09 0.13 -0.32 0.19 0.09 -0.16 -0.27 -0.33
가족들이 내가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게 중요하다 4.06 0.36 0.22 0.20 0.43 0.33 0.31 0.39 0.52 0.22 0.29
젊게 보이는 것은 중요하다 4.01 0.34 0.30 0.08 0.36 0.43 0.09 0.17 0.62 0.21 0.39
나는 최신 유행에 뒤지지 않는 것을 좋아한다 3.70 -0.19 -0.34 0.04 -0.03 -0.09 -0.37 -0.31 -0.52 0.07 -0.12
나는 종교적인 사람이다 3.59 -0.22 -0.26 -0.14 -0.41 -0.45 0.04 -0.29 -0.59 0.07 -0.93

주) 10개국합계는 5점 척도 (동의 정도)의 평균값. 각 국가의 숫자는 그 국가의 모든 척도의 평균값과 각 문항의 차이값

* 이 글의 내용은 아시아연구소나 서울대의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2권 38호 (2022년 9월 26일)

Tag:
아시아인의인식, 아시아인의가치관, 설문조사, 전통과관습, 음식문화

이 글과 관련된 최신 자료

  • 김용호·김윤호(2022). “특집(2) 설문조사: 2021 한국인의 아시아 인식 설문조사 결과 분석, 한국인의 아시아 인식: 동북아에서 동남아로 인식의 지평 확대.” 『아시아브리프』 2권 2호. http://asiabrief.snu.ac.kr/
  • 박수진·이명무·김윤호(2022). 『2021 한국인의 아시아 인식』. 푸른길
  • 신승배·이정환(2015). “동아시아의 가족가치관과 행복감 비교: 한국, 중국, 일본 비교.” 『지역과 세계』 39권 3호, pp. 279-310.
  • 윤덕인(2018). 『교류역사 속의 동아시아 음식문화』. 지식인
  • 최지혜·조민효(2020). “한국인의 생활세계: 결사체, 다문화, 일과 삶, 소통_한국인 다문화 인식의 다면성.” 『EAI워킹페이퍼』, pp. 1-27.

저자소개

노익상(isroh@hrc.co.kr)

현) 한국리서치 대표이사, 대한산악구조협회 회장
전) 대한산악연맹 부회장

주요 저서

『마케터를 위한 리서치 노트』 (한국리서치, 2018)
『너, 누구냐?』 (내마음의 책, 2010)
『손님이 짜다면 짜』 (중앙일보이코노미스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