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연구소 남아시아센터에서는 고전기부터 현대까지의 남아시아문화 전반에 폭넓게 접근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학문적인 연구활동뿐 아니라, 남아시아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발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대중들의 이해의 폭을 넓히는 일과 학문후속세대의 남아시아에 대한 연구역량을 강화시키는 일이 함께 포함됩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남아시아문화학교의 강좌들이 개설되어 있습니다. 남아시아문화를 이해하는 통로가 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들에 대한 전문지식이 해당 분야 전문가들의 강의를 통해 관심을 가진 분들과 공유되는 장이 되고 있습니다. 야간강좌를 개설함으로써 현업에 종사하고 계신 분들까지도 함께 할 수 있는 장이 되고 있으며, 기존 교육체계 안에서 제공되기 어려운 분야의 전문 강좌들을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제 7기 남아시아문화학교 <빠알리(Pāli) 입문 및 강독>
- 강사:강성용(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교수), 이자랑(동국대 한국불교인문학과 교수)
- 기간: 강성용14. 10.21 / 이자랑_10.28, 11.4, 11.11, 11.18, 11.25, 12.2, 12.9, 12.16 (매주 화요일 19:00~21:00)
- 장소 및 시간: ZOOM 온라인 강의,
- 등록: csas@snu.ac.kr로 신청 / 문의: 남아시아센터(02-880-2868)
※본 강의는 쌍쓰끄리땀의 기초를 이해하신 분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남아시아문화학교는 강좌 수강대상 제한을 따로 두지 않으며, 수강료가 없습니다. 수강희망자는 이름, 소속, 전화번호와 수강희망의사를 메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이메일로 화상강의 URL을 보내드립니다.
<강사 및 강좌 소개>
새로운 차원의 빠알리어 입문 및 강독을 시도하는 제 7기 남아시아문화학교는 두 교수님의 강좌로 구성된다. 인도철학 및 인도 고전어 연구자 강성용(서울대 남아시아센터장) 교수님과 초기불교 및 빠알리어 연구자 이자랑(동국대 HK교수) 교수님이 각각 빠알리어 입문과 강독을 진행할 예정이다.
빠알리는 인도 중세어의 가장 오래된 층위를 대표하는 언어이다. 그런데 현재 남방 상좌불교의 전승이 빠알리를 사용하고 있다 보니 인도불교, 특히 초기불교에 관심을 갖거나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큰 관심거리가 되는 언어이기도 하다. 하지만 빠알리는 실제로 붇다가 활동하던 인도 동부의 언어가 아니고 전형적인 인도 서부 언어이며, 현재 우리가 접하는 남방 불교의 빠알리 전승은 언어의 역사적인 형태를 그대로 담고 있다기보다는 전승자들이 능동적으로 개입해서 표준화시키고 문법에 맞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빠알리를 이해하고 익히는 과정에서 고대 인도의 언어사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전쌍쓰끄리땀을 학습하지 않은 채로 빠알리를 익히는 일은 넌센스라고 해야 합당하려니와, 빠알리 텍스트에 종종 등장하는 빠알리 표준 문법에 맞지 않는 형태들이야 말로 대부분 동부 인도의 언어가 가진 흔적을 보여주는 자료가 된다. 다시 말해서 붇다 자신의 언어에 가까운 표현들이라는 말이다. 이러한 모든 사정을 반영해서 대부분 세계적인 인도고전학 교육 기관에서는 빠알리 문법을 별도로 강의하지 않고, 쌍쓰끄리땀을 기준으로 역사적 변천을 설명하는 아주 짧은 입문 시간을 할당하는 것이 자주 있는 일이다. 이런 맥락에서 단 두 시간에 걸쳐 빠알리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기 위한 간략한 ‘빠알리 문법의 역사적 이해’를 위한 강좌가 이루어질 것이다. 이 역사적 맥락에서의 입문 강의 두 번의 시간을 통해 왜 ‘빠알리는 인공언어이다.’라는 주장이 적확한 맥락이 있는지, 그리고 왜 빠알리는 역사적 붇다의 언어일 수는 없지만, 붇다의 언어가 남긴 흔적들을 담고 있는 언어인지를 파악하게 될 것이다.
강성용 교수님이 빠알리어의 형성과 정체성의 맥락을 파악하는 입문 강좌(2회)를 이끌어주시고, 다음으로 이자랑 교수님의 강독 강좌(8회)가 매주 화요일 저녁에 이어진다.
강독할 빠알리어 텍스트는 「앙굴리말라경」이다. 「앙굴리말라경」은 극악한 살인자 앙굴리말라가 붓다와의 만남을 계기로 살생을 멈추고 출가하여, 마침내 아라한에 이르는 과정을 전한다. 이는 극악무도한 죄를 저지른 자라도 선한 인연을 만나 정진한다면 아라한과에 도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경이다. 이번 강독은 산스끄리뜨어나 빠알리어의 기초 문법을 어느 정도 익힌 분이라면 누구나 쉽게 따라올 수 있도록 친절하게 진행되며, 초보자들에게 실제 경전 독해의 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강독 텍스트는 강좌에 맞춰 제공될 예정이고,
팔리어 문법(이자랑 옮김, 씨아이알)은 부교재로서 자율적으로 학습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강독 텍스트 및 부교재는 다음과 같다.
강독 텍스트 : 맛지마 니까야 제86경 「앙굴리말라경(Aṅgulimālasutta)」, Majjhimanikāya, vol.Ⅱ, pp.97-105 (PTS)

제 6기 남아시아문화학교 <간다라어(Gāndhārī) 기초 문법 및 강독>
장소: ZOOM 화상강의
기간: 2024년 11월 13일-12월 18일 매주 수요일 19-21시
등록: csas@snu.ac.kr로 이름, 소속,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기입하여 신청
문의: csas@snu.ac.kr, suriya77@snu.ac.kr 02-880-2080
※ 대상제한 없음, 수강료 없음, 등록 시 이름과 비상연락 가능한 전화번호와 이메일, 그리고 수강희망강의를 명기해야 함. 온라인 개최의 경우 기재한 이메일로 강의 당일 화상 강의 URL 발송

제 5기 남아시아문화학교 <저자에게 배우는 인도의 문화>
장소: ZOOM 화상강의
기간: 2022년 4월 6일-2022년 7월 6일 (14주)
등록: jobko@snu.ac.kr로 신청
문의: jobko@snu.ac.kr
※ 대상제한 없음, 수강료 없음, 등록 시 이름과 비상연락 가능한 전화번호와 이메일, 그리고 수강희망강의를 명기해야 함. 온라인 개최의 경우 기재한 이메일로 강의 당일 화상 강의 URL 발송
14가지 주제로 살펴본 하타요가의 수행 체계와 주요 경전들
박영길
(매주 수요일 19-21시)
Samkhyakarika of Ishwar Krishna with Samkhya Tattva Kaumudi of Vacaspati Mishra
Nrusingh Charan Kar
(매주 금요일 19-21시)

제 4기 남아시아문화학교 <저자에게 배우는 인도의 문화>
장소: ZOOM 화상강의
기간: 2021년 4월 27일-2021년 7월 (16주)
등록: jobko@snu.ac.kr로 신청
문의: jobko@snu.ac.kr
※ 대상제한 없음, 수강료 없음, 등록 시 이름과 비상연락 가능한 전화번호와 이메일, 그리고 수강희망강의를 명기해야 함. 온라인 개최의 경우 기재한 이메일로 강의 당일 화상 강의 URL 발송
티벳 고전의 세계 II
차상엽 (경북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매주 화요일 19-21시)
강연 소개
‘티벳(Tibet)’이라는 이름에서 떠올리는 설산과 낯설고 먼 이국의 땅이라는 이미지와 다르게 티벳은 서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의 문화적 교류를 매개했던 유라시아 문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지역입니다. 독특한 자연환경과 맞물려 유래를 보기 어려운 특별한 문화적 유산을 창출한 고전의 전통을 가진 땅이 바로 티벳입니다.
티벳의 역사와 문화로 들어가는 관문인 고전티벳어를 통해 고전 티벳어 문헌을 직접 읽고 접하면서 티벳의 역사와 사상의 세계로 들어가는 문을 열고자 합니다. 여러분들을 티벳 고전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संस्कृतं वदेम (Let’s Speak Sanskrit)
Nrusingh Charan Kar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매주 목요일 19-21시)
강연 소개
산스크리트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가장 오래된 언어들 중 하나로, 인도의 지적 전통이라는 보물창고로 통하는 강력한 열쇠입니다. 고대 인도 지성사의 결과물들 대부분이 산스크리트어 필사본으로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도의 철학, 문화 혹은 전통에 관하여 알고자 한다면 산스크리트어 학습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본 강좌는 산스크리트어를 독특한 방식으로 배울 수 있는 창구로서 기획되었으며, 수강생들은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산스크리트어를 체득하게 될 것입니다.

제3기 남아시아문화학교 <저자에게 배우는 인도의 문화>
- 차상엽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 티벳 고전의 세계 (매주 화요일 19시-21시)
장소: ZOOM 화상강의
기간: 2020년 9월 22일-2021년 1월 5일(16주)
등록: inin103@snu.ac.kr 에서 인터넷 사전 등록 필요
문의: inin103@snu.ac.kr
※ 대상제한 없음, 수강료 없음, 등록 시 이름과 비상연락 가능한 전화번호와 이메일, 그리고 수강희망강의를 명기해야 함. 온라인 개최의 경우 기재한 이메일로 강의 당일 화상 강의 URL 발송
강의 내용
ㄱ)고전 티벳어 첫걸음 1-10주
ㄴ)샨티데바의 입보리행론 11, 12주
ㄷ)까말라씰라의 수습차제 13, 14주
ㄹ)아띠샤의 보리도등론 15, 16주
강연자 약력
차상엽은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의 연구원이다. 논문으로는 「The Yogācārabhūmi Meditation Doctrine of the ‘Nine Stages of Mental Abiding’ in East and Central Asian Buddhism」,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Zhi gnas dpe ris」, 「일곱 가지 금강구의 상호 관계(anuśleśa)에 대한 옥 로댄쎄랍의 이해」 등이 있고, 역서로는 『티벳문화입문』, 『티벳밀교 역사와 수행』, 『옥 로댄쎄랍의 보성론요의 여래장품 역주』 등 다수가 있다.
강연 소개
‘티벳(Tibet)’이라는 이름에서 떠올리는 설산과 낯설고 먼 이국의 땅이라는 이미지와 다르게 티벳은 서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의 문화적 교류를 매개했던 유라시아 문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지역입니다. 독특한 자연환경과 맞물려 유래를 보기 어려운 특별한 문화적 유산을 창출한 고전의 전통을 가진 땅이 바로 티벳입니다.
티벳의 역사와 문화로 들어가는 관문인 고전티벳어를 배우고, 고전 티벳어 문헌을 직접 읽고 접하면서 티벳의 역사와 사상의 세계로 들어가는 문을 열고자 합니다. 여러분들을 티벳어 첫걸음과 티벳 고전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제2기 남아시아문화학교 <저자에게 배우는 인도의 문화>
- 인도고전어 쌍쓰끄리땀 첫걸음 II – 강성용 – (매주 화요일 19-21시)
- 원전으로 배우는 요가의 이론과 실천 II – 박영길 – (매주 수요일 19-21시)
장소: ZOOM 화상강의
기간: 2020년 5월 12일 ~ 2020년 8월 26일 (16주)
등록: inin103@snu.ac.kr 에서 인터넷 사전 등록 필요
문의: inin103@snu.ac.kr
※ 대상제한 없음, 수강료 없음, 등록 시 이름과 비상연락 가능한 전화번호와 이메일, 그리고 수강희망강의를 명기해야 함. 온라인 개최의 경우 기재한 이메일로 강의 당일 화상 강의 URL 발송

제1기 남아시아문화학교 <저자에게 배우는 인도의 문화>
- 인도고전어 쌍쓰끄리땀 첫걸음 I – 강성용 – (매주 화요일 19-21시)
- 원전으로 배우는 요가의 이론과 실천 – 박영길 – (매주 금요일 19-21시)
장소: 서울대학교 101동 아시아연구소 삼익홀 (220호)
기간: 2019년 11월 5일 ~ 2020년 2월 14일 (14 주)
등록: https://forms.gle/NydkPyw23VyeSMfp8 에서 인터넷 사전 등록 필요
모집기간 : 10월 16일부터 11월 4일 자정까지
문의: citerphil@daum.net
※ 대상제한 없음, 수강료 없음, 등록 시 이름, 비상연락 가능한 전화번호, 이메일을 명기해야 함.
연습문제 풀이파일 다운로드
2과 연습문제 풀이 파일 ![]() | 3과 연습문제 풀이 파일 ![]() |
4과 연습문제 풀이 파일 ![]() | 5과 연습문제 풀이 파일 ![]() |
6과 연습문제 풀이 파일 ![]() | 7과 연습문제 풀이 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