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시아 해양 네트워크: 바다를 매개로 한 동아시아 네트워크 체계의 새로운 이해와 상상
· 남북 및 동아시아 갈등과 평화: 국제질서의 변동과 동북아시아의 연대와 협력의 모색
· CHINA PERSPECTIVE: 팬더믹과 미중갈등 속 중국의 정치/외교/경제/사회적 변동 이해
· 아시아의 아시아화: 아시아의 역내 교류와 통합 과정에서 아시아를 분석단위로 하는 체계적 아시아학의 모색
· 이슬람 금융연구: 한국연구재단 2018년 선정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이슬람금융은 대안적 금융인가? 동남아 이슬람금융의 원리와 실천’을 수행
· 신흥지역 연구: 아세안공동체 출범 이후 아세안 신흥국의 역동적 변화와 성장 잠재력에 주목
· 동남아지역 지식확산 프로젝트: 전문가 초청 강연 및 동남아 열린 강연 진행
· 학술활동: 지역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이슈페이퍼 및 정책보고서 출간
· 경계와 지역 변환: 국경 장벽이 완화되고 국가 간 이동과 흐름의 증가에 따른 연결성 증대와 지역 변화에 관한 연구
· 이동과 흐름 연구: 중앙아지역 내 국가 간, 중앙아와 다른 지역 간 사람, 물자, 자본, 문화의 이동과 흐름에 대해 고찰
· 이슬람 연구: 종교이자 문화적 규범인 이슬람이 중앙아시아인들의 삶에 미친 영향 연구
· 디아스포라 연구: 고려인과 유대인을 중심으로 삶의 변화과정을 고찰하고, 아카이브로 기록
· 전문가 콜로키움 개최: 전문가를 초청하여 이라크의 시민사회, 이집트 기독교 공동체 등 지금까지 다뤄지지 않은 서아시아의 이슈에 대해 논의
· 서아시아 지정학 연구: 올해 초 발생한 이란-미국 갈등을 중심으로, 시아 초승달 벨트를 구성하는 국가들의 정세를 파악하고, 서아시아 내 사우디 연합-이란 연합 대결구도의 정치현황을 분석
· 아랍의 봄 10주년 지역심화세미나: 아랍의 봄 10주년을 맞아 2010년부터 지금까지 서아시아 시민사회 운동의 변천사를 짚어보고 전망을 모색
· 한-인도 팹랩 공동연구: 시민의 참여와 능동적 요구를 반영하여 현장에서 해결책을 찾아가는 Fab Lab을 활용한 한국과 인도의 공동연구
· 한-인도 리빙랩 공동개발: 그린모빌리티를 지향하는 Living Lab 연구를 통해 사회적 교통약자들의 심야이동의 안전과 편의를 제공하는 해결 네트워크 연구
· 남아시아문화학교: 남아시아 문화와 역사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를 개방된 틀 안에서 제공하는 대중 확산사업
· 베트남국립대 및 외상대(Foreign Trade Univ.) 등과의 교육, 연구 협력사업 추진
· 베트남 인구-발전 관련 정부 정책 자문과 저서 출간 및 한국기업의 베트남 현지 공장 생산성 연구
· 한-베 천연물 공동연구 및 ‘한-베트남 협력 천연물연구소’ 설립, 협력사업
· 베트남 호치민시 치과의사 임상역량 강화교육(KOICA 사업 참여 예정)
· 아프리카 전문가 DB 구축: 지역 전문가와 분과별 전문가 협업을 위한 DB 구축(홈페이지 구축)
· 한국의 아프리카 관련 연구 주제 발굴 및 확산: 한국의 아프리카 외교정책, 개발협력, 분쟁지역연구 등
· 아프리카 전문가 초청 세미나: 해외 아프리카 주요 연구자 초청 세미나
· Country Report의 확대·발전: 해당 지역 전문가의 로컬 지식과 국제기구의 다양한 지표를 결합하여 작성, 주기적 업데이트를 통한 현재적 지식의 구축
· 통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분석 절차 연구: 아시아 국가의 현황 파악 자료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설계, 통계 프로그램을 통한 모듈화
· 홈페이지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양적 통계 분석과 질적 연구자료 제공, 사회적으로 주요 현안에 대한 분석과 수요에 기반한 데이터 클리닝, 시각화 서비스 제공
· 도시전환랩: 도시전환을 위한 대안적 실험 시도 및 지역에서의 공동생산 시스템 구현을 위한 민관 협업 프로그램 추진
· 포용적 공유도시: 대안적 도시실천을 위한 도시포용성 지수 개발 및 동아시아 포용도시 네트워크 활동을 통한 도시 간 협력 도모
· 탈냉전 평화도시: 동아시아 탈냉전 지정-지경학, 접경도시, 기지도시 연구
· 지속가능 전환도시: 동아시아 발전주의와 국가자연, 한반도 에너지전환 연구
· 지속가능성 비저니어링: 한반도와 아시아의 건강한 생태-사회 시스템(Healthy Ecological-Societal Systems, HESS) 비전의 엔지니어링과 아시아-태평양 지역 허브 구축
· 지속가능성 이론 및 모델 개발: 복잡계과학에 기반을 둔 물질·에너지·정보 순환의 지속가능한 거버넌스, 관리 및 모니터링 이론과 모델 제시
· 국제 네트워크 구축 및 연구협력: 이해당사자 간 네트워크 및 파트너십 구축
· 한국 시민사회 지형도 연구: 민간단체 총람 등록단체와 비영리 등록 민간단체를 대상으로 조사 진행. 단체의 목표, 주요활동 등에 대한 기초통계 진행. 기초통계를 바탕으로 단행본 출간
· 시민사회단체에 대한 기초통계 구축: UN 경제사회이사회(ECOSOC)의 ‘협력적 지위’를 획득한 아시아 지역 NGO를 대상으로 분석. 기초정보 및 통계자료집 제작
· 기업의 사회적 책임성에 대한 비교연구: 2년간 ‘지역 커뮤니티에서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성에 대한 한-일 비교연구’를 수행. 한일 학자들의 공동연구 참여
· 세계화 시대 아시아 자본주의 공통적 특성 연구: 정치체제와 경제성장, 국가주도 자본주의, 유교
· 아시아 자본주의 다양성에 대한 이론적 연구: 비교제도주의 연구, 국가와 시장, 국가와 사회관계
· 아시아 자본주의 발전모델 제시: 아시아 자본주의의 다양한 유형화를 통한 총합적 체계(synthesized framework) 제시
· ‘아시아 세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 브로델의 ‘지중해 세계’ 개념 검토를 통해 ‘연속체’이자 ‘앙상블’로서의 ‘아시아 세계’에 대해 구상
· ‘아시아 세계’의 교류 네트워크에 대한 실증적 연구: 가축화된 동물의 확산과 고대 아시아 엘리트 네트워크의 형성 과정 추적
· 환동해지역 교류사 연구: 환서해지역과는 다른 역학이 작동했던 환동해지역에서 교류 양상 검토
· 한류연구 콜로키움 시리즈: 한류 관련 새로운 연구 결과에 대한 컨퍼런스와 북토크, 북토크, 한류현장 전문가 세미나 등 학술적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조력자 및 연구자 네트워크 형성
· 아카이빙 한류 프로젝트
· 한국 대중문화 관련 인문사회과학 분야 학술 저서 영어 번역: 한류 관련 국제 학술담론의 균형 있는 발전과 가시성 향상을 위해 한국어 중요 연구서적의 영어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