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st Asia in A New Legal Landscape
이 책은 최근 동아시아 3국(한국, 중국, 일본)이 체결한 양자간 FTA와 투자협정에 포함된 다양한 분쟁해결절차를 비교 분석하고, 동아시아권 국가들이 분쟁해결절차를 어떻게 이해하고 여기에 참여하고 있는지 파악한다. 나아가 동아시아 3국이 실제 이러한 분쟁해결절차에 참여하면서 축적한 성과와 시행착오가 어떠한지 살펴보고, 서구권 국가와 구별되는 특징은 무엇인지 설명한다. 특히 동아시아 3국의 경우 문화적으로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역사적‧국제정치적으로 긴장관계에도 직면하고 있어 이러한 부분이 복잡다기한 통상분쟁, 투자분쟁에 어떠한 함의를 초래하고 있는지 검토한다. 현재 인도 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 등 다양한 새로운 형태의 통상협정이 검토되고 있는 과정에서 분쟁해결절차도 새롭게 조망되고 있어, 그간의 3국 경험이 새로운 제도 도입에 어떠한 영향을 초래할 것인지에 대한 검토도 진행한다.
Transnational Convergence of East Asian Pop Culture
This book observes and analyzes transnational interactions of East Asian pop culture and current cultural practices, comparing them to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Western popular culture and providing a theoretical discussion regarding the specific paradigm of East Asian pop culture.
Developmental Liberalism in South Korea: Formation, Degeneration, and Transnationalization
이 연구는 한국 사회정책의 기본적 성격을 개발주의 정치경제와의 관계 속에서 “개발자유주의developmental liberalism)”로서 규정하고, 이의 역사적 맥락과 사회ㆍ경제ㆍ 정치적 내용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North Korea and Economic Integration in East Asia
Throughout North Korea’s history, it has regarded external relations with suspicion and as a potential threat to its regime. With North Korea working towards denuclearization, there is now hope for an economic opening. This book examines the external economic strategies that North Korea may consider for its reforms and development, which are related to the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process.
Global Capitalism and Culture in East Asia
동아시아 지역은 경제 위기가 전 지역을 휩쓸었던 1990년대 중반까지 30년이 넘는 경제성장을 경험했었다. 예상치 못한 경제 위기와 뒤이은 신자유주의 개혁은 동아시아의 자본주의 경제를 보다 세계화된 자본주의로 변모시켰고, 문화를 보다 국제적으로 바꾸었다.
Capitalism and Capitalisms in Asia: Origin, Commonality, and Diversity
아시아 자본주의 모델들의 공통성과 다양성
이 책은 아시아 여러 나라의 다양한 자본주의 사례를 다루면서 두 가지 중요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있다.
Mobile Asia: Capitalisms, Value Chains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in Asia
이책은 아시아에서 모바일통신의 부상이라는 현상에 주목하면서, 어떻게 이동통신산업이 새롭게 부상하는 ‘초국적 아시아’(transnational Asia)의 바탕을 이루면서 지역내외의 상호연결을 이루고 있는가를 글로벌 가치사슬이론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있다.
The Possibility of Peace in Korean Peninsula
이 책은 지금까지 비관주의, 숙명론에 경도된 한반도 평화연구에서 탈피하여 분석적 절충주의 이론에 바탕하여 북한의 비핵화와 민주화를 통해 한반도의 평화를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