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센터/프로그램
    • 동남아시아 센터
    • 중앙아시아 센터
    • 서아시아센터
    • 아시아도시사회센터
    • 국제개발협력연구센터
    • 미래지구 프로그램
    • 미-중관계 프로그램
    • 시민사회 프로그램
    • 아시아지역정보센터
  • 사회과학자료원
  • 서울대 AsIA지역인문학센터
  • 서울대 코로나네트워크
  • 다양성+Asia
  • 아시아리뷰
  • English
                       
단행본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단행본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 연구활동
    • 지역 연구센터
      • 동북아시아센터
      • 동남아시아센터
      • 중앙아시아센터
      • 남아시아센터
      • 서아시아센터
      • 베트남센터
    • 주제연구 프로그램
      • 아시아도시사회센터
      • 국제개발협력연구센터
      • 미래지구 프로그램
      • 미-중관계 프로그램
      • 삶의 질 프로그램
      • 시민사회 프로그램
      • 아시아의 교류협력 프로그램
      • 아시아 발전모델 프로그램
    •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 한국사회과학자료원
    • 아시아지역정보센터
  • 학술행사
  • 교류
    • 글로벌 e스쿨
    • 네트워크
      • 교류기관
      • MOU
    • 방문학자 프로그램
      • 안내
      • 방문학자 세미나
    • 방문학자 펠로우십
    • InterAsia Program
    • ICAS 한국어 우수학술도서상
      • 2017 IBP
      • 2019 IBP
      • 2021 IBP
  • 교육
    • 글로벌 e스쿨
    • 연구연수생
    • 방법론 워크숍
    • 동남아시아 교육
    • 남아시아문화학교
    • 동아리
  • 출판
    • 아시아리뷰
      • 아시아리뷰 소개
      • 편집위원회
      • 투고 및 게재 안내
      • 원고 작성요령
      • 연구윤리 규정
      • 최근호
      • 지난호
    • 단행본
      • 아시아연구소총서 기초연구시리즈
      • 아시아연구소총서 모노그래프시리즈
      • 세계속의 아시아연구 시리즈
      • 아시아 근현대사 총서
      • 열린강연시리즈
      • SNUAC Series in Asian Studies
    • 정책연구 보고서
  • 지원
    • 아시아기초연구 지원
      • 기획과제
      • 저술지원
    • 학문후속세대지원
      • 석·박사학위 논문상
      • 박사논문 작성지원
      • 현지조사 지원
  • 알림
    • 공지사항
    • 소식
    • 미디어
    • 채용
    • SNUAC WEEKLY
    • 관련기관소식
  • 아시아연구소
    • 소개
    • 인사말
    • 조직
    • 사람들
    • 전화번호 안내
    • 오시는 길
    • 연차보고서 / 브로셔

단행본

중국 고대 경계와 그 출입

이 책은 경계의 출입과 그 형식에 대한 이해를 통해 중국 고대 공간 인식과 공간 지배의 성격 변화뿐 아니라, 지역 간 교류 형식과 ‘타자’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본다. 중국 고대 제국은 청조가 멸망할 때까지 전근대 중국 사회를 지배하는 황제지배체제의 골간이 마련된 시기다. 고대 제국의 통치 구조와 원리에는 오랜 시간에 걸쳐 변화 계승된 지역 문화의 전통이 남아 있을 뿐 아니라, 고대인의 주술적 사유와 전통 역시 다양한 형태로 변용되어 온존했다.

마을에 해답이 있다 – 한국사회에서 지역 되찾기

공산주의의 붕괴와 복지국가의 위기로 귀결된 유토피아 에너지의 상실을 대체하는 새로운 지속 가능한 사회 발전 비전인 ‘이해관계자의 사회 모델’의 구현을 ‘마을’을 매개체를 통해서 제안한 연구서 『마을에 해답이 있다 – 한국사회에서 지역 되찾기』가 발간되었습니다.

옐로우 퍼시픽: 다중적 근대성과 동아시아

본 연구는 동아시아인이자 한국인이라는 현지인의 관점에서 동아시아의 근대 형성에 대한 역사적 정서 구조를 ‘옐로우 퍼시픽(Yellow Pacific)’이라는 개념으로 이론화하는 작업이자 새로운 대화를 위한 초대이다.

아세안의 WTO 무역분쟁 연구

아세안은 우리나라에 있어 경제, 정치, 외교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지속가능하고 건설적인 아세안과의 협력을 위해서는 아세안에 관한 이해가 필수적일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책은 아세안의 WTO 무역분쟁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통해 아세안의 무역과 통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노력했다.

아시아 생산네트워크의 진화

세계화의 진행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무역비용이 감소하면서 생산 과정이 분화되어 전 세계로 분산되는 글로벌 생산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국가 간 상호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아시아 지역이 세계 공장으로 부상하면서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에서 아시아 국가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글로벌 미디어와 아시아 정체성: 혼종성과 저항성의 경계

현재 변화하는 국제 커뮤니케이션은 과거의 이념적 정향이나 일방적 권력 관계로만 프레임 지을 수 없는 복잡다단한 현상 가운데 있다. 특히 아시아는 문화적으로나 정치경제적으로나 가장 큰 변화의 격랑에 휩싸여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중앙아시아 이슬람의 현재: 정치 · 사회 · 경제적 선택

중앙아시아 이슬람 지역의 현황을 정치,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 개괄한 연구서 『중앙아시아 이슬람의 현재: 정치·사회·경제적 선택』이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의 ‘세계속의 아시아연구 시리즈’ 27권으로 발간되었습니다.

메이지유신과 사대부적 정치문화

지금까지 메이지유신 정치사 연구에서는 ‘서구의 충격(Western Impact)’의 영향을 일방적으로 강조하는, ‘근대주의적’ 설명 방법이 주로 채용되어 왔다. 그러나 19세기 전반~중반 사무라이들의 모습을 사료를 통해 관찰해 볼 때 두드러진 것은 어떤 종류의 ‘근대성’의 출현이 아니라, 이들이 ‘사대부’와 같은 정치행위를 보이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중국 고도를 거닐다

이 책은 중국의 6대 고도(古都)인 베이징, 시안, 뤄양, 난징, 카이펑, 항저우, 그리고 충칭을 걸으며 쓴 것이다. 이 도시들이 문화정책과 문화산업을 통해 도시 정체성을 재구축하고 재도시화하는 과정과 전략을 도시정책과 공간 재편, 역사복원, 대중매체, 도시문화 등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아시아투어리즘 – 동아시아여행과 지리적 상상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는 일본 홋카이도대학교 동아시아 투어리즘 연구센터와 2015년부터 <아시아 투어리즘>이라는 주제로 공동심포지엄을 운영해 왔으며 2015년 11월부터 2년간 5회의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했습니다. 2016년 3월 2회 국제학술대회에 중국 중산대학교 관광학부 교수진들이 참여하면서 서울대학교-홋카이도대학교-중산대학교를 잇는 아시아 투어리즘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습니다.

학술행사 안내

A Multi-Level Analysis of Innovative Korean SME Activity
2021년 3월 5일
지역화폐와 포용도시: 지금, 왜 지역화폐인가?
2021년 3월 5일

공지사항

[공지] 2020년도 아시아기초연구 저술지원 사업 선정 결과
2021년 2월 17일
[공지] 2021 AsIA문명지식학교
2021년 1월 26일
[공지] 2021년도 SNUAC 박사논문작성지원사업 신청 안내
2021년 1월 7일

SNUAC Weekly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1 SNUAC WEEKLY (2월 셋째 주)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1 SNUAC WEEKLY (2월 첫째 주)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1 SNUAC WEEKLY (1월 셋째 주)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1 SNUAC WEEKLY (1월 첫째 주)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0 SNUAC WEEKLY (12월 넷째 주)

소식지 받아보기

아시아연구소 페이스북

페이스북에서 연구소의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각종 신청 및 자료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관련 신청서 및 자료실

아시아연구소 오시는 길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를 찾아오는 방법

TOP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101동 아시아연구소
Tel. 02-880-2692 | Fax. 02-883-2694 | Email snuac@snu.ac.kr
© 2015 SNUAC. All rights reserved.
  • 연구활동
    • 지역 연구센터
      • 동북아시아센터
      • 동남아시아센터
      • 중앙아시아센터
      • 남아시아센터
      • 서아시아센터
      • 베트남센터
    • 주제연구 프로그램
      • 아시아도시사회센터
      • 국제개발협력연구센터
      • 미래지구 프로그램
      • 미-중관계 프로그램
      • 삶의 질 프로그램
      • 시민사회 프로그램
      • 아시아의 교류협력 프로그램
      • 아시아 발전모델 프로그램
    •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 한국사회과학자료원
    • 아시아지역정보센터
  • 학술행사
  • 교류
    • 글로벌 e스쿨
    • 네트워크
      • 교류기관
      • MOU
    • 방문학자 프로그램
      • 안내
      • 방문학자 세미나
    • 방문학자 펠로우십
    • InterAsia Program
    • ICAS 한국어 우수학술도서상
      • 2017 IBP
      • 2019 IBP
      • 2021 IBP
  • 교육
    • 글로벌 e스쿨
    • 연구연수생
    • 방법론 워크숍
    • 동남아시아 교육
    • 남아시아문화학교
    • 동아리
  • 출판
    • 아시아리뷰
      • 아시아리뷰 소개
      • 편집위원회
      • 투고 및 게재 안내
      • 원고 작성요령
      • 연구윤리 규정
      • 최근호
      • 지난호
    • 단행본
      • 아시아연구소총서 기초연구시리즈
      • 아시아연구소총서 모노그래프시리즈
      • 세계속의 아시아연구 시리즈
      • 아시아 근현대사 총서
      • 열린강연시리즈
      • SNUAC Series in Asian Studies
    • 정책연구 보고서
  • 지원
    • 아시아기초연구 지원
      • 기획과제
      • 저술지원
    • 학문후속세대지원
      • 석·박사학위 논문상
      • 박사논문 작성지원
      • 현지조사 지원
  • 알림
    • 공지사항
    • 소식
    • 미디어
    • 채용
    • SNUAC WEEKLY
    • 관련기관소식
  • 아시아연구소
    • 소개
    • 인사말
    • 조직
    • 사람들
    • 전화번호 안내
    • 오시는 길
    • 연차보고서 / 브로셔
  • 센터/프로그램
    • 동남아시아 센터
    • 중앙아시아 센터
    • 서아시아센터
    • 아시아도시사회센터
    • 국제개발협력연구센터
    • 미래지구 프로그램
    • 미-중관계 프로그램
    • 시민사회 프로그램
    • 아시아지역정보센터
  • 사회과학자료원
  • 서울대 AsIA지역인문학센터
  • 서울대 코로나네트워크
  • 다양성+Asia
  • 아시아리뷰
  •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