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리뷰 제12권 | 제3호 | 2022
Asia Review Vol.12 | No.3 | 2022
전 지구화, 이주 그리고 아시아인의 정체성
서문: 전 지구화, 이주 그리고 아시아인의 정체성 | 채수홍
탈사회주의 베트남의 산업화와 동아시아 지역정체성 | 채수홍
남아시아인의 걸프 지역 이주와 걸프국가의 이민정책: 인도 케랄라인의 아랍에미리트 이주를 중심으로 | 김경학
중앙아시아 부하라 유대인의 초국가적 네트워크와 정체성: 디아스포라 미디어 분석을 중심으로 | 최아영
일본 재흥 (再興) 의 개국 담론과 글로벌 일본인론: 국제인과 글로벌인재 육성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박경민
자유 주제
동아시아지역 개발도상국, 저개발국 수출상품의 다각화 패턴 분석 | 엄원섭·이정동·김윤영·신기윤·강태원
재일조선인 북송문제와 미국의 정책: 1959년 북일 적십자사 제네바 회담 시기를 중심으로 | 강여린
뜻과 획의 예술: 북한 서예서체의 시각문화적 특성 | 김미혜·김민수
중국-아세안 관광 협력의 신 (新) 전략 네트워크 연구: COVID-19 이후, 한국 관광산업의 혁신과제 모색 | 정혜영
동남아시아 지역학의 정체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담론 연구 | 현시내
20세기 전반 한인들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이주: 어느 전씨 (田氏) 일가의 사례를 중심으로 | 윤대영
Nationalism as a Primary Institution in Northeast Asia | Sean O’Malley
Path Dependence of Vietnam’s Regional Development: Roots from the Colonial Rule | Nguyen Thi Ha
Conceptualizing Education within a Thai Refugee Camp Based on a ‘for Them’ and a ‘by Them’ Paradigm | Subin Sarah Yeo
The Philippine Pivot to China and Russia: Duterte’s Foreign Policy Revisited | Fernan Talamayan
The Plight of Rohingya Refugees in India: Living in Denial | Monika Verma
서평
지난 100년의 동아시아 자유주의: 개념사적 분석과 사상사적 서술 강명희 지음, 『동아시아의 자유주의는 무엇인가』 (한울아카데미, 2021) 를 읽고 | 양일모
제국주의 없는 제국과 제국 없는 제국주의 사이: 차태근 지음, 『제국주의 담론과 동아시아 근대성: 현대 중국의 정치적 무의식을 찾아서』 (소명출판, 2021) 를 읽고 | 윤영도
근대화의 기수에서 민주주의의 모델로: 김형준 지음, 『이슬람과 민주주의: 인도네시아 이슬람단체 무함마디야의 민주적 전통』 (눌민, 2021) 을 읽고 | 전제성
힌두교 왜곡을 넘어 인도사 중심잡기: 이광수 지음, 『힌두교사 깊이 읽기: 종교학이 아닌 역사학으로』’ (푸른역사, 2021) 를 읽고 | 이재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