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아시아 MZ세대와 사회변화(3)
정의와 다양성, 두 마리 코끼리 사이에서: 미얀마 MZ 세대 청년운동의 도전과 과제
2021년 2월 미얀마 땃마도의 쿠데타 이후, 군부의 재집권에 반대하는 미얀마 시민들 저항의 결정적 순간마다 미얀마 MZ 세대의 활약이 국제사회의 많은 주목을 받았다. 2020년대 미얀마 MZ 세대의 사회운동은 미얀마 근현대사의 중요한 변곡점마다 미얀마 청년들이 리스크를 감수(risk-taking)하는 정치적 저항 주체로 앞장서 왔다는 점, 민족, 종교, 대학별 정체성이 교차하는 접점에서 공동체적 정체성을 반영해 온 점, 8888 항쟁이후 축적해온 인적, 물적 네트워크의 초국가적 연계성(trans-connectivity)의 장점을 활용한 점에서 미얀마 청년운동만의‘전통적인’특징이 발현되었다. 반면, 다양한 미디어 및 디지털 형식과 방법을 적용한 사회문화운동(novelty-seeking)을 추구하는 특징, 상징적 퍼포먼스와 함께 국제기구와 주요 국가 대사관에 반군부 메시지를 적극적으로 전달하는 뛰어난 어드보커시와 같은 새로운 역량을 보여주었다. 무엇보다 MZ 세대 리더들은 정의와 완전한 민주주의 실현과 함께, 기존의 정치세력이 논의하기를 극도로 꺼려해 온 로힝자족을 포함하는 연방제 구축의 중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권위주의 확산 및 기존의 정치‧경제세력에 대한 MZ 세대의 불만이 축적되어 가고 있는 아시아에서, 지금 미얀마 청년운동이 가지는 보편성과 독특성에 대해 국제사회와 NUG 및 NLD 리더들의 심도 깊은 이해와 동시에 현실적 연대와 지지가 필요한 시점이다.
2021년 2월 1일, 미얀마 군대(Tatmadaw, 이후 땃마도)는 국민이 선출한 민선 연방정부를‘재탈환’했다. 세계는 놀랐지만, 미얀마 국내외 전문가들은 2020년 총선 전후로 급격하게 악화된 땃마도와 아웅산수찌 NLD(The National League for Democracy) 정부 사이의 갈등을 이미 우려하고 있었다. 혹자는 미얀마 근현대사에서 쿠데타가 자주 발생했던 상황임을 상기시키며, 땃마도의 재등장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과 시위도 수개월 내로 잦아들 것을 예측했다. 그러나 2011년 이후, 개혁개방의 흐름 속에서 경제 성장 및 자유의 확장을 경험한 미얀마 시민들의 군부 재집권에 대한 반대 여론과 시위는 쉽게 수그러들지 않았다. 만달레이와 양곤의 병원 의료진, 대학 교수, 교사 및 공무원들이 시작한 시민불복종운동(Civil Dissidence Movement, CDM)을 시작으로, 시민운동의 양상은 반군부 거리시위의 형태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시민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이 되는 결정적 순간에는 미얀마 내륙, 국경지역, 국제무대 및 디지털 공간까지, 새로운 사회운동의 흐름을 만들어 낸 미얀마 MZ 세대 청년들이 있었다. 직종별 전문직 및 공무원들의 시민 불복종 운동이 표면적으로 소강상태에 접어든 2022년에도 이들의 사회운동은 다양한 유형과 방법으로 진행되었고, 미얀마 국경의 안과 밖, 현실-디지털 공간의 안과 밖을 넘어 확산되었다. 권위주의 확산 및 기존의 정치‧경제세력에 대한 MZ 세대의 불만이 축적되어 가고 있는 아시아에서, 지난 2년간 나타난 미얀마 청년운동이 가지는 보편성과 독특성은 무엇인가? 이를 탐색하기 위해, 먼저 2021년 이후 미얀마의 안과 밖의 정치‧사회적 상황을 둘러싸고 전개되고 있는 미얀마 청년운동의 흐름을 소개한 후, 미얀마 근현대사에서 나타난 미얀마 청년운동의‘전통적인’ 측면과 최근 변화하고 있는 미얀마 청년운동의 새로운 양상과 특징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근현대 역사 속 미얀마 청년세대의 정치·사회운동
미얀마가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한국에서는 미얀마인들의 저항이 놀랍게 다가왔지만, 미얀마 근현대 역사 속에서 청년들의 저항은 낯설지 않은 정치적·사회적·문화적·교육적 현상이다. 미얀마 MZ 세대 사회운동의 첫 번째‘전통적인’특성은 미얀마 근현대사의 중요한 변곡점마다 미얀마 청년들이 리스크를 감수(risk-taking)하는 정치적 저항 주체로 항상 앞장서 왔다는 점이다. 지난해에는 전문직 및 공무원을 중심으로 조직화되어있던 시민불족종 운동이 2222 국민 총파업을 중심으로 전역에 확산되는 시기에 미얀마 MZ 세대의 참여가 가시화되기 시작하였다. 3월 초에는“Everything will be Okay”라는 영문 문구가 적힌 티셔츠를 입고 시위에 참여한 여성 청년 치알 신(Kyal Sin)이 시위 도중 사망한 사건을 시점으로 청년들의 분노가 극에 달하게 되었다. 같은 시기에 미얀마 공군 전투기 5대가 만달레이 상공에서 포착되고, 군이 시민을 대상으로 조준 사격하는 모습이 도심에서도 포착되면서 청년들이 적극적으로 무력시위에 참여를 주장하기 시작했다. 88세대의 민 꼬 나잉(Min Ko Naing), 모 띠 준(Moe Thee Zun), 따이 쪼(Htay Kywe)처럼 웨이 모 나잉(Wai Moe Naing), 타이자 산(Tayzar San), 민 뜨웨 띳(Min Thway Thit)과 같은 대표적인 청년 운동가들이 등장하였다.
둘째, 미얀마 청년들은 영국 식민지 시기 반식민주의 및 반파시스트 운동부터, 1962년, 1988년, 2007년까지 또래 집단(peer groups)을 구성하여 사회적, 문화적 변화의 구심적 역할을 해왔다. 민족, 종교, 직종별, 대학별 정체성이 교차하는 접점에서 다양한 공동체적 정체성을 반영하고자 해 온 것이다. 특히 양곤대, 만달레이대, 양곤 의대의 학생회 및 버마총학생회연합(All Burma Federations of Student Unions, ABFUS)은 미얀마 역사의 변곡점마다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이번 2021년 미얀마 봄에도 버마총학생회연합 소속 대학생들과 지역, 민족, 종교 기반의 수 천 개의 청년 공동체 조직이 거리로 나와 군부에 대항하는 목소리를 명확히 냈다. 과거와 달리, 작년에는 대학 엘리트가 청년운동의 중심이 되는 대신, 다양한 지역, 계층, 교육적 배경을 가진 청년들이 참여한 점은 상이하지만, 미얀마 사회에서 전통적으로 중요하게 고려된 공동체 활동 및 기부 활동을 활발히 조직해온 청년 네트워크의 조직력이 발현된 점이 의미가 있었다.
셋째, 미얀마 청년들은 8888 항쟁 경험 이후 수년간 국제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미얀마 청년조직들은 국제기구, 시민사회, 노동, 교육, 보건의료 네트워크뿐 아니라, 오랫동안 미국, 영국, 독일, 호주 등의 의회 정치인, 종교인, 디아스포라 민족지도자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고립과 단절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사회단체들은 인도적 지원 및 국제개발 협력의 집중 지원도 받으며 다양한 인적, 물적 네트워크의 초국가적 연계성(trans-connectivity)이 확대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미얀마 시민사회 전반에서 나타났지만, 양곤, 만달레이와 같은 도시기반 청년조직에서 더욱 명확히 나타났다.
미얀마 MZ 세대, 새로운 형식과 방법의 사회운동을 전개하다
미얀마 MZ 세대로 대표되는 새로운 사회운동은 지난해, 기존의 88세대와는 차별되는 새로운 형식, 방법, 관계 형성의 특징이 나타났다. 첫째, 새로운 형식과 방법의 사회문화운동(novelty-seeking)을 추구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청년들은 악귀를 몰아내는 의미가 있는 냄비 두드리기와 경적 울리기와 같은 전통적인 퍼포먼스와는 대비되는 길거리 댄스 퍼포먼스와K-POP 공연, 영상, 음악, 그라피티, 보디빌딩을 활용한 시위 독려 활동을 전개했다. 영화 및 영상분야 청년들은 미디어아트를 활용하여 건물을 반군부 메시지로 장식하였고, 자유를 위한 예술(Art for Freedom) 소속 디자이너들은 군부에 저항하는 메시지를 담은 스티커, 티셔츠, 표지판, SNS 이미지와 이모티콘을 만들어 배포하였다. MZ 세대들은 Facebook, Whatsapp, 트위터, 인스타그램, 브리지파이를 활용하여 미얀마 상황을 전 세계적으로 공유하는 큰 역할을 했다. 인터넷 없이 블루투스를 이용해 인근 사용자들과 메시지 교환이 가능한 브리지파이와 같은 앱은 시위 현장에서 가장 활발히 사용되었다. MZ 세대가 SNS 및 온라인 대화방을 통해 집회를 준비하는 방식은 상당히 조직적이었고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효율적이었다. 이들은 활동은 NLD, 민족 및 종교 기반 국제 네트워크와의 교류를 넘어 한국의 행동하는 미얀마 청년연대(Youth Action for Myanmar)와 같이 해외의 새로운 청년네트워크와도 협력을 확대하였다. 주요 국제 언론 및 독립 언론들이 이들 미얀마 청년 네트워크와 직접 협력하고 이들의 새로운 운동의 방향을 지원한 것도 눈에 띄는 변화였다.
둘째, MZ 세대는 대중에 대한 상징적 메시지의 전달과 동시에 국제기구, 국제지역기구, 주요 국가의 대사관 및 기업에게 요구하는 어젠다(agenda)를 명확히 제시하고자 하였다. 땃마도의 집권에만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시위 초기부터 양곤의 유엔사무소, 주미얀마 미국, 중국, 일본, 한국 대사관 등에서 MZ 세대들의 시위를 전개했다. 이들은 아웅산 수찌가 이끄는 NLD보다도 포괄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는데, 양곤대 학생회는 완전한 민주주의 실현과 2008년 헌법 폐지를, 카렌 및 여카잉 청년들은 민족자결권과 연방주의 요구를 명확히 했다. 이들의 메시지는 땃마도 정권을 몰아내는 것과 함께 기존 NLD 정권도 거부하며 과거의 정치 세력과 단정하고 싶다는 의지를 비교적 구체적으로 전달하고자 했다. 물론 지난해 봄, 시위에 참여한 MZ 세대들이 모두 대학생이거나 학생운동에 참여하는 청년들은 아니다. 상당수의 청년들은 선거 결과 존중, 교육 및 문화활동 자유, 미디어 접근성의 자유에 관심이 더 많은 청년들이었다. 이들은 대학 학생회 및 소수민족 청년연맹 소속 청년처럼 정치적 메시지가 명확한 것은 아니지만, 반권위주의를 나타내는 세 손가락 경례를 하며 시위에 자적극 동참하였고, 해시태그로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을 명확히 세계에 전달하고자 했다.
셋째, MZ 세대 사이에서 선출된 권력에 의한 법치를 세우면서도 연방제의 가치도 동시에 지켜야 한다는 주장을 강조하는 특성을 보였다. 우선 2021년 봄의 저항을 통해서 대부분의 미얀마 시민들에게 ‘절대 악’으로 묘사되는, 선출되지 않은 군부의 지배를 다시는 원하지 않는다는 전국민적 공감이 확인된 점이 명확하다. 땃마도의 예상과 달리, 2020년 11월 총선 전면 무효에 동조하거나, 이들의 탈환을 환영하는 세력이 많지 않았고,‘자유를 느껴본 우리 세대는 아이들에게 군부 지배를 유산으로 물려줄 수 없다’는 더 나은 삶과 경제발전에 대한 청년층의 열망이 전국적으로 큰 공감을 받았다. 이제 MZ 세대들은 사회문화 운동의 선두에 서 있었지만 세력화되지 못하고, 정치적으로 소비당했다는 평을 받는 88세대와는 다른 행보를 보이며, 본격적인 정치의 장에 나서기 시작했다.‘몽유와의 판다’ 웨이 모 나잉(Wai Moe Naing), 만달레이의 타이자 산(Tayzar San), 카친평화네트워크의 에스더 제 노(Esther Ze Naw Bamvo) 등이 전국적인 리더로 부상하였다. 중북부 지역에서 MZ 세대 리더로 활동해온 에이 띤 자 마웅(Ei Thinzar Maung)은 NUG 국민통합정부(National Unity Government of Myanmar)에 진출하여 여성‧청소년‧아동부 차관으로 임명되는 쾌거도 있었다.
민주주의와 연방제의 동시 탈환을 위한 도전과 불투명한 미래
미얀마 MZ 세대가 지금 아시아에서 만들어가고 있는 가장 고무적인 변화는 이들이 주장하고 있는 완전한 민주주의와 다원화된 연방제의 구축을 위해 국내외 네트워크 및 다양한 종교‧민족과의 상호 이해와 대화를 지속적으로 시도하는 점이 아닐까. 미얀마 MZ 세대들은 홍콩, 대만, 태국 등 아시아 지역에서 전개된 민주화 시위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밀크티 동맹(Milk Tea Alliance)에도 참여했다. 이러한 새로운 세대의 초국가적 연대활동을 펼치며, 지난 수년간 미얀마 주류 사회에서 언급조차 꺼려하던 로힝자 상황에 대해 배우게 되고, 몇 개의 종족이나 종교기반 세력으로만은 미얀마의 지속가능한 평화구축이 가능하지 않다는 점을 성찰하고 있다. 아웅산수찌 문민정부 시기부터, 미얀마 군부의 로힝자 학살 사건에 대해 미얀마 내에서 적극적으로 문제를 제기해온 카친평화네트워크의 에스더 제노와 같은 MZ 세대 운동가의 의견이 지난해부터 청년들의 공감을 받고 있는 것도 큰 변화이다. 물론 이와 같은 변화가 모든 MZ 세대들에게 동일한 맥락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받아들여지지는 않을 것이다. 미얀마 청년들의 사회계층, 거주 지역, 민족, 종교, 교육 배경, 미디어 및 정보 접근성에 따라 이들이 생각하는 정의의 실현과 연방제를 향한 미래상은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2021년 2월 1일 이후, 대다수 미얀마 MZ 세대들이‘정의도 원하고 다양성도 원한다’, ‘다시 과거로 돌아갈 수 없다’라는 미래의 비전과 방향을 원한다는 점은 명확하다.
하지만, 현 NUG 및 NLD 리더들이 지금과 같은 땃마도의 집권 상황 속에서 어떠한 절차와 방법으로 다음 정부를 만들어갈지, 연방제를 실천해 갈지는 불명확하다. 이들이 MZ 세대의 새로운 얼굴을 미얀마 88세대처럼 정치적으로 소비하지 않는다는 보장도 없다.“Bones Will Crow”와“Riding the Buses in Rangoon”로 알려진 미얀마의 시인 낀 아웅 에이(Khin Aung Aye)는 “정치를 잊고, 아웅산 수찌를 잊고, 모든 걸 잊자”는 군부의 지배가 엄연히 존재하고, 일상 속에서의 권위주의와 폭력이 팽배한 사회에서 어떻게 민주주의가 잊히지 않을 수 있느냐고 반문하였다. 미얀마 청년들에게 1962년, 1988년, 그리고 2021년은 어떻게 다르고, 그리고 이들의 2021년은 어떻게 다르게 위치해야 하는가. 지난해 봄 135명의 미얀마의 문인들이 땃마도를 규탄하는 성명서가 발표하였고, 시인, 케이 자 윈(K Za Win)과 끼 린 에이(Kyi Lin Aye)는 곧 살해되었다. 정의(법치와 민주주의)와 다양성(연방제)라는 거대한 코끼리 두 마리를 안착시켜야 한다고 주장하는 미얀마 MZ 세대에게 이제 기성세대들은 이들의 주장에 귀를 기울이고, 이들의 운동을 지지하고 격려해야 한다. 그러나 미얀마의 NUG와 NLD 리더들이 MZ 세대들이 무기를 들고 분쟁의 전선에서 순교자(martyr) 되도록 하는 방법은 해답이 아니다. UN의 외교적 관심이 현저히 줄어들고 있는 이 시점에, NUG와 NLD 리더들은 ASEAN 및 미얀마 민주주의와 평화구축을 지지하는 다양한 중견국 및 시민사회와 함께 좀 더 전략적이고 현실적인 협상의 과정을 시작할 때다.
* 이 글의 내용은 아시아연구소나 서울대의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Tag:
동남아시아,미얀마,민주주의,다양성,사회운동,청년
이 글과 관련된 최신 자료
- 주경철. (2022). “21세기 아시아 문명과 바다.” 『아시아 브리프』2권 29호. http://asiabrief.snu.ac.kr/
- 공석기. (2022). “2022년에 아시아 시민사회의 새로운 흐름은 어떻게 진화할 것인가?” 『아시아 브리프』 2권 6호. http://asiabrief.snu.ac.kr/
- 홍문숙 (2020). 내겐 너무 먼 평화: 전환기 청년들의 발전과 평화에 대한 다층성. 『다양성+아시아』 8호. http://diverseasia.snu.ac.kr/
- Su Mon Thant (2021). In the Wake of the Coup: how Myanmar youth arose to fight for the nation (Heinrich-Böll-Stiftung European Union, Brussels)
- Hong, Moon Suk and Kim, Hani (2019).‘Forgotten’ democracy, student activism, and higher education in Myanmar: past, present, and future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https://doi.org/
저자소개
홍문숙 (moonshiely@gmail.com)
현)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제개발협력전공 조교수
전) 경희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겸임교수, 서울대학교 글로벌교육협력 대학원 과정 및 아시아언어문명학부 강사
저서와 논문
전환기 미얀마 개혁개방 10년의 도전과 위기: 국가발전정책-지식-권력의 국내외 역동을 중심으로 (동남아시아연구, 2022)
미얀마 2020: NLD 총선 승리의 시사점과 평화-민주주의-발전의 위기 (동남아시아연구, 2021)
“International scholarship for social change? GKS alumni’s perceptions of justice and diversity in South Korea.” (Policy and Politics, 2021)
“Being and becoming ‘dropouts’: contextualizing dropout experiences of youth migrant workers in transitional Myanmar.”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Studies, 2021)
“Symbolic habitus and new aspirations of emerging elites in transitional Myanmar.”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