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 한-메콩 정상회의 기념 민‧관‧학 학술대회 | 오명석
연구책임자: 오명석 지원기관: 외교부 문의: mysoh@snu.ac.kr / kallikyung@daum.net 보고서: 직접문의
DETAIL
2019 | 한-메콩 정상회의 기념 메콩 개황에 대한 자문 | 오명석
연구책임자: 오명석 지원기관: 외교부 문의: mysoh@snu.ac.kr / kallikyung@daum.net 보고서 다운로드목차 Ⅰ 메콩 일반 메콩 개관 6 메콩 협력체 18 1) 확대메콩지역(GMS) 프로그램 19 2) 메콩강위원회(MRC) 22 3) 메콩연구소(MI) 25 4) 애크맥스(ACMECS) 26 5) 아세안-메콩강 유역 개발협력(AMBDC) 28 6) 캄·라·미·베 협력(CLMV) 29 7) 캄·라·베 개발삼각지역(CLV-DTA) 29 Ⅱ 한-메콩 협력 한-메콩 개관 36 1) 발전 개요 [...]
DETAIL
2019 | 전략적 딜레마에 대한 동아시아 국가들의 대응패턴 연구 | 정재호
연구책임자: 정재호 지원기관: 외교부 문의: cjhir@snu.ac.kr 보고서: 직접문의 요약문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의 대 중국 견제가 본격화되었다. 미국 중심의 지정학과 중국 중심의 지경학 간의 충돌로 규정할 수 있는 과정 속에서, 양국이 역내 국가들에게 자신의 정책선호를 채택하기를 요구하는 '제3자 강요'(third- party coercion)가 향후 보다 빈번해질 것이다. 중국이 전통적으로 자신의 세력권으로 간주해왔고, 또 미-중간 패권경쟁이 가장 먼저 [...]
DETAIL
2018 | 신남방정책 : 3P 분야별 대메콩 협력 격상 전략 연구 | 최경희
연구책임자: 최경희 지원기관: 외교부 문의: kallikyung@daum.net 보고서 다운로드개요 가. 주요 연구내용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크게 다음과 같음 ○ 신남방정책의 3P와 아세안공동체 구축전략의 상호관계성 ○ 對메콩협력을 둘러싼 국제관계적 동학 ○ 한국의 對메콩협력현황과 과제 ○ 신남방정책의 3P와 한-메콩 정상회의 체제와 기능의 구체화 □신남방정책의 3P와 아세안공동체 구축전략의 상호관계성 ○ 2017년 11월에 발표된 신남방정책의 3P인 평화(Peace), 공동번영(Prosperity), (People)이 [...]
DETAIL
2018 | 한국의 사회동향 2018 | 이재열
연구책임자: 이재열 지원기관: 통계청 문의: kossda@snu.ac.kr / jyyee@snu.ac.kr 보고서 바로가기
DETAIL
2018 | AI 환경에서 Agent의 페르소나 및 성격 설계 | 이준환
연구책임자: 이준환 지원기관: (주)LG유플러스 문의: joonhwan@snu.ac.kr 보고서: 직접문의 목차 프로젝트 추진 경과 INTRODUCTION STUDY1: 사용자 맥락 조사 STUDY2: 페르소나 구성요소 조사 STUDY3: 멀티 페르소나 UX조사 STUDY4: 다중 가이드라인 UX조사 CONCLUSION APPENDIX A APPENDIX B APPENDIX C APPENDIX D REFERENCES
DETAIL
2018 | 한·중관계 갈등 사례의 분석 및 함의 | 정재호
연구책임자: 정재호 지원기관: 외교부 문의: cjhir@snu.ac.kr 보고서: 직접문의 요약문 지난 25년간의 한-중 관계를 돌이켜보면, 양적 성장(成長)에 비해 그에 걸맞은 질적 발전(發展)의 부재에 대해 아쉬운 면이 적지 않다.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무역, 투자, 관광 부문의 양적인 확대에 지나치게 집중해온 나머지 중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이 과도하게 심화되는 경향이 생겨났고, 또 이러한 양적 성장이 한국의 전략적, 외교적 입지에 미칠 수도 [...]
DETAIL
2018 | 한-러 관계발전에 대한 국제적 고찰: 문제점 분석과 새로운 분석 방법 제시 | 윤익중
연구책임자: 윤익중 지원기관: 한국국제교류재단 문의: youn@hallym.ac.kr / sbsrus@snu.ac.kr 보고서: 직접문의
DET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