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 신남방정책 : 3P 분야별 대메콩 협력 격상 전략 연구 | 최경희
- 연구책임자: 최경희
- 지원기관: 외교부
- 문의: kallikyung@daum.net
개요
가. 주요 연구내용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크게 다음과 같음
○ 신남방정책의 3P와 아세안공동체 구축전략의 상호관계성
○ 對메콩협력을 둘러싼 국제관계적 동학
○ 한국의 對메콩협력현황과 과제
○ 신남방정책의 3P와 한-메콩 정상회의 체제와 기능의 구체화
□신남방정책의 3P와 아세안공동체 구축전략의 상호관계성
○ 2017년 11월에 발표된 신남방정책의 3P인 평화(Peace), 공동번영(Prosperity), (People)이 함의하는 바를 정리함.
○ 2018년 11월 신남방정책추진 전략과 비전을 분석함.
○ 신남방정책의 3P가 아세안공동체 건설의 세 축인 정치안보, 경제 그리고 사회문화들과 어떤 상호연계성을 갖고 있는가를 검토.
○ 신남방정책의 3P와 아세안공동체건설계획뿐만 아니라 아세안연계성전략과 하위부분발전전략(메콩포함)과 어떤 상관성을 갖는지를 정리함.
□對메콩협력을 둘러싼 국제관계적 동학
○ 일본, 중국, 미국, EU 등 주요 선진국의 전략을 분석함. 일본은 ADB를 이용해 GMS(Greater Mekong Subregion) 용어를 사용했음. 중국은 ‘란창-메콩 정상회 의(Lanchang-Mekong Summit)’를 통하여 메콩 이니셔티브를 움직이고 있음. 미국의 경우, 한동안 대동남아정책이 주춤하였다가 ‘인도-태평양전략’ 발표이후 다시 활발해 질 것으로 보임.
○ ADB, MRC, MI 등 메콩과 관련된 개발은행과 지역다자협력 거버넌스의 현황을 검토하고, 특히 한국정부와 긴밀한 MI(Mekong Institute)의 인적자원 및 활동을 분석하여, 발전방안을 검토함. 특히 메콩 당사국들의 입장 차이 및 핵심활동국가인 태국의 역할에 대한 분석 등을 포함함.
○ 국제관계적 동학이 움직인 메콩협력에서 ‘한국은 어떤 차별화된 전략’을 갖고 있을 수 있는지를 도출해 보고자 함.
□한국의 對메콩협력현황과 과제
○ 한-메콩 관계가 형성시점과 진화과정에 대한 평가를 진행함.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에서 다양한 부처와 기관에서 진행하고 있는 다차원적인 메콩협력프로그램에 대한 전수조사와 이에 대한 분석을 시도함.
○ 이에 기존 사업들을 체계화, 범주화하여 이후 여러 사업들에 대한 포지셔닝 작업을 진행하고자 함. 각 사업범주에 맞는 사업지도를 정리하고자 함.
○ 결과적으로 한국의 對메콩협력의 주요과제들을 도출하고자 함.
□신남방정책의 3P와 한-메콩 정상회의 체제와 기능의 구체화
○ 지속가능한 평화와 한-메콩협력
-기존 한-메콩 협력 중에서 ‘정치안보’영역을 메콩이슈와 결합한다는 것은 처음 시도하는 것으로서, 한-메콩협력차원에서 ‘지속가능한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어떤 인식과 아젠다가 필요한지를 검토함.
-한-메콩 채널은 다자협력체제로서, 메콩유역국가들과 연관된 ‘전통적 안보이슈’ 및 ‘비전통안보이슈’와 한국과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함.
-접경지대 평화협력 거버넌스로서 한-메콩협력의 의미는 첫째, ‘수원국의 기존 경험’이 북한의 개혁개방에 따른 변화에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를 분석할 수 있음. 국경을 맞대고 있는 국가 간 협력의 장애와 장점 등을 분석함. 둘째, 메콩유역 역내 국가들 사이의 갈등 이슈들-종족갈등, 문화갈등-에 대한 조명을 통해, 한국의 메콩외교의 내용적 확장을 도모함.
-냉전유산극복의 경험으로서 한-메콩회의가 의미하는 바가 큼. 메콩은 원래 인도차이나 반도 전쟁의 전쟁터였음. 그러다가 “전쟁”에서 “시장”으로 그 성격이 변화하여, 평화의 공간이 되었음. 이것이 의미하는 바와 형성배경 및 동학이 무엇인가를 정리함. 그 외에도 향후 한국과 베트남 관계의 진전도 ‘냉전유산극복’과제이기도 함. 또한 “평화의 시대에 냉전의 유산을 어떻게 전환시킬 것인가”라는 질문 속에 한-메콩협력 아젠다를 정리하고자 함.
○ 포용적 공동번영과 한-메콩협력
-민간차원의 경제협력은 공공기관에서 직접적으로 관여할 수 있는 영역은 아니지만, 올바른 방향제시를 한다거나 레버리지로 작용할 수 있는 부분은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노력해야 한다고 봄.
-예를 들면, 기존 한-메콩 비즈니스 카운슬의 실효적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 현지에 진출해 있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SR)을 통한 민간차원의 협력을 내실화할 수 있는 구상은 가질 필요가 있음.
-현지참여적 ODA 협력: 현지참여적인 ODA협력 모델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 기존에 했던 ODA를 어떻게 발전시킬 수 있는가와 연관됨. 새로운 ODA형태인 법제 ODA, 무역ODA의 실효화를 위한 논의도 정리될 필요가 있음.
-포용적 경제협력: 한국과 메콩국가들 모두 ‘포용적 경제(inclusive economic)’개념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 부분을 한-메콩 협력에 적용한다고 했을 때, 개발격차해소와 아세안 중소기업정책(SMEs)과 어떤 상호관계성이 있는지를 밝히고, 사업모델을 제시할 수 있음.
○ 사람중심의 공동체와 한-메콩협력
-신남방정책의 3P 중에 핵심키워드를 뽑으라면, ‘사람’일 것임. 그래서 한-메콩협력 아젠다 중에서 ‘사람’에 초점을 맞춘다면 어떤 상상이 가능한지를 정리하고자 함. 특히 ‘사람’은 ‘살아있는 생명체’로서 한국에 와 있는 ‘메콩 유역 사람들’과 현지에 있는 ‘메콩 유역 사람들’, ‘메콩에 있는 한국 사람들’의 인식과 행위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작업이 필요함. 이러한 인식은 ‘국민외교’의 구체적인 하나의 모습이 될 수 있다고 봄.
-서로에 대한 상호이해가 신남방정책의 핵심일 수 있기 때문에, 아세안 문화원과 각 지역에 있는 다문화센터를 네트워크 속에서 ‘상호이해 프로그램’을 가동해서, 아세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음. 특히 한국에 와 있는 메콩유역국가들을 모국으로 둔 ‘다문화 가정의 2세’의 교육과 청년창업과 그들의 사회적 활동 등을 지원하고, 강화 및 확대 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음. 한국에 와 있는 메콩유역출신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인권문제, 귀환이주프로그램 문제 등과도 연관됨.
-메콩유역의 문화재 발굴 분야 협력도 중요함. 이러한 문화재 발굴은 메콩유역국가들에게는 지속가능한 관광협력이슈와도 긴밀한 관련을 맺을 수 있음.
-무엇보다 메콩유역 개발 국가들의 가장 큰 숙제인 ‘빈곤문제’극복을 위해 ‘인적자본개발’에 한국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정리할 필요가 있음.
목차
Ⅰ. 서론 1
- 연구배경 1
- 연구목적 1
- 연구내용 1
가. 주요연구내용
나. 연구방법
Ⅱ. 신남방정책의 3P와 아세안 공동체 구축전략의 상호관계성 5
- 신남방정책의 역사적 의미 5
가. 신남방정책의 시작
나. 신남방정책의 발생적 의미
다. 신남방정책 추진체계
- 사람공동체와 아세안사회문화공동체 8
가. 신남방정책 추진전략 Ⅰ: 사람 공동체
나. 아세안 사회문화공동체: 6대 영역과 18개 중간범주
다. 두 공동체 전략 비교
- 상생번영 공동체와 아세안경제공동체 11
가. 신남방정책 추진전략 Ⅱ: 상생번영공동체
나. 아세안 경제공동체: 5대 영역과 30개 중간범주
다. 두 공동체 전략 비교
- 지속가능한 평화와 아세안 정치·안보공동체 15
가. 신남방 추진전략 Ⅲ: 평화공동체
나. 아세안 정치안보공동체: 3대 영역과 11개 중간범주
다. 두 공동체 전략 비교
Ⅲ. 국제사회의 對메콩 협력현황과 의미 20
- 아세안의 연계성 강화와 메콩 협력 20
가. 아세안 연계성 마스터플랜 2025
나. MPAC 2025와 한국의 메콩 협력
- ADB GMS 프로그램의 진화와 메콩 협력 21
가. 확대메콩지역(GMS) 경제협력 프로그램 전략(2012-2022)
나. GMS 하노이 실행 계획(2018-2022) 다. GMS와 한-메콩 협력
- MRC의 대메콩 수자원 협력의 진전 23
가. MRC 5개년 전략(2016-2020)과 2017년 결과보고서
나. MRC와 메콩 협력
- MI의 인적자원 네트워크 구축 25
가. MI의 주요 협력 사업
나. MI와 메콩 협력
- 태국 주도 ACMECS의 메콩 이웃국가와의 협력강화 26
가. ACMECS의 주요 협력 사업
나. ACMECS와 한-메콩 협력
- 일본, 중국, 미국, EU 등 주요 선진국의 對메콩 협상전략과 시사점 27
가. 일본
나. 중국
다. 미국
라. EU
마. 시사점
IV. 한국의 對메콩 협력현황과 과제 32
- 한-메콩 관계의 형성과 발전과정 32
가. 한-메콩관계의 형성
나. 한-메콩관계의 발전
다. 한-메콩 협력기금
- 한-메콩 정치・행정협력 현황과 과제 35
가. 한-메콩 개별 국가 간 관계의 발전
나. 구체적 정치·행정협력 현환
다. 법제협력 사업
- 한-메콩 경제협력 현황과 과제 39
가. 메콩국가의 경제사회 지표
나. 한-메콩 투자와 교역
다. 한국의 對 메콩 ODA 현황과 2019년 계획
- 한-메콩 인적교류 56
가. 메콩 국민의 국내 장기체류: 결혼·취업·유학
나. 한-메콩 간 양방향 관광
다. 메콩지역 한국 교민 및 기업 현황
- 한-메콩 연계성과 지속성관련 협력 현황과 과제 59
가. 연계성
나. 지속성
V. 신남방정책의 3P와 한-메콩 정상회의 체제와 기능의 구체화 68
- 지속가능한 평화와 한-메콩협력 68
가. 다자협력 거버넌스로서 한-메콩 정상회의
나. 접경지대 평화협력 거버넌스로서 한-메콩 정상회의
다. 냉전유산극복의 경험으로서 한-메콩 정상회의
- 포용적 공동번영과 한-메콩협력 80
가. 포용경제의 현실화를 위한 중소기업 참여를 강조한 ‘포용적 한-메콩 비즈니스 포럼’현실화
나. 공정경제를 위해 메콩유역국가의 기술수준 향상에 기여
다. 메콩 맞춤형 법제도 기준 협력
라. 신남방정책과 조화를 이루는 메콩 맞춤형 ODA
- 사람중심의 공동체와 한-메콩협력 88
가. 상호 방문객 증대
나. 일반 국민 및 전문가 대상 교류 프로그램 활성화
다. 인적자원 개발 및 역량강화
라. 메콩 출신 체류 국민들의 권익 보호 및 증진
마. 메콩 출신 국민들의 적응력 향상 및 한국인들과의 사회통합 증진
바. 보건의료 및 위생개선 사. 아동보호 및 여성 권한 강화
VI. 결론 109
- 내용요약 109
- 정책제시 111
참고문헌 116
대표사업 Ⅰ∼Ⅴ122
한-메콩 ODA 사업 방향성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