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마을은 ‘사회적 분열 위기’ 풀 수 있는 기본 현장이죠”
[창립소장 임현진 교수(시민사회 프로그램 디렉터) & 공석기 공동연구원 인터뷰]
임현진 서울대 명예교수(사회학)와 공석기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가 최근 <마을에 해답이 있다>(진인진)를 펴냈다.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동안 국내외 50여곳 마을을 돌아다니며 연구한 결과물이다. 한국 사회학 원로인 임 교수와 반세계화를 연구하던 공 교수는 왜 ‘마을’에 방점을 찍었을까?
지난 18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연구실에서 만난 저자들은 “자칫 한국사회가 ‘두 개의 국민’으로 분열될 수 있는 위기의 순간”이라고 입을 모았다. 경제적 불평등과 사회적 양극화가 심화하는 가운데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 정규직과 비정규직, 도시와 농촌, 젠더 및 세대 사이에서 불거지는 갈등들이 그 방증이다. 저자들은 마을이 이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실천적 단위라고 말했다. 마을은 “사회생활의 집합이자 경제활동의 기본 장소”이기 때문이다. 단순히 거주하는 행정동을 넘어 공동체성을 회복했을 때 마을의 기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