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죽은 자가 산 자를 구하는 시간
[구기연 HK교수(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서아시아센터)]
지난 21일 캐나다와 영국이 주요 7개국(G7) 가운데 처음으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했다. 이튿날 유엔총회장에서는 프랑스가 뒤를 이었다. 호주·룩셈부르크·몰타·벨기에 등도 이 대열에 동참했다. 오랫동안 선언적 구호로만 머물러온 ‘두 국가 해법’이 세계의 구체적 행동으로 이어지기 시작한 것이다. 국제사회가 팔레스타인 문제를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지점에 다다랐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흐름이다. 팔레스타인의 운명이 다시 국제 정치 무대 한가운데 놓였다는 점은 중동 정세의 중대한 전환점이다.
[연합뉴스] 아프리카 연구 지원은 전략적 투자…중일 크게 앞서
[조준화 선임연구원(아시아-아프리카센터)] 지난 6월 세네갈 수도 다카르에서 열린 ‘아프리카-아시아: 지식의 새로운 축’ 학술대회에 참석했다. 필자는 2019년 처음으로 아프리카 관련 학회에 참가했다. 그때와 비교하면 지난 6년 동안 아프리카 연구의 주제와 접근법은 훨씬 다양해졌다. 특히 아시아와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학문적 연구는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기사 원문 바로가기: https://www.yna.co.kr/view/AKR20250806034700898
[동아일보] 한국·아랍소사이어티&국회 글로벌외교안보포럼, 11일 세미나 공동 개최
[구기연 HK교수(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서아시아센터) 참석] (재)한국-아랍소사이어티는 국회 글로벌외교안보포럼과 함께 지난 11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왜 우리의 미래가 중동에 있는가?’를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 …(중략)…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구기연 교수는 한국 AI 기술의 중동 확산을 위해 극복해야 할 과제로 언어와 문화적 차이를 들었다. 그는 아랍어의 특수성과 종교·문화적 배경 차이로 인한 콘텐츠 필터링 및 서비스 연속성 문제를 지적하며, 현지화 전략의 필요성을 […]
[경향신문] 가자에서 아이들이 죽어간다
[구기연 HK교수(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서아시아센터)]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매일 사람들이 굶어 죽어가고 있다. 가자 보건부에 따르면 8월22일 현재 기아로 숨진 이는 최소 273명이고, 그중 112명은 어린이다. 가자지구 아이들의 앙상한 체구는 눈 뜨고 보기가 힘들 정도다. 굶주림과 탈수로 쓰러져가는 아이들의 팔에는 영양실조가 중증임을 알리는 ‘적색’ 진단 팔찌가 감겨 있다. 가슴을 먹먹하게 하는 이 장면은 전쟁이 아니라 굶주림이, 그것도 의도적으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