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 실크로드의 재조명 – 문명의 통로로서 전라북도의 재발견 | 정현주

  • 연구책임자: 정현주
  • 지원기관: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문의: jung0072@snu.ac.kr

개요

가. 연구 개발의 목적

(1) 연구개발 목적

■ 본 연구과제의 목적은 고고역사자료와 자연환경자료를 통합하여 전라북도 지역의 역사적 발달과 연관된 경로와 활동영역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반도 문명교류 통로를 복원하는 것이다. 또한 연구 수행의 결과물 공유를 위해 웹기반 시공간지리정보서비스 플랫폼 (Web-based Spatio-temporal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인 ‘실크로드피아(Silkroadpia)’를 개발하고자 한다.

(2) 연구개발 목적 실현을 위한 목표

(가) 기술적 목표

■ 본 과제의 1차년도 개발 목표는 실크로드피아 시제품 시범운영과 이를 학술연구에 활용하는 것이다. 웹기반 시공간지리정보서비스 플랫폼(실크로드피아)의 시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과제의 기술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① 소프트웨어 개발

– 경로 및 영역 복원 시뮬레이션 알고리듬(MEPTA)을 개발하여 소프트웨어 등록

② 플랫폼 서버 구축

– 인문사회 데이터와 자연환경 데이터 등 다양한 속성정보를 시공간자료와 통합한 DB를 설계하고 구현하여 플랫폼 서버에 장착

③ 사용자 참여형 플랫폼 구축

– 클라이언트(전문가,일반인)에 따라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웹 브라우저로 정보 제공(모두 공개) 및 자료의 검토와 업데이트(일부 전문가) 가능한 서버-클라이언트 환경 구축

(나) 사회•공공적 목표

■ 본 사업의 사회•공공적 목표는 국토공간정을 뒷받침하는 이론적 근거를 탐색하고 이를 지역재생을 위한 컨텐츠로 가공하여 제안하며 관련 정보를 공익적 목적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공유하는 것이다.

① 문명교류 통로의 과학적 시각화

– 경로 및 영역 복원 시뮬레이션 알고리듬(MEPTA)를 통해 복원된 경로 및 영역권 정보와 실크로드피아에 축적된 인문•사회•자연지리 자료를 통합하여 전라북도 지역을 경유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명교류 통로들을 시각화

② 전라북도의 지정•지경학적 위상 제고

– 이 지역을 경유했던 문명교류의 통로들에 대한 과학적 복원은 전라북도의 역사적 정체성 및 한반도와 동아시아에서의 위상에 대한 재조명을 가능하게 함

– 특히 전라북도 동부 내륙의 가야 유적들과 경상도 가야 유적들 간의 공간적 관계를 MEP TA 알고리듬을 통해 밝혀내는 작업은 최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가야사 연구에 중요한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음

③ 한반도의 지정•지경학적 위상 제고

– 전라북도 서해안 지역의 포구 및 항구의 ‘해양 실크로드’ 상에서의 역할을 부각시키는 작업은 실크로드, 일대일로 담론 등 최근 국제적인 지정•지경학적 논의에서 소외되었던 한반도의 세계 문명교류사에서의 지정학적 위상에 대한 제고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음

④ 문화적 컨텐츠 개발

– 문명교류의 ‘길’을 소재로 한 다양한 문화적 컨텐츠를 제시하는 작업은 향후 이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문화상품 개발, 지역재생에 기여할 수 있음

(다) 학술적 목표

■ 본 사업은 인문/사회 및 자연/공학의 학제적 융합을 높은 수준에서 구현하고, 그 성과를 다양한 매체를 통해 확산시키는 것을 학술적 목표로 설정하였다.

– 학제적 융합: 주제의 기획에서부터 자료의 수집, 알고리듬의 개발, 시제품 운영과 평가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인문, 사회, 자연, 공학 전공자의 긴밀한 협업, 상호 조언, 학제적 상호학습을 전제로 함

– 성과확산: 융합적 연구성과의 학계 및 사회 확산은 학술대회 발표, 심포지엄 개최 등을 통해 진행하고, 연구의 최종 성과물을 담은 5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출판

목차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

가. 연구 개발의 목적 1

(1) 정책적 필요성 1

(2) 연구 개발 목적의 실현을 위한 구체적 목표 1

(가) 기술적 목표 1

(나) 사회・공공적 목표 2

(다) 학술적 목표 2

나. 연구 개발의 필요성 3

(1) 정책적 필요성 3

(2) 기술적 필요성 3

(3) 학문적 필요성 3

다. 연구 개발의 범위 4

(1) 정보의 수집과 분석 4

(2) 한반도 문명교류 유산 관련 통합 시공간 DB 구축 4

(3) 공유 플랫폼 제작 4

(4) MEPTA 알고리듬 개발 4

(5) 전라북도 옛길 및 영역권 복원 결과의 활용 4

 

  1. 연구수행내용 및 성과 5

가. 연구의 이론적・실험적 접근 방법 5

(1) 애자일 방법론을 통한 플랫폼 개발 6

(2) 데이터의 공유를 통한 새로운 가치 형성 8

(3) 융복합적 연구 전략 및 연구 결과의 추구 9

(4) 경로추정 알고리듬 개발을 위한 최소비용경로분석 방법론 적용 11

(5) 경로추정 알고리듬의 비용면 생성 위한 카테나 사면분류법 적용 13

(6) 알고리듬의 자동화 추구 – 사면분류 및 산지구분의 자동화 방법론 적용 17

(7) ‘지리학적 시각화’ 접근을 통한 경로 및 영역권에 대한 새로운 사고의 틀 제시 18

(8) ‘집단의사결정기법’ 적용을 통한 경로 설정 변수 결정 20

(9) ‘경관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을 통한 과거 경로의 의의 찾기 21

(10) 길과 지정학 담론의 접목 22

(11) 연구의 대상에서 활용의 대상으로: ‘문화재’ 의 의미의 확장 24

나. 연구 개발 추진 25

(1) 연구 개발 추진 체계 25

(2) 연구 개발 추진 전략 26

(3) 연구 개발 추진 일정 28

(4) 연구 개발 추진 기록 30

다. 연구 수행 내용 38

(1) 실크로드피아 플랫폼 제작 38

(가) 실크로드피아의 시스템 개발 38

(나) 데이터베이스 구축 46

(다) 서버 구축 47

(2) MEPTA 알고리듬 개발 – 경로 추적 소프트웨어 구현 48

(가) 최소비용경로 분석 48

(나) 비용면의 생성 48

(다) MEPTA 알고리듬의 소프트웨어 개발 62

(라) 경로 결정의 인문역사적 요소에 대한 전문가 설문조사 67

(3) MEPTA 알고리듬 개발 – 영역권 복원 소프트웨어 구현 71

(가) 영역권 추정의 전제 71

(나) 영역권 추정을 위한 밀도 자료 생성 및 분석 74

(다) 영역권 표출 방식 개발 77

(4) 전라북도 옛길 및 영역권 복원 관련 자료의 수집 및 분석 79

(가) 매장문화재 공간정보의 수집 및 분석 79

(나) 고고역사민속 자료의 수집 및 분석 82

(다) 인문자연지리 자료의 수집 및 분석 86

(5) 실크로드피아 플랫폼 및 MEPTA 알고리듬 평가 87

(가) 실크로드피아 플랫폼의 경로 및 영역권 관련 데이터 평가 87

(나) 실크로드피아의 경로 추정 기능 및 결과 평가 89

(다) 답사를 통한 경로 평가 94

라. 연구 개발 성과 98

(1) 실크로드피아 공유 DB 구축 및 실크로드 공유 플랫폼 기술 개발 98

(2) MEPTA 알고리듬 기반 경로 탐색 소프트웨어 등록 115

(3) 연구성과 확산을 위한 학술대회 개최 118

(가) 제1차 국내 학술대회 (2019.6.25.) 118

(나) 제2차 국내 학술대회 (2019.11.23.) 123

(다) 제1차 국제 학술대회 (2019.11.27.) 128

(4) “실크로드의 재조명 – 문명의 통로로서 전라북도의 재발견” 정책보고서 134

(5) 전문 학술지(등재지/등재후보지 이상)에 학술논문 5편 출판 135

(가) 논문 1: 카테나 개념을 이용한 사면유형화 방법의 개발과 적용가능성 135

(나) 논문 2: 실크로드피아(SiIkroadpia)의 활용과 문화유산의 창출 136

(다) 논문 3: 실크로드 담론과 고대길 복원의 지정학적 의미 137

(라) 논문 4: 전라북도 문명교류 유산 데이터 통합관리 및 활용방안 138

(마) 논문 5: 관계적 공간론을 통한 실크로드 담론 및 고대길 복원의 재인식 139

마. 연구 결과 141

(1) 기술적 성과: MEPTA 알고리듬의 구현, 웹플랫폼의 개발, 연동체계 구축 141

(2) 문화재 활용 성과 1: 과거 ‘네트워크’ 표현의 수단 제공 142

(3) 문화재 활용 성과 2: 길의 문화 컨텐츠화 차원에서 자료 제공 145

 

  1.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 기여도 148

가. 목표 148

(1) 연구의 거시적 목표 148

(2) 거시적 목표의 실현을 위한 연구 개발의 구체적 목표 148

(가) 기술적 목표 148

(나) 사회・공공적 목표 149

(다) 학술적 목표 149

나. 목표 달성 여부 150

(1) 기술적 목표 달성 여부 150

(2) 사회・공공적 목표 달성 여부 151

(3) 학술적 목표 달성 여부 161

다. 목표 미달성 시 원인 및 차후대책 162

(1) 기술적 목표 미달성 내용 162

(2) 사회・공공적 목표 미달성 내용 164

(3) 학술적 목표 미달성 내용 165

 

  1.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166

가. ‘전라학’ 공간정보 공유데이터베이스 구축 166

(1) ‘전라학’ 의 확립을 위한 기존의 노력 166

(2) ‘전라학’ 의 성장을 위한 비전: 공간정보의 축적과 공유 167

(3) ‘전라학’ 공간정보 공유데이터베이스 구축 로드맵 167

나. 대한민국의 세계경영을 위한 의사결정 플랫폼의 기능 168

다. 실크로드피아 공유 플랫폼 활용 범주의 확장 170

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와의 협력 171

마. 제3차 국가지도집 편찬사업에 활용 172

바. 국토인터넷방송(LIBS)에 활용될 수 있는 사업성과 홍보영상 생성 172

사. 길의 문화 콘텐츠화를 위한 로드맵 제시 176

(1) 실크로드피아를 활용한 길의 문화 콘텐츠화를 위한 로드맵 176

(2) 실크로드피아를 활용한 길의 문화 콘텐츠화를 위한 시뮬레이션 1:전주-보광재-경복사지 길 복원 및 답사 178

(3) 실크로드피아를 활용한 길의 문화 콘텐츠화를 위한 시물레이션 2:백제부흥운동 길 복원 및 답사 186

 

붙임. 참고문헌 198

 

부록 1. 전문가 설문조사 설문지 및 경로 관련 추가 의견 203

부록 2. 투고된 논문 2편, 저서 1편 원고 및 투고 증빙 자료 215

부록 3. 학술회의 발표 자료집 3권 증빙 자료 234

 

<별첨> “실크로드의 재조명 – 문명으로 통로로서 전라북도의 개발견” 정책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