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의 섬, 전선의 금문도
중국 양안 대치의 마지막 상징인 금문도의 현대사를 총괄 기술한 역사서 『냉전의 섬, 전선의 금문도』가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아시아근현대사 총서 6권으로 번역 출간되었습니다. 중국제국 말기와 근대 중국 현대사 전문 연구자인 마이클 스조니 하버드 대학 교수가 2008년 출판한 Cold War Island : Quemoy on The Front Line
이 원본이고, 정영신 카톨릭대학교 교수와 김민환 한신대학교 교수가 공동 번역했습니다.
2021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중국 양안 대치의 마지막 상징인 금문도의 현대사를 총괄 기술한 역사서 『냉전의 섬, 전선의 금문도』가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아시아근현대사 총서 6권으로 번역 출간되었습니다. 중국제국 말기와 근대 중국 현대사 전문 연구자인 마이클 스조니 하버드 대학 교수가 2008년 출판한 Cold War Island : Quemoy on The Front Line 이 원본이고, 정영신 카톨릭대학교 교수와 김민환 한신대학교 교수가 공동 번역했습니다. 진인진은 금문도 및 양안관계 관련해서 2016년 『냉전의 섬 금문도의 재탄생』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세계 속의 아시아연구 총서’ 제14권)과 『양안에서 평화와 통일을 생각하다』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의 파라파쳄 평화시리즈 4권)를 발간한 바 있으며, 금문도 관련 주요 연구 사례인 『냉전의 섬, 전선의 금문도』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저자인 마이클 수조니 교수는 중국 명, 청 시대를 연구한 역사학자로서 2001년 학술회의차 방문을 계기로 금문도에 머물면서 주민들과 접촉하고 지역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경험하면서 금문도 역사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저자는 문헌연구를 현장 조사 및 구술사와 결합하고, 지방사를 활용하여 더 넓은 범위의 답을 모색하는 고유의 방법론을 적용해서 『냉전의 섬, 전선의 금문도』를 저술했습니다.
『냉전의 섬, 전선의 금문도』 모두 14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는데, 서론과 결론을 제외한 12개 장이 각각 3장으로 구성된 파트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서론인 1장은 1958년 8.23포격이 시작되는 시점의 금문도 주민들의 경험을 첫 문장으로 시작하여 이 책의 문제의식과 논의의 배경을 제시합니다.
1부 ‘부상하는 지정학화’에서는 모두 5개의 장을 할애하여 금문도가 2개의 중국 정권이 대치하는 최전선의 군사요새로 변모하는 과정과 양상을 소개합니다. 주요한 군사 분쟁 사건들과 함께 금문도의 전시 지배체제의 양 축인 ‘전지정무’와 ‘진먼 민방자위대’가 구축되어 가는 과정이 상세하게 기술됩니다.
2부 ‘군사화와 지정학화의 변화 과정’에서는 군사화가 심화되는 과정에서 변모되는 금문도의 일상을 60년대 삼민주의모범현 만들기 정책과 70년대 전투촌과 지하 진먼을 중심으로 기술합니다.
3부는 냉전시대의 일상이라는 범주에서 전시경제, 여성의 삶, 토속신앙과 결합된 심리전 등이 소개됩니다. 우리나라에도 알려진 금문고량주나 포탄 탄두로 제작된 부엌칼, 특약다실 등을 비롯하여 냉전 상황에서 특수하게 전개된 일상의 모습들이 흥미롭게 소개되어 있습니다. 특기할 만한 것은 전통무속신앙과 결합한 심리전에 대한 내용인데, 무당들을 매개로 한 원혼들에 대한 내용을 객관적인 사료로 활용한 점이 이채롭습니다.
4부는 양안관계의 개방이후 탈군사화와 후군사화의 전개과정에 맞추어 변화를 모색해가는 금문도의 모습이 그려집니다.
『냉전의 섬, 전선의 금문도』은 앞서 발간된 2권의 국내 연구서와 더불어 냉전시기에서 후군사화에 이르는 과정에서 최전선 지역인 금문도가 감내할 수밖에 없었던 고통과 일상의 회복 양상을 상세하게 기술한 역사서로서 향후 남북관계 개선을 통해 평화체제를 구축해야 하는 한반도의 과제에 타산지석이 될 것입니다.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머리말 7
일러두기 13
역자서문 15
제1장 서론 : 비일상적 장소에서의 일상적인 삶 25
·세계 속의 진먼 35
·책의 자료와 개요 40
PART I 부상하는 지정학화 45
제2장 구닝터우 전투 47
·구닝터우 이전의 진먼 50
·진먼과 구닝터우 52
제3장 전쟁지구의 정치, 1949-1960 63
·임시 군사화(Ad hoc militarization) 64
·전지정무에 대한 이론과 실행 68
·마을 정치 72
·감시와 억압 83
·결론 87
제4장 1954-55년 포격전 89
·전투의 기억 93
제5장 군사화와 진먼 민방자위대, 1949-1960 103
·천둥 훈련(Thunder Exercise) 111
·민방자위대 노동 114
·결론 121
제6장 1958년 포격전 125
·전투의 기억 131
·운반 137
·소개(疏開) 140
·결론 146
PART II 군사화와 지정학화의 변화 과정 149
제7장 1960년대: 삼민주의모범현(三民主義模範縣) 만들기 153
·발전 계획 155
·쥐꼬리와 위생 159
·군사화된 근대 시민을 대상으로 한 생정치(biopolitics) 168
·경계 넘기 171
·결론 181
제8장 1970년대: 전투촌과 지하 진먼 185
·전투촌의 이론과 실제 187
·전투촌 모델의 기원 194
·전투촌의 지정학 197
·이념 교육과 대중 캠페인 202
·결론 208
PART III 냉전 시대의 일상 211
제9장 전시 경제 213
·전통 경제 216
·군사화된 발전국가 217
·산업화, 국유기업과 농업의 확대 222
·지·아이·조(G. I. Joe) 사업 231
·두 기업가 236
·지·아이·조 사업의 문제들 243
·결론 250
제10장 여성의 삶: 군영 내 공창, 행진, 동원된 근대의 상징들 255
·매춘부로서의 여성 258
·군인의 아내 270
·아내와 어머니로서의 여성 282
·군인으로서의 여성 286
·진먼의 여성 군인들 295
·결론 299
제11장 냉전의 귀신과 신 303
·애국 장군의 사당 304
·민간 신앙의 통제와 감시 306
·왕유란(王玉蘭) 숭배 308
·군인, 마을 사람, 그리고 도교 314
·지정학과 해석 양식: 유동하는 기표로서의 왕유란 322
PART IV 탈군사화와 후군사화 327
제12장 탈군사화와 후군사화 329
·진먼 민주화 운동 331
·비상사태의 종식 336
·새로운 진먼의 831 345
·밀수업자, 관광객, 소삼통(小三通) 350
·왕유란과 정체성의 정치 353
·결론 359
제13장 기억과 정치 361
·고통(suffering)의 담론 366
·행위성의 담론 370
·향수의 담론 376
·세 가지 담론의 해석 378
·결론 385
제14장 결론: 배가된 주변성 387
·세계 속의 진먼 396
부록 411
일러두기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