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덩실덩실 AsIA문화축제

일시: 2025년 10월 28일(화) 14:00-18:00 장소: 서울아트책보고 워크룸

Start

2025년 10월 28일 - 4:00 pm

End

2025년 10월 31일 - 6:00 pm

Address

서울아트책보고 워크룸

2025 덩실덩실 AsIA문화축제는 AsIA지역인문학센터가 준비하는 온라인 대중 강연 시리즈인 ‘아시아를 빛낸 책들’을 미리 만나 볼 수 있는 행사로 대한출판문화협회, 서울아트책보고와 함께합니다.

‘아시아를 빛낸 책들’은 아시아의 각 명저를 통해 각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탐구하며 책 속에 담긴 지혜를 전합니다. 세상이 점차 연결되며 다양한 문화와 역사를 가진 이들과 소통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아시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 각 지역의 전문가들이 소개하는 명저 속에서 답을 구하려 합니다.
이번 덩실덩실 AsIA문화축제는 그 중에서도 서아시아의 명저에 대한 강연 일부를 미리 만나 볼 수 있습니다.


김정아: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와 통번역대학원, 대학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중세 아랍 산문과 디아스포라 문학이다.『수전노』, 『한 밤의 지도』, 『무깟디마』 등 여러 작품을 우리말로 옮기며 아랍문학의 세계를 국내에 꾸준히 소개해 왔다.

곽새라: 페르시아어 문법』, 『이란어 표준교재』, 『통번역을 위한 페르시아어 관용어 사전』 등 다수의 저서를 통해 체계적인 언어교육의 기반을 마련하였고,‘페르시아어의 다의성’과 ‘문화어휘의 인지언어학적 분석’ 등 연구를 통해 언어와 문화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있다.

이난아:『터키 문학의 이해』, 『오르한 파묵, 변방에서 중심으로』, 『오르한 파묵과 그의 작품 세계』 등 여러 저서를 집필하였으며, 『내 이름은 빨강』을 비롯해 60편이 넘는 터키 문학 작품을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또한 김영하의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등을 터키어로 옮기며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이끌고 있다.

김능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앙대학교, 한성대학교 등 여러 대학에서 아랍어와 아랍문화를 가르치며 후학을 양성해 왔고, 교육부 교육과정 심의회 아랍어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국내 아랍어 교육의 기틀을 다졌다. 또한 외국어고등학교와 일반고등학교 아랍어 교과서 집필에 참여해 교육 현장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한국중동학회, 한국이슬람학회,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등 주요 학회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특히 2020년에는카타르 정부가 주관하는 셰이크 하마드 번역상을 수상하여 아랍문학 한국어 번역의 공로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MORE DETAIL

Email

mz369@snu.ac.kr

아시아연구소 페이스북

페이스북에서 연구소의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각종 신청 및 자료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관련 신청서 및 자료실

아시아연구소 오시는 길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를 찾아오는 방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