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도 제3회 학위논문상 수상자 포럼

일시: 2023년 11월 08일(수) 15:00-17:3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국제회의실(303호)

Start

2023년 11월 8일 - 3:00 pm

End

2023년 11월 8일 - 5:30 pm

Address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국제회의실(303호)

Photos

Review

이번 제3회 학위논문상 수상자 포럼에서는 한-인도네시아 수교 50주년을 맞이하여 인도네시아를 주제로 학위논문을 작성한 수상자들의 발표를 듣는 시간을 가졌다.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소속 정정훈 박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소속 김효정 박사, 그리고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박준영 학생이 각각 자신의 학위논문 작성 과정과 내용을 발표하였다. 토론에는 성신여자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소속 고우정 박사와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다양성+Asia 소속 최서연 박사가 참여해주었다.

먼저, “발리 우붓 지역 관광발달과 전통의 재구성: 뉴꾸닝 주민의 문화적 실천을 중심으로” 라는 제목의 박사학위 논문으로 시상한 정정훈 박사는 자신의 단행본 <노란 코코넛 마을>에도 소개된 발리섬 뉴꾸닝 마을에서의 현지조사과정과 그를 토대로 한 분석 내용을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개인적 삶과 학위 논문 작성 과정을 어떻게 병행했는지, 그 와중에 발리에서의 현지조사를 무사히 마치게 된 과정을 상세하게 소개해주었다. 발리섬의 작은 마을이었던 곳이 어떻게 관광지로 발전하게 되는지, 특히 오고 가는 여행가들과의 관계, 여러 종교적 의례, 문화자원의 확장, 국가와 지역의 분리과정 등에서 관광과 전통 담론이 투영되는 과정을 설명했다.

다음으로 “인도네시아와 한국 여성농민의 대안농업운동을 통해 본 ‘생태시민되기’에 관한 연구”라는 제목의 박사학위 논문으로 시상한 김효정 박사 또한 자신의 논문 작성 및 현장연구 과정을 소개했다. 그녀는 여성학과 생태 담론, 농촌 연구 등과 같이 다양한 이론적 틀의 교차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자신의 연구 주제 및 관점이 자리잡게 되었는지 설명해주었고, 여성농민 공동체의 대안농업 실천이자 운동이라는 공통점을 가진 인도네시아와 한국의 사례를 비교 연구하게 된 과정에 관해 발표했다. 그녀에 의하면, 여성농민들은 대안 농업을 통해 생태와의 관게성을 변화시키고, 이러한 힘을 바탕으로 생태적이고 시민적인 경험 세계를 재구축해 나가는 동시에 지역의 사회변화를 이끄는 행위자로서 새로운 주체되기의 과정을 발현한다. 즉, 이러한 과정을 “생태시민되기’라는 개념으로 포섭하게 된 것이 연구의 핵심이었다.

마지막으로 “탈식민주의 비관주의와 대안적 공간 실천”이라는 제목의 석사학위 논문으로 시상한 박준영 학생은 탈식민주의의 지리적 차원이라는 자신의 관점에 관해 소개하면서 발표를 시작했다. 기존의 시간론적 탈식민주의와 의미론적 탈식민지 사이의 소모적 논쟁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3의 공간”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대안적 탈식민주의 공간 실천의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식민적 양가성(혼성성)을 활용한 탈식민주의 공간 실천과 구체적인 실천론을 결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인도네시아의 파타힐라 광장을 사례로 들며, 광장이 어떻게 혼성성의 공간, 즉 역사적 혼성성, 비공식성의 혼성성, 계층적 혼성성이 함께 존재하는 제3의 공간의 모습으로 발현이 되었는지 설명했다.

토론을 맡은 고우정 박사는 김효정 박사의 박사논문에 관하여 그 비교연구가 가진 의미 및 정치적 의의에 관한 질의응답을 이어 나가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인도네시아와 한국 사이의 비교연구를 했다는 공통점을 가진 두 박사들이 각자가 생각하는 한-인도네시아 비교 연구의 장단점에 관해 논의할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최서연 박사는 정정훈 박사의 논문을 “위태로운 균형 상태”로 볼 수 있다며 뉴꾸닝 마을을 오고가는 여행자들은 어떠한 성격을 지녔는지, 관광지로 발전한 마을의 생태적 지속성은 어떠한지 등과 같은 질문을 남겼다. 또, 박준영 학생의 논문이 바탕으로 둔 탈식민주의 이론에 대한 언급을 통하여 문학계에서 나온 이론 뿐만 아니라 여러 사회과학적, 정치적 차원의 탈식민주의 이론들을 참고해보면 좋겠다는 제안을 하였다.

MORE DETAIL

Email

hr.snuac@gmail.com

아시아연구소 페이스북

페이스북에서 연구소의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각종 신청 및 자료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관련 신청서 및 자료실

아시아연구소 오시는 길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를 찾아오는 방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