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사회적경제 #비영리 #공동체 #거버넌스
시민사회 프로그램은 한국과 동아시아를 초점 지역으로 삼아 주요 국가들의 시민사회 변화를 비교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영역으로는 크게 환경, 인권 그리고 사회적경제 세 영역으로 나누며, 각 영역의 핵심 주제는 ‘지역개발과 거버넌스’, ‘이주와 다문화’, 그리고 ‘공동체와 연대’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아시아 시민사회가 세계화 과정에 어떻게 적응 및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한국 시민사회의 변화를 알기 위해 ‘시민사회 지형도 분석’을 주제로 전국 차원의 NGO 데이터베이스를 국내 최초로 수행하였다.
- ‘COVID-19 in East Asia and Aftermath: Re-globalization, Democracy and Civil Society’, 한국, 일본, 대만, 베트남 등의 연구자들
참여로 동아시아 지역의 COVID-19 대응을 중심으로 세계화, 민주주의, 시민사회의 문제를 논하는 국제학술회의 2회 개최 - 한국, 일본, 홍콩 등 아시아 지역의 시민사회 연구를 주제로 하는 아시아시민사회 워크숍 시리즈 총 6회 개최
- 도요대학교 GIC와 사회적 혁신을 주제로 하는 공동 워크숍 총 8회 개최
- 도시샤대학교와 생태 환경, 시민참여, 공동체 등을 주제로 한 공동 워크숍 개최
- 임현진(2021). 공정과 통합, 스마트한 리더십이다. 철학과 현실 131
- 林玄鎭(2021). 韓國學全球化的戰略方法論: 基幹韓流經驗的硏究. 當代韓國 110
- 임현진(2021).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 포풀리즘의 도전과 지방자치의 과제. <한국정치학과 세계정치학의 미래>. 뿌쉬낀하우스
- 임현진·박홍규(2021). 남북관계와 공동올림픽 추진: 물 건너간 과제의 복기. 대전환기의 한국 <민주정치>. 중앙books
- 임현진·서문기·윤상우·황석만(2021). <글로벌 아시아: 자본주의 발전과 포스트 발전국가의 미래>.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Lim, H. C. & Kong, S. K.(2020). Civic Engagement in the Energy Transition since Fukushima and its Impact on Renewable Energy Policy Competition in South Korea. Korea Observer 51
- 임현진·장진호(2020). 21세기 문명위기와 세계체제론: 이매뉴얼 월러스틴(I. Wallerstein)의 비교역사적 전망. 아시아리뷰 10(2)
- 공석기·임현진(2020). <마을에 해답이 있다: 한국사회에서 지역 되찾기>. 진인진
- Jonghoe Yang & Hyun-Chin Lim eds. (2019). <Global Capitalism and Culture in East Asia>. Baiksan
- 박준·조철민·공석기·채종헌(2019). <비영리 일자리 확충을 위한 전략 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Lee, J.K., & Lim, H.C.(2018). <Mobile Asia: Capitalisms, Value Chains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in Asia>.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 공석기 외(2018). <한국시민사회를 새롭게하라>. 진인진
- 임현진(2017). <비교시각에서 본 박정희 발전모델>. 진인진
- 김영춘(2017). 소셜벤처의 조직화와 제도화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한. 국창업학회지 제12권 제5호.
- 김태균(2017). 조력자에서 주창자로: 한국 국제개발 시민사회단체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 담론201 제20권 제3호
- 임현진(2015). 한국의 국가와 시민사회 관계: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NGO의 과제. 학술원논문집 인문사회과학편 제54집 2호
- 공석기·임현진(2015). 지역기반 협동조합 활성화 방안연구. 기획재정부 협동조합운영과
- 김태균(2015). 국제개발에서 사회발전으로: 한국 사회의 국제개발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사회발전론의 재조명. 경제와사회 109호
- 공석기외 (2015). 2015 비영리민간단체 DB구축사업보고서: 전수조사 및 표본조사. 행정자치부 민간협력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