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시아센터

· 이슬람 금융연구: 한국연구재단 2018년 선정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이슬람금융은 대안적 금융인가? 동남아 이슬람금융의 원리와 실천’을 수행 · 신흥지역 연구: 아세안공동체 출범 이후 아세안 신흥국의 역동적 변화와 성장 잠재력에 주목 · 동남아지역 지식확산 프로젝트: 전문가 초청 강연 및 동남아 열린 강연 진행 · 학술활동: 지역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이슈페이퍼 및 정책보고서 출간

TELEPHONE:
02-880-2695/2098
OFFICE: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409호
E-MAIL:
seacenter@snu.ac.kr

DIRECTOR:

채수홍 교수
동남아시아센터장 / 서울대 인류학과 교수

Categories

지역 연구센터

#아세안 #동남아VIP국가 #신남방정책 #이슬람금융 #메콩지역연구

동남아시아센터는 2012년 설립되어 동남아시아 지역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정보를 생산하고 이를 폭넓게 제공하고 있다. 동남아시아 지역 전반에 대한 종합적이고 학제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국내외 동남아 관련 연구소와 네트워크를 유지 및 발전시키는 동시에 동남아시아에 대한 대중적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동남아 열린 강연 시리즈를 진행하고 있다.

  • 연구 아젠다: 한국과 아세안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동남아에 진출하거나 진출을 계획하는 한국기업의 사회적책임(CSR)에 대한 연구, 동남아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CSR 활동과 로컬 사회에 대한 영향 탐색
  • 동남아 초청강연: 동남아 각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를 초청한 학술 강연 진행
  • 동남아 열린강연: 1학기에는 동남아 한국기업의 CSR, 2학기에는 베트남, 인도네시아 역사를 주제로 하여 동남아 지역에 관심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지역 전반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는 열린 강연 진행
  • 동남아 연구 소모임 지원: 동남아를 연구대상으로 학위 논문을 구상하는 연구자를 지원하는 후학양성 프로그램 운영
  • 학술활동: 지역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이슈페이퍼 및 정책보고서 출간
  • 고영경(2021). Family Firms, Directors’ Remuneration, Expropriation And Firm Performance in Malaysia: Evidence From Non-Executive Directors’ Service Duration Within The Remuneration Committee. (Intern‘l Journal of Business & Globalisation, Vol.28)
  • 엄은희(2021). 장기화된 미얀마 위기, 중층적으로 읽기. 황해문화 111
  • 육수현 외(2021). 가족초청제도의 사회통합 기여 가능성 탐색: 결혼이민자 지원 관련 실무자 인터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35 (2)
  • 윤종석·최경희·이주현(2021). ‘지역’으로서의 ‘동아시아’: 메가아시아적 접근의 함의. 아시아리뷰 11(2)
  • 이지혁(2021). 미디어를 통한 종교적 실천: 인도네시아 샤리아 디지털 경제를 중심으로. 아시아연구 24(2)
  • 이지혁(2021). 이슬람 주택금융의 이상과 현실: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사례. 동아연구 40(1)
  • 채수홍(2021). 컴플라이언스, 기업의 사회적 책임, 그리고 파업: Better Work Vietnam. 동남아시아연구 21(4)
  • 최경희(2021). 지정학적 중간국 인도네시아 외교전략: 세 번의 지정학적 단층대 충돌과 선택. 국가전략 27(3)
  • 최경희(2021). 인도네시아 ‘마카시드’ 이슬람경제 추구: 자캇과 자캇노믹스 실천. 동남아시아연구 21(4)
  • 최경희(2021). 인도네시아 스포츠산업 시장진출을 위한 정책지원 방향성: 전문가 심층 면담을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학회지
  • 고영경(2021). <아세안 슈퍼앱 전쟁: 디지털 경제의 판을 흔드는 거대한 시장>. 페이지2북스
  • 이지혁 외(2021). <국제지역과 글로벌 이슈>. 명인문화사
  • 채수홍(2021). <한인의 베트남 정착과 초국적 삶의 정치>. 도서출판 눌민
  • 채수홍 외(2021).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에 관한 종합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최경희 외(2021). <아시아의 정치: 정치체제와 지역성>. 씨아이알
  • 최경희 외(2021). <‘2020 한류, 다음’ 이슬람 문화권 편>.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최경희 외(2021). <아시아와 북방, 문화접점의 확인: 우리는 어디서 어떻게 만나고 있는가?>. 다해
  • 최경희 외(2021). <문답으로 알아보는 평화공공외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 최경희 외(2021). <2021 동아시아전략평가>. 동아시아안보전략연구회
  • 최경희(2020). 민주주의 질 연구: 인도네시아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민주주의연구 16(1)
  • 강영훈 외(2020). 베트남 여성 유학생의 한류 문화 수용과 이상적 미 내면화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2(4)
  • 김경민·박준영(2020). 동남아시아 유학생의 음식 실천과 커뮤니티 양상 비교. 동남아시아연구 30(3)
  • 오명석(2020). 동남아의 증여와 호혜성. 동남아시아연구 30(4)
  • 최경희(2020). ‘사람중심’의 한-아세안 공동체 구축을 위한 문화 및 인적교류 정책의 ‘질적’ 고려. 월간 공공정책 171
  • 최경희(2019). 불확실성 시대 확실한 이웃 아세안, 한-아세안 문화교류로서 관광. 한국관광정책 77
  • 최경희 외(2019). <2019 동아시아 전략평가>. 동아시아안보전략연구회
  • 이선호·이충열(2019). 전통 및 이슬람 주식시장 간의 관계 분석: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동남아시아연구 29(4)
  • 최경희(2018). 북한 문제와 동아시아 지역 협력: 4강 외교에서 5강 외교로. 가톨릭 평화연구 제1권 1호
  • 이지혁(2018). 이슬람 경제의 태동과 그에 따른 한국인의 반응에 대한 다층적 분석. 아시아연구 제 21권 4호
  • 이지혁(2018). <바틱으로 보다: 자바, 인도네시아 이야기>. 세창출판사
  • 오명석 외(2017).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소비문화: 맛과 멋, 공간 그리고 할랄.> 진인진
  • 최경희 외(2017). <동남아의 이슬람화 2>. 눌민출판사

  • 엄은희(2017). 해외진출 한국기업의 현지화와 CSR. 한국지리학회 제6권 제3호

  • 엄은희·신동혁(2017). 태국 전력/에너지 체제의 경로형성과 지속가능성 평가. 동남아시아연구 제27권 제4호

  • 이지혁(2017). 인도네시아 조코위 정부의 세계 해양 중심국 비전과 인프라스트럭쳐 개발에 대한 정치경제적 고찰. 아시아연구 제20권 제1호

  • 이지혁·이수현(2017). 인도네시아 하이브리드 편의점의 태동과 소비문화동. 아연구 제36권 제1호

  • 정법모(2017). 필리핀 2016-선거와 경제발전 그리고 자주외교동. 남아시아연구 제27권 제2호

  • 정법모(2017). 초법적 살해, 위험관리의 아웃소싱?-필리핀 주민지도자의 죽음을 사례로. 아시아연구 제20권 제2호

<신흥지역>

  • 10월 한아센안센터 공동기획강좌 책 출판. 한아세안센터와 공동으로 진행한 열린강좌 13 <동남아 경제거인의 어깨에서 아세안 경제 조망하기>의 강의록 공동출간 진행 중
  • 10월 7, 8일 한국연구재단 성과교류회
  • 10월 13, 14일 세계한상대회 네트워크 활성화 및 최고위과정 개설을 위한 참가여부 논의
  • 10월 28일 현지조사 결과 발표회 CJ, 아모레퍼시픽
  • 11월 25일 한아세안센터와 진행하는 기업설명회. 일반인,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 진출하려고 하는 소비재 관련 기업관계자 『소비시장으로서 AEC와 소비트렌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기반구축>

  • 9월 7일 해외문화홍보원(문화체육관광부) [아세안 주요 언론인 초청] – 아세안 언론인 10명특강: “Korea’s changing role in ASEAN Community 2015” – 이요한 박사
  • 9월 10일 홍일표박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Water and Green Growth in Mekong
  • 10월 21일 곽성일 박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의 Aid for trade 동향과 전망
  • 10월 30일 베트남 호치민 인문사회과학대 총장 Dr.Vo Van Sen 한국국제교류재단 초청강연 Towards the comprehensive flourishment of Vietnam-Korea Realtions
  • 11월 11일 말라야 대학교의 Dr. Ahmad Hidayat Buang으로부터 “Building Expertise in Islamic Banking: Malaysia’s Experience”에 대한 강연 ‘현장에서의 인적 자본 양성’이라는 테마를 통해 이러한 변화의 동인을 분석하실 예정이며, 말레이시아 내에서 이슬람 금융이 성공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사회적∙ 종교적∙법적∙정치적∙문화적 배경도 함께 소개할 것. 박광석 한국은행 외자운용원 팀장님의 한국과 이슬람금융의 관계와 현황에 대한 발표.
  • 12월 1일 덴마크 Roskilde University의 Dr. Johan Fischer를 초빙하여, “Southeast Asia and Global Halal Production, Trade, Standards and Consumption”라는 제목의 강연 예정. 글로벌 할랄 인증제를 둘러싼, 종교, 표준, 과학 등이 경합하는 공간에 대한 민족지 소개.
  • 12월 10일 시드니 대학 Dr. Philip Hirsch 초청 강연

<메콩>

  • 9월 21일 메콩연구소(Mekong Institute, 태국 컨깬 소장 간담회 메콩연구소 소개 및 질의 응답
  • 11월 6일 국내학술대회 세션신청 2015 한국지리학대회, 한국공간환경학회 주관의 특별세션 형태로 참여, “국제개발협력과 메콩지역연구의 기여 (International Developmental Cooperation and Contribution of Area Studies: Based on Cases of Mekong Region)”에 대한 주제로 한 발표
  • 메콩연구 Introduction book 출판 예정
일시: 2023년 03월 28일(화) 15:00-16:3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406호
※ 온라인 Zoom, 오프라인 동시 진행
(참가 링크: https://snu-ac-kr.zoom.us/j/7392216816)
일시: 2022년 10월 21일(금) 10:00-18: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영원홀(210호)
※ 온라인 Zoom, 오프라인 동시 진행
(참가 링크: https://snu-ac-kr.zoom.us/j/98299600535)
일시: 2022년 09월 27일(화) 16:00-18: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406호
※ 온라인 Zoom 진행
(참가 링크: https://snu-ac-kr.zoom.us/j/7392216816)
일시: 2022년 6월 23일 (목) 15:00-16:30
※ ZOOM 온라인 진행
(Zoom Link: https://snu-ac-kr.zoom.us/j/7392216816)
일시: 2022년 6월 16일(목) 14:00-16:00
※ ZOOM 온라인 진행
(참가 링크: https://snu-ac-kr.zoom.us/j/91531557817?pwd=N2pMT1UvQnpqaXRuZDc3MGVtM2J4dz09)
일시: 2022년 6월 8일(수) 13:30-17:3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삼익홀
※ 행사 당일 유튜브 생중계 진행
(사전등록: https://togetherday.govent.kr/)
일시: 2022년 4월 14일(목) 15:00-16:30
※ ZOOM 온라인 진행
(참가 링크: https://snu-ac-kr.zoom.us/j/7392216816)
일시: 2022년 1월 17일 (월) 15:00-16:30
※ ZOOM 온라인 진행
(참가 링크: https://snu-ac-kr.zoom.us/j/7392216816)

아시아연구소 페이스북

페이스북에서 연구소의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각종 신청 및 자료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관련 신청서 및 자료실

아시아연구소 오시는 길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를 찾아오는 방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