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개발협력환경의 변화와 한국 ODA의 발전방안
이번 워크숍에서 국제개발협력학회(KAIDEC) 회장인 황원규 강릉원주대 교수는 국제개발협력환경의 변화와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안과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의 정책과제와 발전방안에 대해 발표하였다. 국제개발협력은 1945년-1950년대 전후 안보원조로써 시작되어 2000년대 지구 공공재 보존과 개발을 위한 재각성의 시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변천과정을 겪어왔다. 2000년대의 도래 이후 시민사회에서는 원조의 효과성(Aid Effectiveness)과 관련해서 현재까지 총 세 차례, Rome Forum (2003), Paris Declaration […]
NONKILLING KOREA: Six Culture Exploratory Seminar
» NONKILLING KOREA: Six Culture Exploratory Seminar REPORT (International Conference), Chung-Si Ahn, Oct. 1, 2010 NonKilling Korea: Six Culture Exploratory Seminar Co-organized by Global Center for Nonkilling, Honolulu, Hawaii, USA Seoul National University Asia Center, Seoul, Korea Aug 17th ? 20th Seoul National University Hoam Convention Center (dates/venue) (Sponsors: Korea Foundation, SNU Asia Center) An […]
The Korean War and Southeast Asia (Nicholas Tarling)
Abstract: The effects of the Korean War on Southeast Asia were mainly indirect. War and stockpiling produced an economic boom, flooding the region with dollars and benefiting most Southeast Asian nations like Indonesia, Burma, etc. However, the Korean War affected Asia not only economically but politically as well. It intensified the cold war situation causing […]
일본의 정권교체와 동아시아 공동체 (강상중 도쿄대학 교수)
동경대 한국현대센터 센터장인 강상중교수는 일본의 정치와 동아시아의 미래에 관해 강연하였다. 먼저 50여 년 만의 첫 정권교체로 인한 일본정치의 변화에 대해 설명하였다. 2009년 8월, 일본에서는 하토야마 유키오가 총리에 취임하면서 자유민주당에서 민주당으로의 정권교체가 이루어졌다. 비록 하토야마 총리는 민주당 지지율 하락 등에 대한 책임을 지고 취임 8개월 만에 사퇴하였으나, 그는 일본의 관료지배 타파, 미-일 안보 수정, 그리고 일본의 […]
Globalization, the World Cup and the Prospects for Korean Football
Abstract: Football provides one of the world’s most dynamic and complex illustrations of globalization processes. This lecture explores the interrelationships of football and globalization,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Korean football and the 2010 World Cup finals in South Africa. The discussion draws significantly upon my recently published book, co-authored with Roland Robertson, and entitled Globalization […]
한국 ODA의 과제와 전략 (이련주 국무총리실 개발협력정책관)
이번 워크숍에서 국무총리실 개발협력 정책관인 이련주 국장은 공적개발원조에 대한 전반적 설명과 함께 한국 ODA의 정책의 현황과 과제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공적개발원조)는 정부가 개발도상국의 경제, 사회 발전과 복지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제공되는 자금 또는 기술 협력을 말한다. 이러한 공적 원조는 기본적으로 개발도상국에 대한 인도주의적 목적으로 제공되고, 이 외에도 정치외교적 목적이나 경제적 목적으로도 이루어진다. 우리 나라의 […]
지정학적 화해를 위하여 (류우익 주중국 대사)
류우익 주중대사는 지정학에 대한 바른 이해와 그 극복에 대해 ‘지정학적 화해를 위하여’라는 제목으로 강연하였다. 본래 독일어의 ‘Geopolitik’이라는 말을 번역한 ‘지정학’은 국토의 지리적 속성과 국가의 전략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한반도가 지정학적으로 매우 민감한 지역이라는 사실과 강연자가 중국 대사로 부임한 후 외교관으로서의 활동을 통해서 지정학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다. 지정학의 전성기라고 할 […]
뜨거운 침묵_커뮤니케이션의 핵심 (백지연 C&D 커뮤니케이션즈 대표)
백지연은 대한민국의 대표적 아나운서이자 커뮤니케이션 교육 전문가로서, 최근의 책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뜨거운 침묵”을 포함한 다수의 책의 저자이다. 이 날 백지연은 자신의 경험을 통해서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좋은 스피커가 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에 대해서 강연하였다. 먼저, 좋은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필요한 것은 먼저, 청중분석이다. 즉, 청중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두 번째로, […]
민족주의, 아시아의 보편가치 (정수일 한국문명교류연구소 소장)
정수일 한국교류연구소 소장은 이번 워크숍에서 아시아의 보편가치로서의 민족주의 담론 안에 얼마나 다양하고 합의되지 않은 흐름들이 존재하는 가를 보여주었다. 민족주의란 아시아의 보편가치로 작용해왔다. 특히 유럽이 민족주의 국가 형성과 함께 민족주의가 문제시되어온 것에 비해 아시아에서 민족이라는 가치는 더 오랜 역사적 배경이 있다. 그러나 민족주의 문제는 민족의 문제와는 따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정수일 소장은 민족문제를 발생론과 존재론의 […]
한국 대중가요의 정치사회학 (김장실 예술의 전당 사장)
문화체육관광부 제 1차관을 역임하고 현재 예술의 전당 사장으로 계신 김장실 박사는 1920년대부터 70년대까지의 대표적인 한국 대중가요를 통해 한국 사회의 변화상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번 강연에서는 ‘황성옛터’, ‘꽃마차’, ‘귀국선’, ‘봄날은 간다’, ‘이별의 부산정거장’, ‘삼천포 아가씨’, ‘동백 아가씨’, ‘회전의자’, ‘옥이엄마’, ‘기러기 아빠’, ‘님과 함께’, ‘고래사냥’, ‘돌아와요 부산항에’와 같은 대표적 한국 가요를 통해 당시의 사회상을 설명한다. 특히 이번 강연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