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시아 대중문화소비의 새로운 흐름
변화하고 있는 동아시아의 대중문화 소비의 양상을 중국(대만), 한국, 일본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우선, 글로벌 배경하에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영화시장과 영화산업의 모습을 살펴보고, 중국 성과 시의 문화소비 발전지수 동향을 파악하며, 중국의 시청자들의 드라마 소비취향을 분석한다. 아울러 트랜스아시아 중개자들을 중심으로 TV드라마의 국제 배급네트워크의 진화과정을 살펴본다. 그리고 동아시아에서의 한류문화 소비 양태와 그 다차원성을 중국, 대만, 일본을 중심으로 비교한다. 또한 […]

동아시아 협력과 공동체 – 국가주의적 갈등을 넘어서
『동아시아 협력과 공동체』는 동아시아는 21세기 세계경제의 중심축으로 부상하면서 동아시아 협력과 공동체 건설을 위한 기본적 개념과 모델, 그리고 상호협력의 사례를 제시한 책이다. 제1부는 동아시아 공동체를 설명하기 위한 기본개념과 모델에 대해 논의하며 제2부는 동아시아 공동체를 위한 실질적 협력사례와 상호의존 증대 사례들을 소개한다.

한국과 중국의 사회변동 비교연구
『한국과 중국의 사회변동 비교연구』는 한 명의 연구자가 중국과 한국의 경험을 직접 비교분석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주제별로 두 나라의 교수들이 자국의 사회변동 경험을 분석하는 간접 비교의 방식을 택했다. 한국과 중국의 최고 엘리트들이 연구한 두 나라의 사회변동 양상을 비교하면서 시사점을 찾아내는 것은 독자의 몫인 것이다.

글로벌 NGOs 세계정치의 ‘와일드카드’
급변하는 세계정치… 글로벌 NGOs를 주목하라! 3개 대륙 현지방문 통해 글로벌 NGOs 직접 조사 급변하는 세계정치 무대에 자주 등장하는 글로벌 NGOs에 대해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국제뉴스 면에 반핵, 고래보호, 기후변화, 반세계화와 관련하여 종종 등장하는 그린피스, 국제앰네스티, 아탁 등의 고공액션, 해상시위, 대규모 거리 행진이 글로벌 NGOs 활동의 전부라고 생각하는 것은 오산이다. 글로벌 NGOs는 빈곤, 기후변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