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 마을이 답이다: 상생과 협동의 활성화를 위한 지역의 역할 | 공석기

  • 연구책임자: 공석기
  • 지원기관: 사회적가치연구원
  • 문의: skong@snu.ac.kr

목차

머리말

 

서론 —————–————————————————————1

 

I부 지역 상생과 협동을 위한 키워드

 

1장 끈기 (Perseverance): 지역공동체의 끈기 재발견하기

(1) 사회경제적 맥락과 대안 모색 —————————————————11

(2) 일본 미야자키 아야초에서 지역공동체 끈기를 발견하다 —————————13

(3) 한국 지역공동체 회복력의 재발견: 성남 주민신협 ——————————–19

(4) 안산의 의료사회적협동조합 그리고 용인 수지 느티나무 도서관 ——————–23

(5) 사례 비교를 통한 함의와 과제 ————————————————–28

 

2장 혁신 (Innovation): 지역 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혁신

(1) 사회경제적 맥락과 대안 모색 —————————————————31

(2) 로컬푸드 혁신: 완주 로컬푸드 협동조합 —————————————–33

(3) 수도권 생활협동조합의 혁신: 경기두레생협 ————————————-37

(4) 사회적경제 클러스터: 성수 앨리 & 헤이그라운드 ——————————–41

(5) 사례를 통해 본 혁신에 대한 비교: 함의와 과제 ———————————-46

 

3장 협치 (Governance): 건강한 지역공동체는 정치보다 협치

(1) 사회경제적 맥락과 이론적 배경 ————————————————-49

(2) 수도권 거버넌스 사례: 노원구 에너지제로 하우스 ———————————50

(3) 지방 소도시 협치: 나주 혁신도시 실험 ——————————————-54

(4) 지역 광역도시 거버넌스: 부산 도시재생 프로젝트 ———————————59

(5) 사례를 통해 본 협치 비교: 함의와 과제 ——————————————60

 

4장 소통 (Communication): 소통 정치의 학습과 실천

(1) 맥락과 이론적 배경 ————————————————————63

(2) 촛불의 소통정치, 마을에서 재발견하기 ——————————————65

(3) 소통정치의 실험: 기후정의, 직원협동조합, 도시재생 ——————————66

(4) 마을주민과의 관계 맺기: 공릉동 꿈마을 공동체 ———————————-74

(5) 사례 비교를 통한 함의와 과제 ————————————————–76

 

5장 참여 (Engagement): 주민의 자발적 공동체 참여활동

(1) 맥락과 이론적 배경 ————————————————————79

(2) 귀농, 귀촌인, 새로운 지역 리더인가? ——————————————–80

(3) 지역에서 새로운 리더 세우기 —————————————————85

(4) 마을 공동체를 재건하는 요인: 자원봉사의 아래로부터의 참여 ———————87

(5) 사례 비교를 통한 함의와 과제 ————————————————–92

 

II부 마을 공동체의 실험과 과제

 

6장 공정무역 그리고 공유경제

(1) 사회경제적 맥락 —————————————————————94

(2) 공정무역 도시: 성북구 페어그라운드와 금천구 민들레워커 사례 ——————-96

(3) 정보플랫폼 구축실험: 비투비의 품 프로젝트 ————————————-104

(4) 이론과 실천 그리고 정책적 함의 ———————————————–107

 

7장 에너지전환과 지역공동체

(1) 사회경제적 맥락 ————————————————————–109

(2) 에너지 자립은 필수조건 ——————————————————-110

(3) 에너지 전환: 마을과 기업의 갈등적 협력 —————————————113

(4) 에너지제로하우스 실험: 위로부터 기회의 명암 ———————————-117

(5) 함의 및 정책 과제 ————————————————————119

 

8장 지방 소멸과 분권

(1) 사회경제적 맥락 ————————————————————–120

(2) 농촌은 우리의 미래인가? ——————————————————120

(3) 지방 분권을 위한 과제: 농민, 농촌, 농업의 트릴레마(trillemma) 넘어서기 ———-123

(4) 지방분권을 위한 준비: 귀촌·귀농 청년 부르기 ———————————-127

 

맺음말 지속가능한 미래로서 마을 ————————————————-130

 

참고문헌 ————————————————————————-137

 

[ 표 목차 ]

<표 1> 국내외 현지조사 지역 및 사업 ————————————————9

 

[ 그림 목차 ]

<그림 0-1> 지속가능하고 가벼운 공동체 구축을 다섯 가지 요인 관계 모델 ————–8

<사진 1-1> 미히코 여사 그리고 약선숙사——————————————– 14

<그림 1-2> 아야초 특산물 그리고 가공식품 ——————————————16

<사진 1-3> 운카이주조 그리고 매장 ————————————————-18

<그림 1-4> 성남 주민신협 입구 그리고 옥상 다목적 공간 —————————–22

<사진 1-5> 수지 느티나무 도서관 그리고 책 수레 ————————————27

<사진 2-1> 완주 로컬푸드 ‘진(하게)짜(낸)두유’ ————————————35

<사진 2-2> 성수동 수제화 거리 —————————————————–43

<사진 2-3> 헤이그라운드 ———————————————————–45

<사진 3-1> 노원구 EZ 하우스 ——————————————————52

<그림 3-2> 나주 이음센터 ———————————————————-57

<그림 4-1> 에너지 자립마을 프로젝트: 등용리 마을과 덕암에너지 마을 —————-68

<그림 4-2> 충북 옥천신문과 로컬푸드 옥천살림 ————————————–70

<그림 4-3> 부산 감천문화마을 ——————————————————72

<그림 4-4> 공릉동 청소년정보문화센터 ———————————————-76

<그림 5-1> 성별 분포 ————————————————————–80

<그림 5-2> 연령별 분포 ————————————————————80

<그림 5-3> 출신 지역 분포 ———————————————————82

<그림 5-4> 마을로 들어온 활동가 경력 ———————————————-83

<그림 5-5> 제주 가시리 마을 ——————————————————-85

<그림 6-1> 2016년 서울시 자치구별 공정무역단체 매장 ——————————-98

<그림 6-2> 성북구 페어라운드 —————————————————–100

<그림 6-3> 금천구 민들레워커 —————————————————–102

<그림 6-4> 품 프로젝트, 베라톤 사진자료 ——————————————106

<그림 7-1> 성대골 절전소 운동 —————————————————-112

<그림 7-2> 제주 화순리 에너지 전환 노력 ——————————————114

<그림 7-3> 에너지제로하우스 ——————————————————118

<그림 8-1> 귀농·귀촌 마을 풍경: 진안 대 괴산 ————————————126

<그림 8-2> 귀농·귀향인의 실험: 제주 화순리 ————————————–128

<그림 9-1> 중국 중관촌 실험 이후 변화 ——————————————–132

<그림 9-2> 일본의 실험 ———————————————————–134

<그림 9-3> 지속가능한 마을 모습: 한국, 일본, 스페인, 이탈리아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