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 이주의 교차로

일시: 2019년 4월 2일(화) 12:00-13:00
장소: 아시아스퀘어 (아시아연구소 3층)

Start

2019년 4월 2일 - 12:00 pm

End

2019년 4월 2일 - 1:00 pm

Address

아시아스퀘어 (아시아연구소 3층)

Abstract

1990년대 탈 소비에트 공간에서 발생한 근본적인 정치, 사회, 경제적 변화는 중앙아시아인들의 삶에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켰고, 이에 따른 국외이주도 급격히 증가하였다. 소련 해체 후, 인구의 약 10%인 2,800만 명이 타국으로 이주하였고, 이들 중 약 2,000만 명은 소비에트 타국에 정착하였으며, 나머지 약 600-700만 명은 유럽, 북미, 이스라엘 등으로 이주하였다. 러시아로의 유입이 1,230만 명으로, 2010년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인구 유입국이 되었다. 중앙아시아의 카자흐스탄에서 러시아로의 이주자만 300만 명에 달하였다. 이들은 주로 구소련의 다른 연방공화국에 거주하던 러시아민족으로 자신의 민족지역인 러시아로 이주한 것이다.

중앙아시아는 1990년대 초부터 이주민들의 주요 공급원이었는데, 중앙아시아에서 진행된 국제이주는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났다. 초기의 ‘귀환이주’와 이후 ‘노동이주’다. 귀환이주는 1990년대 구소련을 뒤덮었던 민족주의 분위기 속에서 민족성에 따른 이주현상이며, 노동이주는 급격한 사회경제적 침체 속에 일자리를 찾아 떠난 것이다. 중앙아시아 5개국 중,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은 이주노동자들의 송금경제에 의해 국가경제가 유지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인데, GDP 대비 송금액 비율은 각각 42%, 32%, 25%나 차지하고 있다. 구소련의 아르메니아와 함께 전 세계에서 송금경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월등히 높은 국가이다.

중앙아시아 노동이주의 증가는 최근 한국 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최근 한국 내 불법체류자 증가율 1위는 카자흐스탄이며, 2018년 1-9월 난민신청자 12,600명 중에서 카자흐스탄인이 2,105명으로 전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주로 20대 중반에서 30대 초반의 젊은 층이 압도적으로 높다. 이렇듯 중앙아시아인들의 이주노동은 송금경제라는 측면에서 자국 경제발전에도 중요하지만, 사회문제로서 우리에게도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중앙아시아인들의 국제이주 패턴과 영향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발표자 소개

김효섭 박사는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중앙아센터 선임연구원이다. 서울대학교 지리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은 소련 해체 시기 러시아연방의 민족지역에서 중앙으로부터 지역의 이익을 확대하고, 지역 내 집단의 이익을 실현하기 위한 정치적 기획(지역주의) 과정에서 민족성과 지역 정체성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박사학위 취득 후, 외교(통상)부에서 러시아-CIS 지역을 대상으로 외교통상활동을 하였고, 이후 경희대 국제지역연구원에서 환동해지역, 그중에서 러시아 극동지역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재는 중앙아시아 지역의 인구이동, 교통물류 및 지정학에 관심을 갖고 있다.

Photos

Review

새 학기를 맞이하며 막을 올린 <2019 아시아스퀘어 브라운백 세미나> 시리즈의 두 번째 강연자 중앙아시아센터의 김효섭 선임연구원은 ‘중앙아시아, 이주의 교차로’라는 주제로 아시아스퀘어에 섰다. 김효섭 선임연구원은 중앙아시아 연구 영역에서 ‘이동과 흐름’ 중요한 의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는 말로 강연을 시작하였다.

즉, 이동과 흐름은 인구이동이라는 측면에서 혹은 물자와 물류가 어떻게 이동하느냐에 관한 학문적 결이 기인하는 의제라는 것이다. 특히 중앙아시아의 경우 냉전시대에는 시대적 상황에 따라 이동에 제약이 있었으나 소련 해체 이후 연방공화국 독립이 이루어지면서 사람의 이동에 초점을 두고 국제이주, 초국경이주 등의 이슈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는 주요 의제로 급부상하였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세미나에서는 노동이주, 송금경제 등이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이루어지는지 살펴보았다. 더불어 21세기 글로벌 트렌드로 여겨지는 이주로 인하여 발생하는 중앙아시아인들의 이주노동이 송금경제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사회문제로 여겨지는 상황에서 이들의 국제이주 패턴과 영향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며 본 세미나는 마무리 되었다.

MORE DETAIL

Phone

02-880-2693

Email

heejinchoi@snu.ac.kr

아시아연구소 페이스북

페이스북에서 연구소의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각종 신청 및 자료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관련 신청서 및 자료실

아시아연구소 오시는 길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를 찾아오는 방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