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심분야
동아시아 발전주의 국가론/동아시아의 정치생태학/동아시아의 세계화 및 신자유주의화/위험연구(자연재해, 기후변화 등)
경력
- 2015년 9월-2016년 2월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동아시아도시연구단 방문연구원
- 2015년 7월 독일 본(Bonn) 대학 지리학 박사
- 2008년 9월-2011년 12월 한국공간환경학회 학술위원회 간사
논문(최근3년)
장덕수·황진태. 2017. 한국에서 자연의 신자유주의화의 다중스케일적 과정에 대한 연구: 강원도 양양 케이블카 유치 갈등을 사례로. 공간과사회 27(2): 226-256.
박지혁·황진태. 2017. 수성구는 어떻게 ‘대구의 강남’이 되었나? 지역사회학 18(1): 43-77.
Jin-Tae Hwang · Sang-Hun Lee · Detlef Müller-Mahn. 2017. Multi-scalar practices of the Korean state in global climate politics: the case of the 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Antipode. 49(3). 657-676.
Jin-Tae Hwang. 2017. Changing South Korean water policy after political and economic liberalization. Journal of Contemporary Asia. 47(2): 225-246.
Jin-Tae Hwang. 2016. Escaping the territorially trapped 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 thesis. The Professional Geographer. 68(4). 554-560.
황진태. 2016. 발전주의 도시에서 도시 공유재 개념의 이론적·실천적 전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9(2): 1-16.
황진태. 2016. 발전주의 도시 매트릭스의 구축: 부산의 강남 따라하기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2): 331-352.
황진태. 2016. 동아시아 맥락에서 바라본 한국에서의 위험경관의 생산. 대한지리학회지 51(2): 283-303.
Jin-Tae Hwang. 2016. The Chun Doo-Hwan authoritarian regime’s securitisation of water: the case of the Peace Dam. Scottish Geographical Journal. 132(3-4): 234-245.
Jin-Tae Hwang. 2015. A study of the state-nature relations in a developmental state: The water resource policy of the Park Jung-Hee regime, 1961-79. Environment and Planning A. 47(9). 1926-1943.
황진태·권규상·조영지. 2015. 노점상 연구에서 도시 비공식성 개념의 이론적 · 실천적 함의. 공간과사회 25(3): 54-85.
황진태·정현주. 2015. 페미니스트 공간연구에 다중스케일적 접근 접목하기. 대한지리학회지 50(1): 123-139.
Jin-Tae Hwang. 2014. Territorialized urban mega-projects beyond global convergence: The case of Dongdaemun Design Plaza & Park Project, Seoul. Cities. 40. 82-89.
황진태·박배균. 2014. 구미공단 형성의 다중스케일적 과정에 대한 연구: 1969-73년 구미공단 제1단지 조성과정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1): 1-27.
저서
박배균·황진태 편저, 2017, 강남 만들기, 강남 따라하기: 투기 지향 도시민과 투기성 도시개발의 탄생, 동녘.
이상헌·김은혜·황진태·박배균 편저, 2017, 위험도시를 살다: 동아시아 발전주의 도시화와 핵 위험경관, 알트.
강현수·황진태 편저, 2012, 도시와 권리: 현대도시권리담론, 라움.
Other Events
Event Name | Duration | Event Date |
---|---|---|
동아시아 인류세와 국가: 인간 너머의 국가 이론에 대한 다학제적 토론 | 3 Hours | 2021년 7월 29일 |
서울이라는 방법: 서울 OO을 켜라! | 2 Hours | 2021년 7월 22일 |
코로나 위기를 이해하기 위한 사회-공간변증법적 시선들 | 2 Hours | 2020년 12월 4일 |
2019 한국공간환경학회 추계학술대회 | 8 Hours | 2019년 12월 13일 |
2019 커먼즈네트워크포럼: 투기적 도시 서울이 머금은 도시 커먼즈의 네 가지 색깔 | 4 Hours | 2019년 5월 31일 |
서울의 발전주의 도시화, 정치생태학적으로 읽기 | 0 Hours | 2018년 4월 19일 |
2016년도 상반기 아시아연구소의 아시아연구 연합학술회의 | 5 Hours | 2016년 6월 1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