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ilizing Different Social Capital in Different Social Settings: Com

Utilizing Different Social Capital in Different Social Settings: Comparative Analysis of Localization Process of Japanese, Korean, and Taiwanese Multinationals in mainland China, 2001- 2010Shigeto Sonoda Professor of Sociology, Course Director of ITASIA, GSII and Deputy Director of RICAS, IASA, The University of Tokyo 중국 내륙에 한국, 일본 그리고 대만 등의

Start

2012년 4월 30일 - 12:00 pm

End

2012년 4월 30일 - 8:00 pm

Address

서울대학교

Utilizing Different Social Capital in Different Social Settings: Comparative Analysis of Localization Process of Japanese, Korean, and Taiwanese Multinationals in mainland China, 2001-

2010Shigeto Sonoda

Professor of Sociology, Course Director of ITASIA, GSII and
Deputy Director of RICAS, IASA, The University of Tokyo

중국 내륙에 한국, 일본 그리고 대만 등의 기업들이 투자하면서 현지화(localization) 문제가 사회학적인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현지화 문제는 경영에서 중요한 관심사로서 학문 분과별로 다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중국은 특히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시장으로서 경영 전략에서 현지 노동자들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한 신뢰성있는 연대기적 자료가 부재한 상태다. 현지화 문제를 연구하기 위해 소노다 교수는 ‘언어와 커뮤니케이션’ ‘사회적 자본과 신뢰’ ‘기업에 대한 평가’ 개념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소노다 교수는 2회에 걸친 JSPS 프로젝트(2000-2002, 2009-2012)를 통해 자료 수집을 행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해외 진출 기업인과 현지 노동자 설문 조사를 수행했으며, 슈저우와 광둥 지역에 특정해서 조사했다. 이에 더하여 현지 중국 다국적 기업에 방문하여 현지화 전략에 대한 인터뷰를 수행했다. 이와 같은 조사 결과를 통해 몇가지 발견을 할 수 있었다. 우선 장수 지역의 세 국가(한국, 일본, 대만)의 현지 진출 기업인들에게 있어서 현지 체류의 의미가 모두 다르며, 체류 기간에서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과 일본 기업인들 사이에 중국어 이해 정도에 차이가 드러났으며, 이는 기업인과 현지 노동자들의 기업 내 의사소통에 차이로 나타난다. 사회적 자본과 신뢰 조사에 따르면 한국 기업인들은 “꽌시”를 활용하여 현지 노동자를 고용하는 양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만 기업인들의 중국에 대한 상반된 시야를 통해 의사소통과 신뢰는 다른 차원의 것으로 봐야 할지 모른다는 의문을 제기하게 됐다. 기업에 대한 현지 노동자들의 평가를 통해 기업인들이 노동자들을 존중하고 있다고 느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지 기업인들은 현지 노동자들이 중국과 서구 기업을 더 선호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표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중국 진출 동아시아 다국적 기업에 세가지 이념형을 구분해볼 수 있다. 대만은 Bring-in형이라 할 수 있고, 한국은 “현지 기업인에 의한 적응”형이며, 일본은 “현지 핵심 노동자에 의한 적응”형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노다 교수의 결과에 대해 콜로키움 참가자들은 토론을 통해 사회적 맥락에서 사회적 자본을 활용하는 본 사례에 대해 이해를 심화시켰다.

아시아연구소 페이스북

페이스북에서 연구소의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각종 신청 및 자료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관련 신청서 및 자료실

아시아연구소 오시는 길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를 찾아오는 방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