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쇠퇴도시의 현황과 과제

일시: 2023년 04월 18일(화) 13:30-15:3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국제회의실(303호)

Start

2023년 4월 18일 - 1:30 pm

End

2023년 4월 18일 - 3:30 pm

Address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3호

도시 간의 양극화, 또는 지역 양극화는 21세기 동북아시아를 특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20세기 들어 매우 빠른 성장의 양상을 보인 동북아시아의 도시들 중 적지 않은 도시들이 21세기 들어 쇠퇴라고 하는 새로운 현상을 조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산업의 쇠퇴, 지역 경제의 침체, 인구의 노령화만 아니라 거주민들의 정체성 약화와 지역에 대한 차별과 혐오 등 다양한 사회적 과제가 동북아시아에 자리를 잡게 되었다. 이러한 도전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본 워크샵은 중국 쇠퇴도시들의 현황과 과제에 대한 점검을 통해 동북아시아 도시와 사회가 마주한 과제를 점검하고 대응의 방안을 강구해 나가고자 한다.

Review

1980년대 본격화된 개혁개방, 즉 자본주의로의 전환과 더불어 중국은 세계의 공장이라 불리게 되었다. 그리고 이 변화는 중국의 도시를 변화시켰다. 주강삼각주(광저우, 선전, 홍콩), 장강삼각주(상하이, 항저우, 쑤저우), 그리고 베이징권에 대규모의 산업 생산 기지들이 만들어지면서 산업화와 도시화가 동시에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에게 잘 알려진 중국의 산업화와 지경학적 변화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 뒤에는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들이 있다. 중국 동북지역과 중부 내륙 지역의 산업쇠퇴와 노후공업도시 이야기다. 중국, 러시아, 일본 등 여러 세력들 사이의 교두보이자 교차로로 활용되었던 만주에는 1930년대 만주국의 등장과 함께 산업투자가 대대적으로 이뤄졌고, 만주 지역에 위치한 동북3성은 20세기 중반 내내 중국 내에서 가장 산업생산이 활발한 지역 중 하나였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냉전 및 주변국가의 갈등 역시 중국 도시의 지정학에 영향을 미쳤다. 안보상의 우려에 기초하여 1선이라 불리는 국경지역의 산업시설들을 3선으로 칭해지는 내륙부로 이전하였기 때문이다. 개혁개방 이후의 산업화와 도시화와 비교할 바는 되지 못하겠지만, 1950년대부터 약 30년 사이 이들 두 지역은 중국 내부에서는 상대적으로 산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하지만 1980년대부터 시작된 개혁개방은 중국 도시의 지경학을 바꾸어냈다. 앞서도 밝힌 바처럼 주강삼각주와 장강삼각주, 그리고 베이징권으로 대표되는 해안지역이 산업생산의 거점이 되었고, 이들 지역의 산업은 쇠퇴의 길을 걸었다. 시장경제로의 전환 속에서 국영기업들은 더 이상 노동자들을 보호할 수 없었다. 노후 산업은 그대로 쇠퇴일로를 걷게 되었고, 이를 대체할 산업을 찾을 길은 요원해 보인다.

발표자는 동북아시아의 도시 변화를 읽기 위해서는 산업화와 탈산업화만을 이야기해서는 안된다고 말한다. 냉전과 탈냉전이야 말로 동아시아 도시를 읽는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된다. 대만 가오슝의 변화는 냉전기 산업 개발 전략과 관련이 있고, 일본 태평양 연안 도시들과 동해 연안 도시들 사이의 차이 역시 냉전을 빼놓고는 설명할 수 없다. 동해연안 도시들이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원하는 것 또한 탈냉전이야 말로 동해안 도시들의 활성화와 관련이 있다는 판단이 배경에 자리하고 있다.

Photo

MORE DETAIL

Email

parkhn2@snu.ac.kr

아시아연구소 페이스북

페이스북에서 연구소의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각종 신청 및 자료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관련 신청서 및 자료실

아시아연구소 오시는 길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를 찾아오는 방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