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의학이 눈부신 발전을 이루는 동안, 정신건강 문제는 오히려 경제적 손실을 산정할 정도로 심각해졌습니다. 이에 미국 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는 기존의 증상 중심 진단(DSM)을 넘어 생물학적 특성에 기반한 새로운 접근(RDoC)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한편, 명상과 호흡법 같은 인도 수행전통 기반 치료법들이 임상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마음챙김 기반 스트레스 완화(MBSR),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 등은 이제 스마트폰 앱으로까지 일상에 깊숙이 들어왔습니다. 2021년 3월까지 ‘Mindfulness & Meditation’ 관련 학술논문만 약 2만 건에 달하며, 2000년대 중반 이후 급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법들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 대한 이해는 부족합니다. 예컨대 ‘불교’ 전통에 뿌리를 둔 MBSR도 실제로는 근현대 미얀마 불교 근대화 운동의 산물입니다. 인도 전통은 2천 년 넘게 다양한 치유법을 발전시켜 왔으나, 이러한 풍부한 유산이 제대로 조명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에 네브라스카 의대 황순조 교수와 서울대 강성용 교수가 국제 공동 연구를 추진합니다. 한국 팀은 원전 분석을 통해 인도 치유 전통의 역사적 발전을 재평가하고, 미국 팀은 fMRI 등을 활용해 수행법의 뇌과학적 효과를 검증할 예정입니다. 현재 소규모 공동연구가 진행 중이며 논문 심사 중이고, 미국 NIH에 연구프로젝트를 신청한 상태입니다.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남아시아센터 주최로 워크샵을 개최하니, 많은 관심과 참여부탁드립니다.
발표자 약력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세브란스병원 정신과 전공의 수련/전문의 취득
미국 New York Medical College/Westchester Medical Center에서 정신과 수련/전문의 취득.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McLean Hospital/Harvard Medical School에서 소아청소년정신과 펠로우쉽 수련.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미국연방정신건강연구원)에서 임상/리서치 펠로우 수련.
현재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에서 정신과 리서치디랙터, Center for Advanced MRI 코디랙터.
Neuroimaging, 특히 functional MRI를 이용한 인지, 감정, 행동 등의 병리학적인 기전, 그 중에서도 신경생물학적 기전을 연구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치료법을 적용하는 임상연구들을 소아청소년과 성인 정신과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중.
연관 성과를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를 비롯한 다수의 저널과 Society of Biological Psychiatry 등 학회에서 발표.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National Institute of General Medical Sciences, Brain and Behavior Research Foundation, Ministry of IT/Technology/Science of South Korea 등 다수 기관 지원으로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 진행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