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akers

시간대 | 역할 | 이름 | 소속 | 발표 주제 |
10:20-12:00 | [세션#1] 경계를 넘는 유라시아의 난민들: 난민 이동과 사회문화적 영향 (103호) | |||
사회 | 강윤희 | 국민대 | ||
발표1 | 고가영 | 서울대 중앙아시아센터 | 타지키스탄을 경유하는 아프가니스탄 난민들의 정체성 변화: 젠더 역할과 종교 정체성을 중심으로 | |
발표2 | 최아영 | 서울대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 | ‘국경 너머로 던져놓은 꿈’: 타지키스탄에 거주하는 아프가니스탄 난민 아동 교육 | |
발표3 | 황의현 | 서울대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 | 정체성과 난민 문제: 이라크와 시리아의 사례 | |
토론 | 백일순(서울대 아시아연구소), 구기연(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이경수(한국외대) | |||
[세션#2] 이주배경주민의 거주지 이동과 정주, 그리고 대중 인식 (113호) | ||||
사회 | 조영희 | 이민정책연구원 | ||
발표1 | 윤수진 | 서울대 | 이주배경주민의 집거지 이탈현상 및 영향요인 분석: 영등포구 대림동을 중심으로 | |
발표2 | 황인혜 | 경상국립대 | 경상남도 한부모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국내이동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
문은솔 | 경상국립대 | |||
백지인 | 경상국립대 | |||
서보경 | 경상국립대 | |||
발표3 | 한기덕 | 고려대 | 이주배경주민의 지속 정주의향 영향요인 연구 | |
발표4 | 백양현 | 서울대 | 정량적 분석을 통한 이민정책연구: 한국사례의 텍스트마이닝 접근법 | |
전대호 | 서울대 | |||
토론 | 임성숙(충남대), 고재훈(전북대) | |||
[세션#3] 이민정책의 동학과 실천 과제: 노동과 건강 (114호) | ||||
사회 | 이충훈 | 전북대 | ||
발표1 | 유하영 | 이화여대 | 사우디아라비아와 카타르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요인 분석: 이주노동자 정책을 중심으로 | |
발표2 | 이지영 | 서울대 | 민관협력 이주노동자 지원기관 실무자의 실천 경험을 통해 본 제도화된 이주노동자 지원기관의 한계, 가능성과 그 함의 | |
발표3 | 김보은 | 국립정신건강센터 | 한국 거주 이주민의 미충족 의료 현황 및 관련 요인 | |
토론 | 한준성(강릉원주대), 이기호(서울노동권익센터), 이서영(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 |||
12:00-13:00 | 점심 | |||
13:00-13:20 | 개회식 | |||
축사 및 인사말 | 한건수 | 강원대 | ||
축사 및 인사말 | 정현주 |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아시아이주센터 | ||
축사 및 인사말 | 신범식 | 서울대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 | ||
13:20-15:00 | [세션#4] 이주와 공간: 이론, 데이타, 사례를 통한 교차 연구 모색 (103호) | |||
사회 | 한건수 | 강원대 | ||
발표1 | 정현주 |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아시아이주센터 | 이주 연구의 공간적 전환 | |
발표2 | 이효중 | 서울대 | 이주 배경 주민의 공간적 분포와 주거 분리 | |
발표3 | 문경연 | 광운대 | ‘하이브리드’ 축제 공간 만들기: 창원과 대만 신베이시의 축제 사례를 통해 본 지역성·문화다양성의 연결 | |
토론 | 김철효(경상국립대), 최영미(한양대 글로벌다문화연구원), 최선영(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아시아이주센터) | |||
[세션#5] 경계를 넘는 유라시아의 난민들: 난민 이동과 정치경제적 영향 (113호) | ||||
사회 | 신범식 | 서울대 | ||
발표1 | 백승훈 | 한국외대 | 아랍의 봄 이후 난민 이동의 경제적 영향 | |
발표2 | 바딤 슬랩첸코 | 서울대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 | 아프간 난민 수용 정책 비교 연구: 타지키스탄과 우즈베키스탄 사례 분석 | |
발표3 | 김선희 | 서울대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 | 우크라이나 난민 유입이 폴란드 정치 지형에 미친 영향 | |
토론 | 노다솔(한국외대), 정재원(국민대), 주송하(국민대) | |||
15:00-15:20 | 휴식 | |||
15:20-17:00 | [세션#6] 이주, 교육, 그리고 정체성: 유학생과 미등록 이주아동 (103호) | |||
사회 | 정은주 | 인천대 | ||
발표1 | 김도혜 | 덕성여대 | 한국 대학 유학생 정책과 유학생의 위치성 | |
발표2 | 김혜옥 | 경북대 | 진입과 퇴장의 괴리: 비수도권 국립대학 인문사회계열 대학원 중국 유학생을 중심으로 | |
이상직 | 경북대 | |||
구치우옌 | 경북대 | |||
양샤오시아 | 경북대 | |||
발표3 | 이창호 | 한양대 글로벌다문화연구원 | 허가받지 못한 미래: 미등록 이주아동의 성인기 전환과 이후의 삶 | |
토론 | 고민경(경북대), 최원근(한국외대), 김현옥(경상국립대) | |||
[세션#7] 동포와 지역사회: 돌봄과 건강, 그리고 상생 (113호) | ||||
사회 | 노고운 | 전남대 | ||
발표1 | 남부현 | 선문대 | 고려인 학부모의 자녀돌봄 경험과 사회적 이슈 | |
박미숙 | 선문대 | |||
발표2 | 송영호∙최영미 | 한양대 글로벌다문화연구원 | 이주민노인의 사회적 고립과 건강: 중국동포와 고려인동포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발표3 | 박정용 | 순천향대 | 도시재생사업은 이주민을 위한 것인가?: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곡2동의 사례 | |
토론 | 허정원(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아시아이주센터), 정종민(전남대), 문경연(광운대) | |||
[세션#8] 타자를 만드는 난민 서사와 제도적 대응 (114호) | ||||
사회 | 한준성 | 강릉원주대 | ||
발표1 | 김승아 | 한국외대 | 21세기 독일의 무슬림 난민 혐오, 과거 구동독 이탈 주민 차별의 잔상인가?: 타자화를 중심으로 | |
발표2 | 김효진 | 한국외대 | 중앙아시아 주요 국가들의 이주 및 난민 문제에 대한 제도적 대응 분석: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을 중심으로 | |
발표3 | 정유진 | 한국외대 | 2018년 제주 예멘 난민 유입과 난민 없는 난민 혐오: 2018년 국회의원 발의안을 중심으로 | |
토론 | 유혜림(서울대 한국정치연구소), 바딤 슬랩첸코(서울대학교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 황의현(서울대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 | |||
17:00-18:00 | 한국이민학회 총회 (103호) |
Photos
Review
12월 13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한국이민학회,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아시아이주센터, 서울대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의 공동 주최로 2024 한국이민학회 정기 하반기 학술대회 “이주, 경계, 공간: 이주민/난민과의 공생을 향한 길을 묻다”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개최했다. 2024 한국이민학회 정기 하반기 학술대회는 총 9개의 세션에서 38개의 발표가 이루어졌다. 특히 이주연구와 공간연구의 접목을 탐색한 이번 학술대회의 특별 기획세션인 “이주와 공간: 이론, 데이터, 사례를 통한 교차 연구 모색”(세션 4)에서 센터장 정현주가 대표로 발표하였다(“이주연구의 공간적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