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귀사(高貴寺)소장 금강반야바라밀경 산스크리트사본군을 중심으로 그외의 현존 사본과의 전후(前後) 내지는 신고(新古)관계 그리고 고서체적(古書体学)적 접근을 통한 연대측정을 시도하는 한편 언어 및 용어상의 변모를 음미해본다.
고귀사(高貴寺)소장 금강반야바라밀경 산스크리트사본군을 중심으로 그외의 현존 사본과의 전후(前後) 내지는 신고(新古)관계 그리고 고서체적(古書体学)적 접근을 통한 연대측정을 시도하는 한편 언어 및 용어상의 변모를 음미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