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의 문명 교류 프로그램 특별강연

일시: 2025년 2월 25일(화) 15:00-18: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4호

Speakers

권오영 교수
아시아의 문명 교류 프로그램 디렉터 /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

Start

2025년 2월 25일 - 3:00 pm

End

2025년 2월 25일 - 6:00 pm

Address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4호

唐朝 출사 非漢人 출신 관인의 존재 양상-고구려 유민과 소그드인 묘지명을 중심으로
발표: 김수진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고대 산잉지역의 제의와 장송의례
발표: 권오영 (서울대학교 역사학부)

Photos

Review

2025년 2월 25일,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4호에서는 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의 김수진 선생님과 서울대학교 역사학부의 권오영 선생님을 모시고 각각 ‘唐朝 출사 非漢人 출신 관인의 존재 양상-고구려 유민과 소그드인 묘지명을 중심으로’와 ‘고대 산잉지역의 제의와 장송의례’라는 두 주제로 특강이 진행되었다.

우선, 제1발표의 주제는 크게 고구려 유민의 묘지명과 소그드인의 묘지명을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당 사회에서 두 집단의 유화 방향성과 속도를 비교, 연구하는 것이었다. 당이라는 사회에 이주한 고구려 유민의 실상 규명을 위해서는 고구려 유민 자체에 대한 연구는 물론이고, 당으로 이주한 비한인 출신 이주자와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비한인에 대한 당조의 인식을 통해 고구려 유민의 위상을 재고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성(姓)으로 그 출자를 분명히 알 수 있는 소그드인과 고구려 유민을 비교하여 당에 이주한 비한인의 존재 양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고구려 유민의 경우 묘지명에 초기에는 자신들이 고구려 출신임을 밝혔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파천’ 등으로 중국 출자를 표방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반면, 소그드인의 경우 세대에 따른 출자 표기의 경향성이 없고, 혼재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그 경향성을 찾기가 어렵다고 밝혔다. 한편, 혼인의 경향을 살펴보면, 고구려 유민은 대체로 한인과 혼인한 것으로 보이지만, 소그드인은 한인 또는 소그드인을 선택할 수 있는 여건이 있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고구려 유민과 소그드인은 당 현종대 그 활약상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는 점과 한화 지향성과 속도가 다르다는 점을 밝히며 발표를 마무리하였다.

이어진 제 2발표에서는 교류의 측면에서 산잉지역의 중요성을 밝히고, 일본 전역의 차원에서 유물과 유적을 통해 산잉지역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검토하였다, 우선, 발표자는 한국의 역사학과 고고학 연구자들이 산잉 지역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로, 이 지역이 해양교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는 점, 고대국가에 대한 기존 통설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점을 들었다.

다음으로 산잉지역에 대해 태평양 연안이 아닌 동해 연안에 위치하여 야마토와 지리적 차이가 있으며, 한반도와는 환동해문화권이라는 공통점이 있다고 언급하였다. 한편, 산잉지역에서 영남지역의 토기, 철기, 유리가 발견되고, 북부 큐슈 지역과의 공통된 내세관과 이를 표현한 묘제가 발견된다는 점에서 문물교류의 과정에서 야마토가 아니더라도 북부큐슈, 큐슈를 매개로 한 한반도와 동남부, 동부와 긴밀한 관계를 가졌음을 나타내는 증거로 보았다. 한편, 산잉지역이 일본 고대신화에서 가장 중요한 지역이며 관련 유적이 다수 발견되었다는 점 또한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고진다니유적, 니시다니분묘군, 이시우마다니고분 등 산잉지역의 여러 유적을 소개하며 발표를 마무리하였다.

강연이 끝난 이후에는 참가자들의 적극적인 질문이 이어졌다. 당 사회에서 현실적으로 묘비명이 어떤 식으로 수용되었는지, 묘지명이라는 텍스트에 대한 접근 방식, 연구 방향성, 동해-시마네, 돗토리 루트의 실제 모습 등의 논의가 제기되었고, 이에 대한 참가자 간의 활발한 토론이 이루어졌다.

MORE DETAIL

Phone

02-880-2099

Email

wnsgh1019@snu.ac.kr

아시아연구소 페이스북

페이스북에서 연구소의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각종 신청 및 자료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관련 신청서 및 자료실

아시아연구소 오시는 길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를 찾아오는 방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