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들이 산스크리트어 맛을 알아? 사끼야 빤디따 뀐가겔첸의 샵다와 라사 설명

일시: 2025년 3월 28일(금) 18:00 ~ 20: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3호

Start

2025년 3월 28일 - 6:00 pm

End

2025년 3월 28일 - 8:00 pm

Address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3호

이번 워크샵에서 발표자 조석효는 13세기 티벳의 대표적인 인도학자이자 불교학자인 사끼야 빤디따 뀐가겔첸(Sa skya Paṇḍita Kun dga’ rgyal mtshan, 1182-1251. 이하, 사뻰)의 여러 저서들의 해당 부분들을 통해, 그가 산스크리트어와 인도학에 대한 연구를 통해 티벳 제학문의 기초를 확립한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을 설명한다.
1) 사뻰의 산스크리트어에 대한 이해와 학문 활동에 있어서 그 필수성에 대한 강조.
2) 사뻰이 최초로 시도했던 단딘(Daṇḍin, Dbyug pa can)의 『시경(詩鏡)』(Kāvyādarśa, Snyan ngag me long) 번역이 이후 티벳학자들의 저술의 운율과 표현 방식에 미친 영향.
3) 그가 연구한 인도의 라사 이론이 이후 티벳 제 예술 해석에 미친 영향.


발표자 : 조석효(경남대학교)

Photos

Review

남아시아센터에서는 2023년 하반기부터 인도의 다양한 고전 문헌을 신진학자들과 관심있는 학생들이 함께 모여 강독하고 토론하는 워크샵을 진행해왔다. 이 워크샵은 학기 매월 1회씩 3회, 1년간 총 6회 가량 개최되었다. 이번 3월 28일 금요일 18:00~20:00시에 열린 10회 워크샵 ‘니들이 산스크리트어 맛을 알아?’에서는 인도 밖의 지역, 티벳에서 성립한 ‘티벳 산스끄리뜨학’에 관한 강독이 진행되었다. 발표자 조석효 박사는 하버드 대학에서 티벳학을 전공하였고, 경남대학교에서 학술연구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티벳에서 최초로 진정한 의미에서의 인도학 연구를 시도했던 사꺄빠(Sa skya pa)의 학승(學僧) 사끼야 빤디따 뀐가겔첸(Sa skya Paṇḍita Kun dga’ rgyal mtshan, 1182-1251)의 산스크리트어 문법학(vyākaraṇa, brda sprod)과 시학(kāvya, snyan ngag) 연구를 각각 샵다(śabda, sgra)와 라사(rasa, nyams)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그의 연구가 후대 티벳불교지성사의 전개에서 끼친 영향 역시 설명하였다. 이번 강독 워크샵에서는 강의실을 가득 채울 정도로 평소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참석하였는데, 몽골어 및 아랍어 연구자들까지도 함께하는 열띤 시간이었다.

MORE DETAIL

Phone

02-880-2868

Email

csas@snu.ac.kr

아시아연구소 페이스북

페이스북에서 연구소의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각종 신청 및 자료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관련 신청서 및 자료실

아시아연구소 오시는 길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를 찾아오는 방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