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 ‘메가아시아’ 총서 시리즈 발행 - 1단계(3년) 총 9권 · 아시아 현지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킹을 위한 지식공유플랫폼 구축 · 메가아시아 지역 연구자 및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운영 · 지역인문학센터 운영

TELEPHONE:
02-880-2693
OFFICE: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5호

DIRECTOR:

박수진 교수
소장 / 서울대 지리학과 교수

Categories

오픈 클러스터

#메가아시아 #아시아비교지역연구 #데이터스토리텔링 #융복합연구 #아시아지역전문가양성

아시아연구소는 2020년도 HK⁺지원사업의 해외지역분야 사업단으로 선정되었다. ‘메가아시아와 아시아들: 정체성, 역동성, 데이터텔링’이라는 아젠다로 2020년 5월 1일 출범한 아시아연구소의 HK⁺사업단은 ‘메가아시아’란 개념을 통해 아시아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인식을 정립하고자 한다. 비교지역연구 및 융복합 연구의 적용과 확대를 통한 아시아 지역학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이 아시아연구소 HK⁺사업단의 비전이며, 7년의 사업기간 동안 아시아 지역 전문가를 양성하여 세계 아시아 지역 연구의 3대 허브로 도약하고자 한다.

  • ‘메가아시아와 아시아들: 정체성, 역동성, 데이터텔링’ 아젠다를 내세우며, 과거의 역사적 원형과 유산을 추적하고, 현재의 상호작용 및 사회적 실천·담론을 검토함으로써 ‘메가아시아’의 존재 가능성을 타진하고 그 개념을 규정 함
  • 연구총서 발간을 위한 연구: 세미나(16회) 및 워크숍(31회)
  • 2차년도 세부주제 ‘현실에서 작동하는 아시아’를 위한 연구: 세미나(20회) 및 학술논문(5편)
  • ‘메가아시아 연구의 기초: 개념, 시각, 그리고 방법’ 주제의 연구성과 공유를 위한 심포지엄 개최(2022.1.20~21)
  • 아젠다 연구의 심화·확산을 위한 국제 콘퍼런스(5회) 및 국내 콘퍼런스(2회)
  • 고일홍(2022). 네트워크 시각화와 고고학 자료의 활용: 낙랑고분의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79(1)
  • 고길곤·허정원·박정민(2021). 대도시 코로나19 대응 비교: 확산양상과 정책대응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3(2)
  • 고일홍(2021). 고고학 자료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외래유물 유통망 검토: 영남지역 무덤 출토 오수전의 해석을 위한 융복합적 시도. 아시아리뷰 11(1)
  • 고일홍·조민재(2021). 아시아 문화유산’ 출판물 키워드 분석: 서구적 관점에서 아시아를 해석하는 또 하나의 방법론. 아시아리뷰 11(2)
  • 구기연·백일순(2021). 국내 신문 기사로 살펴본 한국의 난민 이슈와 변동. 대한지리학회지 56(2)
  • 구기연·황의현(2021). 타자화를 넘어선 서아시아 지역 정체성 형성의 여정: 이란을 중심으로. 아시아리뷰 11(2)
  • 김병준(2021). 경계를 넘어서: 동아시아 시각에서 본 고구려 벽화. 아시아리뷰 11(1)
  • 신범식(2021). 부상하는 메가아시아: 역사와 개념. 아시아리뷰 11(2)
  • 유성희(2021). 19세기 자본주의 세계체계의 동학과 중국의 변화를 연결시키기: 새로운 세계체계 방법론으로서의 통합적 역동성. 사회와 역사 131
  • 윤종석·최경희·이주현(2021). ‘지역’으로서의 ‘동아시아’: 메가아시아적 접근의 함의. 아시아리뷰 11(2)
  • 최경희(2021). 지정학적 중간국 인도네시아 외교전략: 세 번의 지정학적 단층대 충돌과 선택. 국가전략 27(3)
  • 허정원·박선영·심우진(2021). 메가아시아 탐색을 위한 새로운 양적 지역연구방법론의 필요성과 가능성: 국내 변수중심 지역연구를 중심으로. 아시아리뷰 11(2)
  • Huh, J. W. & Dubey. A.(2021).  COVID-19 vaccination campaign trends and challenges in select Asian countries. As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29(3)
  • Kwon, H. I.(2021). No place for Neutrality: A Korean War story. The Asia-Pacific Journal 19(4)
  • Ru, S. H.(2021). Conceptualizing China’s tea history in the 19th century: Incorporation into the capitalist world-economy. Journal of Agrarian Change 22(2)
  • 구기연 외(2021). <메가아시아 시대, 청년을 말하다>. 씨아이알
  • 구기연·최경희 외(2021). <2020 한류 다음>.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윤종석 외(2021). <중국의 코로나 19 대응과 신지식>. 학고방
  • 최경희 외(2021). <아시아의 정치: 정치체제와 지역성>. 씨아이알
  • 최경희 외(2021). <아시아와 북방, 문화접점의 확인: 우리는 어디서 어떻게 만나고 있는가>. 다해
  • 최경희 외(2021). <2021 동아시아 전략평가>. KRINS
  • 이미숙(2020).일본 고대문학과 개인의 발견: ‘나’(我)의 탐구에서 ‘타인'(人)에 대한 이해로. 민족문화연구 89
일시: 2023년 03월 30일(목) 15:00-17: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영원홀(210호)
※ 온라인 Zoom, 오프라인 동시 진행
(참가 링크: https://snu-ac-kr.zoom.us/j/97423328659)
일시: 2022년 12월 07일(수) 16:00-18:00
※ 온라인 Zoom 진행
(참가 링크: https://snu-ac-kr.zoom.us/j/94074805165)
일시: 2022년 11월 25일(금)~11월 26일(토)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영원홀(210호)
일시: 2022년 11월 18일(금) 14:00-17: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영원홀(210호)
※ 온라인 Zoom 진행
(참가 링크: https://snu-ac-kr.zoom.us/j/94979120154)
일시: 2022년 11월 18일(금) 09:30-18: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삼익홀(220호)
※ 온라인 Zoom, 오프라인 동시 진행
(사전 신청 링크: ID: 812 8408 0293, PW: 592935)
일시 : 2022년 11월 15일(화) 15:00-17:45
장소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30호
일시: 2022년 11월 11일(금) 16:00-18:00
장소: 아시아연구소 국제회의실(303호)
※ 온라인 Zoom 진행
(참가 링크: https://snu-ac-kr.zoom.us/j/94074805165)
일시: 2022년 11월 09일(수) 17:00-18:30
※ 온라인 Zoom 진행
(참가 링크: https://snu-ac-kr.zoom.us/j/92601527348)

아시아연구소 페이스북

페이스북에서 연구소의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각종 신청 및 자료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관련 신청서 및 자료실

아시아연구소 오시는 길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를 찾아오는 방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