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연구데이터허브 #국가보고서 #데이터서비스 #비교연구 #코로나19국제협력연구
아시아지역정보센터는 국가별·지역별 현재적 정보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아시아의 개별국가 및 지역 단위의 정성/정량 데이터의 축적과 통계적 분석을 기반으로 포괄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으며, 각국의 현황, 특히 SDGs와 개도국이 직면하는 도전적 상황에 대해 현지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해 Country Report를 작성하고 있다. 통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분석을 통해 다양한 정보와 데이터를 생산, 공유하는 정보 플랫폼을 구축하고, 협력기관의 범위를 확장하여 궁극적으로 아시아 및 세계시민의 문화지능(cultural intelligence) 역량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일상회복을 위한 코로나19 위험도 상황판과 코로나19를 둘러싼 다양한 대시보드 제작, 매일 업데이트하여 공유
- 코로나19 극복과 백신을 둘러싼 국제비교연구 수행 및 국제학술회의와 국제세미나 주최, 정부와 언론사의 자문 요청에 적극적으로 참여
- ASEAN 국가들의 개괄적인 정보와 보건환경 정보를 요약한 Factsheet을 제공하여 배포
- SAS 코리아와 MOU를 맺고 발전기금과 연구원 특별 워크숍을 지원받음
- 한국의 국가보고서 제작 및 출판
- 월드뱅크, IMF, UN 등 온라인에 산재한 다양한 데이터를 연구목적에 따라 결합하고 메타데이터를 구축하여 매년 업데이트 및 제공
- 고길곤(2021). 정책학에서 예측과 설명에서의 존재론, 인과론에 관한 방법론적 논의. 한국정책학회보 30(5)
- 고길곤·변영주(2021). 부패개념의 변화 및 부패연구 및 반부패 정책의 방향 탐색.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0(4)
- 고길곤·허정원·박정민(2021). 대도시 코로나19 대응 비교: 확산양상과 정책대응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3(2)
- 허정원·박선영·장효진·심우진(2021). 메가아시아 탐색을 위한 새로운 양적 지역연구방법론의 필요성과 가능성: 국내 변수중심 지역연구를 중심으로. 아시아리뷰 11(2)
- 홍민준·고길곤(2021). 보편적 건강보장과 코로나19 대응의 효과성: 의료비 가계직접부담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5(3)
- Ko, K., Park, H. H., Shim, D. C., & Kim, K.(2021). The change of administrative capacity in Korea: Contemporary trends and lessons. International Review of Administrative Sciences 87(2)
- Huh, J. & Dubey, A.(2021). COVID-19 vaccination campaign trends and challenges in select Asian countries. As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29(3)
-
Ko, Kilkon & Hong, Minjun. (2020), Estimation of Impact of Comprehensive Tests of the COVID-19 in South Korea: Benefit-Cost Analysis using the Extended SEIR Model. Korea Journal of Policy Studies, 35(3).
-
고길곤·김범. (2020).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평가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슈의 변화와 경험적 근거 분석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58(4).
-
고길곤·허정원·김범·김주란·박정민. (2020). 다양성+Asia: 아시아의 경제.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다양성+Asia.
-
고길곤·김경동·이민아. (2020). 질문주도 EBP 모형 개념과 적용에 대한 연구: 미세먼지 문제의 분석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9(3), 1-27.
-
고길곤·허정원·김범. (2020). 다양성+Asia: 아시아의 정치.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다양성+Asia.
-
허정원. (2020). 자원접근성과 근린환경특성이 저소득층 편모의 기초생활수급에 미치는 영향. 국토지리학회지, 54(3), 311-327.
-
허정원·장주영. (2020). 코로나19 확산시기 서울시 외국인 밀집지역의 지역특성과 생활인구 변화. 공간과 사회, 30(3), 99-137.
-
육수현·허정원. (2020). 본국가족초청제도가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다문화, 10(3), 81-129.
-
Comfort, L.K., Kapucu, N., Ko, K., Menoni, S., Siciliano, M. (2020). Crisis Decision Making on a Global Scale: Transition from Cognition to Collective Action under Threat of COVID-19.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80(4), 616-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