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도시와로컬리티 #동아시아갈등과평화 #Asia-ChinaDialogue #동아시아모빌리티 #동아시아현안소통
동북아시아센터는 글로벌화 이후 격변하는 동북아시아 지역의 정치·경제·사회·문화 변동을 둘러싼 다종다기한 쟁점들에 대한 입체적 분석과 종합적 이해를 목표로 설립되었다. 한반도 분단과 남북한 관계, 한중·한일 관계, 동아시아 도시·지역 변동과 모빌리티, 동북아 역사갈등과 탈냉전 체제전환, 초국적 이슈와 지역갈등 등 일국적 차원에서 해법을 찾아내기 어려운 동북아 지역의 복잡다단한 현안들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학술 활동과 대외협력 활동을 통해 다차원적이며 심도 있는 접근을 모색한다. 또한 학내외 관련 연구기관들의 교류와 협업을 통해 학문적 융복합을 꾀하고, 국내외 다양한 단체·기관과의 적극적인 소통과 교류를 통해 동북아시아 지역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학문적 거점이자 국제적 허브 역할을 담당하고자 한다.
- 동북아시아 도시/로컬리티 연구: 동북아 도시의 죽음과 삶
- 남북 및 동북아시아의 초국적 이슈와 갈등의 해법 모색
- Asia-China Dialogue: 아시아 주체화로의 진전
- 동아시아의 사회변동과 모빌리티의 양상
- 동북아 현안의 사회적 소통
- 김태윤 외(2024). <북한 자료로 본 평양학 개론>. 민속원
- 조민주(2023). <東亞文化視野下的韓國美術史硏究(동아시아 문화의 시각에서 본 한국미술사연구)>. 浙江大學出版社(저장대학출판사)
- 김일환·박해남(2023). ‘Big Brother’ at Brothers Home: Exclusion and Exploitation of Social Outcasts in South Korea. The Asia-Pacific Journal: Japan Focus, 21(6)
- 이진명(2023). The Dual Faces of U.S. Alliances: Deterrence Effects and Vulnerabilities in Northeast Asia. 국제정치연구, 26(4)
- 김백영(2023). 귀환, 수용, 분산: 미군정기 전재민의 남한 유입과 인구 분산 정책의 전개. 도시연구, 32
- 김란(2023). 중국 개혁개방 이후의 모성 실천: 내권적 마더링의 형성. 현대중국연구, 25(2)
- 홍순직(2023). 김정은 시대의 도시·주택 건설 정책 특징: 평양 살림집을 중심으로. 아시아리뷰, 13(1)
- 임수진(2023). 김정은식 ‘사회주의문명’ 도시 공간의 생산: 르페브르의 공간이론을 중심으로. 아시아리뷰, 13(1)
- 노현종(2023). 동독, 베트남, 북한의 사회주의 경제체제 비교. 수은북한경제, 76
- 김태윤(2023). ‘평양’ 연구의 과거와 현재: 평양 연구의 동향과 제언. 역사문화연구, 87
- 김정환(2023). 한국 민주주의의 상상계에서 민(民)의 생명과 죽음. 문화와 사회, 31(3)
- 서정경(2023). 미국의 견제 속 ‘중국 특색 강대국 외교’의 시련과 응전. <중국식 현대화와 시진핑 리더십>. 책과함께
- 김일환(2023). 사립전문학교와 재단법인화와 공공성: 보성전문학교의 사례. <식민지 사립전문학교와 한국 대학의 역사적 기원>. 소명출판
- 박해남(2023). 대한민국. <국가와 도시로 읽는 아시아 지리지: 동북아시아>. 푸른길
- 김태윤(2023). 한국전쟁 이후 수도 평양의 탄생과 상징공간 조성 -김일성광장 일대 조성을 중심으로-. 민족화해 120
- 서정경(2023). 시진핑 3기 정부의 외교 전망: 중국 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 정치보고를 중심으로. 국가전략 29(1)
- 서정경(2022). 한국의 대 중국 공공외교에 대한 비판적 고찰: 중국인의 한국 인식을 중심으로. 현대중국연구 24(2)
- 홍순직(2022). 김정은 시대 북한의 산림정책과 남북협력 방안. <북한 산림녹화와 민생에너지>. 한라대학교 동북아경제연구원
- 김태윤(2022). 6·25전쟁기 평양의 전시폭격과 도시방공정책(1950~1953). 현대북한연구 25(2)
- 서정경(2022). 신국제질서를 추구하는 중국식 현실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도덕적 현실주의(Moarl Realism)’를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38(4)
- 임수진(2022). 김정은시대 대외 적대담론 연구: <로동신문> 속 ‘미제’, ‘일제’, ‘남조선괴뢰’를 중심으로. 통일과 평화 1(24)
- 서정경(2021). 중국의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 인식 및 정책. 한국과 국제정치 37(3)
- 윤종석(2021). 2021년, 전면적 소강사회와 향촌진흥 아래의 농민(공). 관행중국 126
- 윤종석(2021). 농민공 감소 시대, 부유하기 전에 늙어버린 농민공?. 관행중국 132
- 윤종석(2021). 농민공과 공동부유: 여전히 모호한 전환점. 관행중국 134
- 윤종석 외(2021). ‘지역’으로서의 ‘동아시아’: 메가아시아적 접근의 함의. 아시아리뷰 11(2)
- 윤종석 외(2021). <아시아의 이주와 모빌리티>. 씨아이알
- 윤종석 외(2021). <중국의 코로나19 대응과 신지식>. 학고방
- 윤종석 외(2021). <아이폰을 위해 죽다>. 나름북스
- 김영광·정근식(2020). 영농중심형 재건촌의 형성과 생태마을로의 전환: 철원 양지리 연구. 사회와역사 125
- 강인화(2020). 1960-70년대 접경지역 전략촌의 형성과 냉전경관: 강원도 철원지역 ‘재건촌’을 중심으로. 사회와역사 125
- 윤종석(2020). 개혁개방기 중국 광둥지역의 개발과 사회 거버넌스: 동북지역과의 비교·참조적 함의. 만주연구 29
- 정근식·공민우(2020). 통일촌 유곡리의 조성과정과 공동체적 협력의 난점들. 지방사와 지방문화 23(1)
- 윤종석(2020). 중국 개혁개방 이후 농민공 개념의 형성과 변용. 중국지식네트워크 15(15)
- 정근식·이원규(2020). 전략촌 대마리의 형성과 향군촌 정체성의 변화: 평화함축적 상징의 수용을 중심으로. 통일과평화 12(1)
- 정근식(2020). 5월운동의 성과와 한계: 과거청산과 이행기 정의 사이에서. 경제와사회 126
- 정근식 외(2020). 재건촌 생창리의 형성과 마을 정체성의 변화: 생태마을과 김화 노스탤지어 사이에서. 사회과학연구 59(1)
- 윤종석(2020). 중국 신형도시화의 전환적 함의: ‘사람의 도시화’와 모빌리티 패러다임. 중국사회과학논총 2(1)
- Jung, K. S.(2020). Survival Strategies of a Korean War Prisoner Who Chose Neutral Nations: A Study Based on Im Kwan-taik’s Oral History and Documents, The Journal of American-East Asian Relations 27(3)
- 공성식 외(2020). <마스크가 말해주는 것들: 코로나19와 일상의 사회학>. 돌베개
- 윤종석 외(2020). <민간중국: 21세기 중국인의 조각보>. 책과함께
- 윤종석(2020). 중국 선전 경제특구의 초기 체제전환과 북한에의 함의. 탐라문화 63
- 김재형(2020). 말레이 반도에서의 한센병 관리정책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탐라문화 63
- 강인화(2019). 1950년대 징병제와 한국전쟁의 ‘전후(戰後)처리’ : 병역 부담의 공정성과 병역법 개정 논의(1950-1957). 법과 사회 62
- 강인화(2019). 2019년 홍콩시위와 민주주의, 그리고 ‘탈식민’. 내일을 여는 역사 77
- 강명구·정근식 편(2019). <아시아 투어리즘>. 진인진
- 김병연, 김다울(2018). 북한이탈주민의 비공식경제활동과 자본주의 지지도. 비교경제연구 제25권 1호
- 김병연, 이정민(2018). 북한이탈주민의 인지적 능력과 경제적 성과. 한국경제학회 제66권 1호
- 남은영 외(2018). ‘가족가치관의 변화: 전통적 가족주의에서 선택적 가족주의로? ’ <한국사회의 변화를 돌아보다>. 진인진
- 이정훈(2017). <중국 일상 속 북한 이미지>. 진인진
- 이정훈(2017). 중국 인터넷 토론 공간에서의 북한 및 북핵문제 인식아. 시아리뷰 제7권 제1호
- 이정훈(2017). 1990년대 중국의 민족주의 확산과 단행본 출판 – ‘No라고 말할 수 있는 중국’과 ‘앵그리 차이나’의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논총
- 이정훈(2017). 자장커 영화의 궤적과 <天注定>의 새로운 시도중. 국어문학지
- 이정훈(2017). <山河故人>과 자장커 영화의 변곡점. 중국현대문학
- 남은영(2018). 한국과 일본의 삶의 만족 비교 연구 – 사회통합 요인들의 영향을 중심으로 . 사회보장연구 제34권 제1호
- 남은영(2017). 한국에 대한 요우커들의 시선과 여행 체험아. 시아리뷰 제6권 제1호
- 이정훈(2016)『금문도의 재탄생』(공저) 4장 샤먼과 금문의 ‘심리전’(123 – 156 p) 진인진
- 이정훈(2015)『민족문학론에서 동아시아론까지』(공저) (1부 2장, 최원식과 한국발(發) 동아시아 담론 이정훈 (251-265p), 창비
- 이정훈(2014)“동아시아 담론, 온 길과 갈 길 : 백영서 『핵심현장에서 동아시아를 다시 묻다』의 안팎 살피기”(395-407p), 『창작과비평』 42(1)
- 이정훈(2011)“중국의 미래, 중국이라는 미래”(292-317p) 『역사비평』역사비평사, 97
- 남은영(2016) “Work-related Attitudes of Non-regular and Regular Workers in Korea: Exploring Distributive Justice as a Mediator,” Development and Society Vol 45 No.1
- 남은영(2016) Comparative Study of Social Quality: Taiwan and Korea, Taiwan National University Press (공저)
- 남은영(2015) “Who Is Willing to Pay More Taxes for Welfare?: Focusing on the Effects of Diverse Types of Trust in South Korea and Taiwan” Development and Society Vol 44 No.2
- 남은영(2015) “외환위기 이후 중산층의 변화: 사회적 위험과 희망격차를 중심으로” 국민대통합 정책연구협의회 이슈보고서 Vol. 5 『중산층 복원과 국민통합』
- 남은영(2015) “사회적 위험과 국민인식: 정책적 함의를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통권 제221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남은영(2014) “공적 제도인식이 친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독일을 중심으로”『사회보 장연구』 30(1):167-195
- 남은영(2014) 『나눔의 사회과학』 (공저) 진인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