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아시아 이슬람의 현재: 정치 · 사회 · 경제적 선택
중앙아시아 이슬람 지역의 현황을 정치,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 개괄한 연구서 『중앙아시아 이슬람의 현재: 정치·사회·경제적 선택』이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의 ‘세계속의 아시아연구 시리즈’ 27권으로 발간되었습니다.

아시아투어리즘 – 동아시아여행과 지리적 상상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는 일본 홋카이도대학교 동아시아 투어리즘 연구센터와 2015년부터 <아시아 투어리즘>이라는 주제로 공동심포지엄을 운영해 왔으며 2015년 11월부터 2년간 5회의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했습니다. 2016년 3월 2회 국제학술대회에 중국 중산대학교 관광학부 교수진들이 참여하면서 서울대학교-홋카이도대학교-중산대학교를 잇는 아시아 투어리즘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습니다.

중앙아시아 이슬람의 역사적 경험과 문화
중앙아시아 스탭지역 문화의 중요한 가닥인 이슬람의 역사와 문화를 탐구한 연구서 『중앙아시아 이슬람의 역사적 경험과 문화』가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의 ‘세계속의 아시아연구 시리즈’ 26권으로 발간되었습니다.

개혁 중국 변화와 지속
시진핑 정부는 1978~2018년의 40년을 평가·정리하고 이미 2019년을 개혁·개방 재출발의 첫해로 명명했다. 이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그리고 어떤 방향으로 중국의 세계적 위치를 정하고 국가의 내부적인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성격을 규정지을 것인지를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좀 더 긴 관찰을 해야 한다.

한국, 일본, 싱가포르의 행복 감정 소통에 관한 문화횡단적 연구
한국과 일본, 싱가포르에서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공유하는 행복의 개념과 행복 감정의 소통에 대한 횡단문화적 관점의 연구서인 『한국, 일본, 싱가포르의 행복 감정 소통에 관한 문화횡단적 연구』가 발간되었습니다.

한국 시민사회를 새롭게 하라
한국사회 민주주의발전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으며, 지난 2016년 촛불혁명을 통해 정권교체를 성공시킨 한국시민사회의 변화를 집중적으로 분석한 연구서 『한국 시민사회를 새롭게 하라』

메콩 유역 개발과 환경 협력의 딜레마와 거버넌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동남아센터가 2014년부터 수행한 연구 프로젝트 ”메콩 유역 개발과 환경 협력의 딜레마와 거버넌스”의 성과가 『메콩 유역 개발과 환경 협력의 딜레마와 거버넌스』의 표제로 발간되었습니다.

한국사회의 변화를 돌아보다
해방 이후 70년간 진행된 한국 시민 사회의 의식 변화를 주기적으로 조사하여 그 추이를 해석한 연구서 『한국사회의 변화를 돌아보다』가 발간되었습니다. 서울대학교 아시아 연구소의 <세계 속의 아시아 연구 시리즈 > 21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