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연구소는 국내에서 취약한 아시아 권역별 ‘지역연구’와 국가적 차원에서 전략적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주제연구’를 결합한 우수한 아시아 기초연구를 지원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15년도에도 기획과제, 아시아연구 저술 지원사업, 박사논문 작성 지원사업, SNUAC 박사학위논문상 등을 통해 아시아 연구를 수행하는 학자들을 지원함으로써 다양한 아시아 기초연구가 생산될 수 있는 기반을 다졌다.

또한, 매년 아시아연구소 학술연구부의 주최로 ‘아시아연구소의 아시아연구: 아시아기초연구지원사업 결과보고회’를 개최하여 한 해 동안 아시아기초연구지원사업에 참여한 연구진들의 연구 주제와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할 계획이다. 아시아기초연구지원사업 결과보고회는 세계 아시아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아시아 연구 주체로서의 독자적인 지식 생산의 방향과 내용을 진지하게 고민할 수 있는 자리이다. 무엇보다 1년에 한 번씩 지역과 주제의 결합에 기초한 연구기반을 마련하는 아시아연구소의 비전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 앞으로도 아시아연구소는 아시아 기초연구 지원사업을 통해 서구 중심의 방법론과 지식 생산 구조를 넘어선 학문연구의 독자성과 자립화를 구현해 나갈 것이다.

2015년도 아시아연구 기획과제 사업
• 김은미 외(언론정보학과) | 중국 문화산업 구조변동의 문화사
• 박찬욱(정치외교학부) | 최근의 국가의회 총선거와 민주정치에 대한 전망: 2015년 터키 총선의 사례와 비교를 통한 2016년 한국 총선의 결과와 함의
• 손정렬 외(지리학과) | 네트워크로 바라본 아시아: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 신욱희 외(정치외교학부) | 글로벌 냉전과 동아시아
• 윤상인 외(아시아언어문명학부) | 1920~30년대 동아시아의 문화이동
• 정근식 외(사회학과) | 아시아연구소 번역총서(2)
• 조영달(사회교육과) | 고등교육 환경의 변화와 동아시아의 대학 개혁
• 주경철 외(서양사학과) | 식민지 대학과 오리엔탈리즘의 파생적 전유: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의 서양 오리엔탈리즘장 서들에 대한 분석 및 해제
• 최예용(보건환경연구소) | 아시아에서 석면산업의 국가 간 이동으로 인한 석면위험의 확산
• 홍백의(사회복지학과) | 아시아의 가족- 아시아의 가족혁명은 과연 시작되었는가

2015년도 아시아연구 저술 지원사업
• 고종환(부경대 국제지역학부) | International Migration in East Asia and Its Economic Impact
• 박정희(경성대 글로벌차이나연구소) | 중국 고도(古都) 문화정체성의 재구성 양상 연구: 문화텍스트와 도시 경관을중 심으로
• 이영섭(국제대학원) |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and Inter-Korean Cooperation
• 이재민(법학과) | A Surge of FTAs in East Asian Countries and Dispute Settlement Mechanism- Unique Characteristics, Inherent Limitations and Areas of Improvement.

2015년도 SNUAC 박사논문 작성 지원사업
• 김선(보건대학원)| 주요 아시아 국가의 의약품 생산 공급 체계의 유형화 연구: 공공성을 중심으로*
• 김정민(국제대학원)| 동아시아 경제 질서의 재편과 한미 지적재산권 협정(1986): 배경, 과정 및 영향에 관한역 사적 ‘이론적’ 실증적 연구 *
• 유승환(국문과)| 황석영 문학과 동아시아 근대의 서사
• 오승희(이화여대 정치외교학과)| 주권투쟁과 국가 승인: 전후 일본의 중국 대표권 문제와 외교적 위선(1952~1972) *
* 학위 논문 완료.

2015년도 박사학위논문상
• 김경태(고려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임진전쟁기 강화교섭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