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 북한 산지토양정보 고도화 및 적정 조림수종 선정 사업 | 박수진
- 연구책임자: 박수진
- 지원기관: 한국임업진흥원
- 문의: catena@snu.ac.kr
개요
북한 산림의 황폐화 문제는 북한뿐만 아니라 한반도 전체 생태계를 위협함에 따라 북한의 산림을 보전 및 복원하기 위한 사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북한 당국은 2012년에 특별 교시를 통하여 기존의 산림 복구 정책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음을 인정하고, 향후 10년 동안 산림을 복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 발표하였다. 실제로 북한 당국은 스위스개발협력청 등 해외 지원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림 복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Xu et al.,2011). 그러나 산림 보전 및 복구에 대한 북한 당국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산림 황폐화는 점차 심화되고 있다. 2014년에 북한 국토환경보호성 조림처 변정균 처장은 북한의 임목축적이 1990년에는 약 5억 2천5백만m³이었으나,2010년에는 약 3억 3천만m³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발표하였다. 이는 같은 기간 동안 남한의 임목축적이 약 2억 4천8백만m³에서 약 8억m³으로 크게 증가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처럼 북한의 산림 복구 노력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원인은 다양하나, 북한 내에 산림 복원에 필요한 기술 및 정보가 부족하다는 점을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을 수 있다. 즉, 산림 복원에 앞서 북한 전역의 토양 성질, 지형, 기후 등의 현황을 파악하여 구체적인 조림수종과 기준을 수립해야 하나, 이에 필요한 기술 및 정보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북한의 토양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입지 조건에 맞는 조림수종을 선발하는 기준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2015년도에 한국임업진흥원의 주관 하에 위성영상을 이용한 북한의 산림 현황 구분 및 토양 예측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나, 이용 가능한 자료가 제한되어 있어 그 정확도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북한에 조림할 수 있는 수종을 선발하기 위한 연구가 일부 진행되었으나, 북한의 사회경제적 요구와 실제 지원 및 조림 가능 여부를 고려한 죠림수종 선정과 과학적 기준에 근거하여 조림 적지를 선정하는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15년도에 추진된 “인공위성자료를 활용한 북한 산림현황 분석”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작년도에 구축한 북한의 산지토양정보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 나아가 이를 북한의 자연 및 사회경제적 조건에 맞는 조림 수종을 선발하고 수종별 조림 적지를 도출하는 데에 활용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북한의 토양 및 조림수종 정보를 제공하여 황폐 산림을 복구하는 것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론 1
1.1 연구배경 1
1.2 연구목표 3
1.3 연구추진체계 4
제2장 산지토양정보 고도화 5
2.1 이론적 배경 5
2.1.1 북한의 산림토양정보 및 전통적인 토양 조사의 문제점 5
2.1.2 현행 토양예측기법 및 장단점 6
2.1.3 카테나(Catena) 토양-경관분석법 10
2.1.4 산지 및 구릉지-평지 분류법 15
2.2 북한 산지토양 예측방법 18
2.2.1 다계층적 환경변수 추출 18
2.2.2 기후요인 20
2.2.3 식생분포-토지이용 요인 20
2.2.4 지질 요인 20
2.2.5 지형기본요인/사면형태요인 분석을 위한 수치고도모형 전처리와 자료변환 22
2.2.6 지형기복 요인 23
2.2.7 사면형태 요인 23
2.2.8 토양형성단위의 구분 25
2.3 북한 산지토양 예측 알고리즘 개선 30
2.3.1 남-북 접경지대의 환경자료와 토양간의 상관성 규명 30
2.3.2 북-중 접경지대의 환경자료와 토양간의 상관성 규명 34
2.3.3 현장조사를 통한 북한 산지토양정보 예측 알고리즘 정교화 39
2.3.4 동적모형을 활용한 북한토양속성 보정 44
2.3.5 토양예측 알고리즘 개선 51
2.4 연구 결과 54
2.4.1 예측 토양정보 목록 54
2.4.2 예측 토양정보 도면 55
제3장 적정 조림수종 선정 65
3.1 연구 방법 65
3.1.1 자료 수집 65
3.1.2 조림수종 선발 65
3.1.3 적지 선정 지표 개발 67
3.1.4 도면 제작 67
3.2 연구 결과 73
3.2.1 북한 수종 자료 분석 73
3.2.2 적정 조림 수종 선정 76
3.2.3 적지 선정 지표 84
3.2.4 수종별 조림 적지 기준 및 도면 86
3.2.5 황폐 산지 복구 수종 및 도면 115
제4장 목표 달성도 137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 방안 141
제 6장 참고문헌 147
제 7장 부록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