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 국내 학술 성과의 해외 교류 거점 구축을 위한 연구 | 오명석
- 연구책임자: 오명석
- 지원기관: 교육부
- 문의: mysoh@snu.ac.kr / kallikyung@daum.net
개요
본 연구는 한국의 발전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를 해외로 확산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모델로 “신흥지역과의 교역 및 개발협력을 위한 창의적 지식공유연구플랫폼(CKSRP)”을 제안함. 그 이유는 첫째, SDGs 시대 개발의제의 범위와 깊이의 변화와 둘째, 수원국 참여중심의 개발패러다임으로의 변화 때문임.
따라서 한국의 발전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를 해외로 확산한다고 했을 때는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가 ‘지식공유적 관점에 기초한 수원국의 참여’라고 봄. 이에 본 과제에서는 ‘현지 신흥 지역 국가들의 참여’를 통한 현지 교역 및 개발수요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지식공유연구플랫폼’을 제안하였음.
또한 CKSRP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가장 적합한 사업팀으로 신흥지역연구사업팀을 제안함. 그 이유는 첫째, 현지 해당 지역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지역전문가 중심의 연구팀이고, 둘째, 국내 지역연구거점과 해당 현지 연구거점과의 국제교류를 통해 현지밀착형 연구 성과를 생산해 낼 수 있는 연구팀이고, 셋째, 결과적으로 한국 정부와 민간의 신흥지역 진출전략을 교역과 개발이란 차원에서 실현해 낼 수 있는 사업팀이기 때문임.
목차
I.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1
제2절 연구목적 3
II. 지식공유사업의 국제적·국내적 맥락 10
제1절 국제개발협력에서의 지식공유 사업의 현황 10
제2절 한국의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에 대한 평가 15
제3절 CKSRP의 차별성과 지향성 25
III. CKSRP의 모델과 로드맵 30
제1절 CKSRP의 이론적 모델 30
제2절 CKSRP의 실행적 모델: 구조와 기능 38
제3절 CKSRP 구축의 로드맵 48
제4절 CKSRP의 기대효과 50
IV. CKSRP의 현지 수요 예측과 사례적용 54
제1절 CKSRP 모델의 신흥지역에 대한 적용 예시: 인도네시아 ‘물’ 사례 54
제2절 신흥지역의 교역 및 개발협력 수요에 대한 예측 64
V. CKSRP 사업 주체와 실행 92
제1절 신흥지역연구팀에 대한 연구 지원 평가 92
제2절 실행예산과 성과지표 100
VI. 결론 105
참고문헌 109
부록: 신흥지역연구팀의 사업실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