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과 양안 관계 등 국제관계의 갈등이 노골화되면서 ‘지정학의 귀환’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지정학적 중간국(中間國) 개념으로 세계질서의 양상을 새롭게 분석한 연구서 『아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가 출간되었습니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가 기획한 ‘세계 속의 아시아연구 시리즈’ 31권입니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는 한국 외교의 딜레마적 상황에 대한 비교외교론적 이해를 위하여 유라시아의 중심과 주변의 다양한 지역들을 대상으로 지난 수년간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지정학적 중간국(中間國)이란, 경쟁하는 강대국 내지 지정학적 세력이 맞부딪히는 지대, 즉 “지정학적 단층대” 상에 존재하는 국가들을 말하며, “끼인 국가” 혹은 “사이 국가” 등으로도 불립니다.

 

『아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는 비슷한 시기에 편찬된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총서 47) 와 동시에 진행된 연구 사업의 산출물입니다.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이 발틱국가와 동유럽 국가 및 중앙아시아를 대상으로 하는 반면, 『아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는 아시아의 태국,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인도, 파키스탄, 이란, 터키 등 9개 나라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아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는 총괄 편집자 신범식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를 중심으로 9개 국가 연구의 권위자들로 구성된 집필진에 의해 저술되었으며, 서론과 동남아시아를 대상으로 한 1부, 남아시아 및 서아시아를 대상으로 한 2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장은 해당연구에 대한 서론과 결론을 갖추고 있으며, 각 국가의 역사, 사회문화정치적 특수성 등을 바탕으로 중간국으로서의 성격과 유형을 밝힙니다.

 

서장인 ‘아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의 비교연구’는 총괄 편집자인 신범식 교수가 작성하였으며, 이 책의 저술 의의와 연구의 목적 등을 제시하고, 지정학적 중간국 개념에 대한 명료한 정리와 함께 이 책의 구성을 소개합니다.

 

2부는 태국,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를 대상으로 한 5개의 장으로 이루어졌는데, 2장 ‘태국 중간국 외교의 변화와 요인’은 윤진표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가 작성했으며, 태국 외교를 ‘바람에 따라 유연하게 움직이는 대나무’ 외교라기보다는 ‘바람 속에 소용돌이치는 대나무’ 외교로 평가하면서 중국의 영향력에 대해 ‘회피 전략’을 중심으로 균형을 지향하는 태국 외교의 양상을 소개합니다.

 

3장 ‘베트남의 중간국 외교’는 전형적인 헤징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베트남의 중간국 외교를 소개합니다. 사회주의 국가로서 이념보다는 국익을 중시하는 현실주의적 외교 전략의 전환을 바탕으로 국내 정파와 대중 여론의 상호작용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베트남 외교의 고유성을 강조합니다. 김용균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가 작성했습니다.

 

신재혁 고려대학교 정치학과 부교수가 작성한 4장 ‘싱가포르의 중간국 외교’는 동남아시아의 강소국 싱가포르가 강력한 외교력을 강화하는 과정을 추적합니다. 여러 나라와의 안전한 연결망 구축, 비동맹주의, 강대국 세력의 현지 유치를 통한 안정 도모 및 세력 균형 추구과 함께 강력한 독자적 전략적 자산의 보유 등이 싱가포르의 중간국 지위 획득의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됩니다.

 

5장 ‘지정학적 중간국 인도네시아 외교 전략: 세 번의 지정학적 단층대 충돌과 선택’은 제국주의 네덜란드와 일본의 충돌, 냉전시대 미소 충돌, 2010년대 미중의 복합적 충돌 등 3회의 역사적 경험을 소재로 인도네시아가 채택한 외교전략의 내용을 소개합니다. 최경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가 작성했습니다.

 

6장 ‘말레이지아 중간국 외교 전략과 중립성’은 아세안 중립성의 규범화에 기여하고 아세안 공동체의 비전을 제시하는 전략으로 냉전체제에서 독자적인 노선을 주도해 온 말레이지아의 중간국 외교 전략을 소개합니다. 김형종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국제관계학과 부교수가 작성했습니다.

 

2부 ‘남아시아 및 서아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는 인도, 파키스탄, 이란, 튀르키에(터키) 4개국의 중간국 외교를 대상으로 합니다. 7장 ‘인도는 중견(간)국인가?: 신비동맹정책을 중심으로’는 현실주의 국가속성 접근법, 자유주의의 형태적 접근법, 구성주의 정체성 및 아이디어 접근법 등을 적용하여 인도의 중견(간)국 으로서의 성격을 규명합니다. 김찬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교수가 작성했습니다.

 

8장은 ‘강대국 충돌과 중각국의 외교적 선택: 파키스탄 외교전략의 제구성과 함의’입니다. 이슬람과 힌두, 미국과 중소, 미국과 극단적 이슬람이 충돌하는 불안정한 지정학적 단층대에 위치한 파키스탄의 특성을 바탕으로 파키스탄의 대외전략의 운영 양상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평가합니다. 최윤정 세종연구소 인도태평양 연구센터장이 작성했습니다.

 

9장과 10장은 속세국가와 종교국가의 전환을 다른 방향으로 경험한 주요 이슬람 국가인 이란과 튀르키에의 사례입니다. 유달승 한국외국어대학교 페르시아어 이란학과 교수의 ‘지정학적 중간국 이란의 외교전략’은 고대 이래 동양과 서양 문영의 교량으로서 외세에 대한 피해의식과 저항문화를 바탕으로 한 등거리 외교원칙을 중심으로 미국과 중국-러시아 사이에서 균형과 편승을 적절히 활용하는 헤징전략에 대해 기술하고 있습니다.

 

10장 ‘이르도안 시대 터키의 팽창주의 외교: 내 일인체제 강화와 역내 지정학 변동에 따른 중각군의 일탈’에서는 2010년대 이후가 강대국 중심의 힘의 논리에 반대한 중견국 외교를 추진해 온 튀르키에 외교 전략을 소개합니다. 2010년대 중반이후 에르도안 대통령 집권 이후 기존의 외교정책에서 공격적 팽창주의 정책이 추진되는 양상과 이를 가능하게 한 대외적인 환경을 분석합니다. 장지향 아산정책연구원 중동센터장이 작성했습니다.

 

미국 중심의 세계질서가 다극적 질서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중대한 위기와 도전이 초래되고 있는 현실에서 강대국 중심의 세계질서에 ‘중간국’의 대응과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아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는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와 더불어 변화되는 환경에서 중간국으로서 생존해야 하는 대한민국 미래의 경로 모색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외교정책결정 과정의 책임자 및 실무자, 한국 정치 및 외교 학계의 지식인은 물론 국제 교역 분야 종사자들이 세계질서 변동의 흐름과 개별 중간국 외교전략의 맥락과 현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지은이

 

 

신범식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모스크바 국제관계대학(MGIMO) 정치학 박사

  1. “지정학적 중간국 우크라이나의 대외전략적 딜레마.” 『국제·지역연구』
  2. 『중앙아시아 이슬람의 현재: 정치·사회·경제적 선택』 (파주: 한울아카데미)
  3. 『(북·중·러 접경지대를 둘러싼) 소지역주의 전랙과 초국경이동』 (서울: 도서출판이조)

 

윤진표

성신여대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교 정치학박사

  1. 『신남방정책 평가와 개선방향』 (공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 『한-아세안 청년 상호인식조사』 (편저, 한아세안센터)
  3. 『현대 동남아의 이해』 (서울: 명인문화사)
  4. 『2020 동아시아 전략평가』 (공저, 동아시아안보전략연구회)

 

김용균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부교수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UNC-Chapel Hill) 정치학 박사

  1. “외국기업의 정치적 위험관리 전략으로서 현지 CSR의 효과 분석: 베트남 도시개발 진출 한국기업의 비시장 전략 비교.” 『동남아시아연구』
  2. “베트남의 세계화 전략과 경제개혁의 정치.” 『세계화 3.0과 국내정치』 (서울: 명인문화사)
  3. “주권과 체제안보: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대중 외교정책 비교연구.” 『주권과 비교지역질서』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신재혁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

UCLA 정치학 박사

  1. “발전국가와 약탈국가의 기원: 한국과 필리핀 비교 사례 연구.” (이동일 공저) 『한국정치학회보』
  2. “인도네시아 2020: 전염병이 위협하는 민주주의와 경제.” (박희경 공저) 『동남아시아연구』
  3. “선거 경쟁과 복지 지출, 소득 불평등: 한국 광역지방자치단체 비교 연구.” (김태완, 박희경 공저) 『21세기정치학회보』
  4. “싱가포르는 왜 민주화되지 않는가? 비교연구 방법을 활용한 지역연구.” 『동남아시아연구』

 

최경희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 박사

  1. “‘지역’으로서의 ‘동아시아’: 메가아시아적 접근의 함의.” (윤종석·이주현 공저) 『아시아리뷰』
  2. “지정학적 중간국 인도네시아 외교전략: 세 번의 지정학적 단층대 충돌과 전략.” 『국가전략』
  3. 『동아시아 전략평가』 (공저, 서울: 동아시아안보전략연구회)
  4. 『한류, 다음(이슬람 문화권편)』 (공저, 서울: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5. 『아시아의 정치: 정치체제와 지역성』 (공저, 서울: 씨아이알)

 

김형종

연세대학교 국제관계학과 부교수

말라야대학교(University of Malaya) 동남아학과 정치학 박사

  1. “아세안 사회문화공동체와 인간안보.” 『동아연구』
  2. “미얀마 사태와 아세안 규범의 지속과 변화.” 『동남아시아연구』
  3. “코로나19 감염병 사태와 신남방정책: 아세안을 중심으로.” 『동남아시아연구』

 

김찬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교수

인도 델리대학교 정치학 박사

  1. “인도는 중견(간)국인가?: 신비동맹을 중심으로.” 『남아시아연구』
  2. 『Great Transition in India: Critical Exploration』 (Singapore: World Scientific)
  3. “인도 정치의 대전환: 2019년 총선을 중심으로.” 『남아시아연구』

 

최윤정

세종연구소 연구위원/인도태평양연구센터장

이화여자대학교 국제학 박사

  1. ““인도태평양 전략들” 비교와 함의: 미국·유럽·일본·인도·아세안을 중심으로.” 『세종정책브리프』
  2. 『신남방정책·신북방정책 근미래 전략과 주요사업 추진방안』 (공저, 서울: 통일연구원)
  3. “포스트 코로나 인도 경제와 외교·통상 전략의 변화.” 『세종정책연구』
  4. “일대일로, 인도의 선택은?” 『메가아시아 교양총서4: 아시아 지역간 교류와 연계』
  5. “Do Fluctuations in Crude Oil Prices Have Symmetric or Asymmetric Effects on the Real Exchange Rate? Empirical Evidence from Indonesia.” 『The World Economy』

 

유달승

한국외국어대학교 페르시아어·이란학과 교수

테헤란대학교 정치학 박사

  1. 『이란의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 (서울: 한겨레출판사)
  2. “이란 외교 정책의 정체성 연구.” 『한국이슬람학회논총』
  3. 『시아파의 부활과 중동정치의 지각변동』 (파주: 한울아카데미)

 

장지향

아산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중동센터장

미국 텍사스 오스틴 대학교(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정치학 박사

  1. “비교정치학 관점에서 바라본 중동 국가역량의 현주소.” 『아시아의 정치: 정치체제와 지역성』 (서울: 씨아이알)
  2. “아브라함 협정 이후 UAE-이스라엘 전략적 협력의 심화.” 『아산 이슈브리프』
  3. “탈레반의 아프가니스탄 재장악과 향후 전망.”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아시아브리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