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회 인도문헌연구 워크샵

일시: 2024년 6월 14일(금) 17:00 ~ 21: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3호

Speakers

양영순 박사
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원

Start

2024년 6월 14일 - 5:00 pm

End

2024년 6월 14일 - 9:00 pm

Address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3호

존재하는 모든 것을 아는 일체지(omniscience, sarvajñāna)는 서구 전통에서 주로 신의 인식능력으로 부여되었지만, 이와 달리 인도 전통에서는 인간에게도 실현될 수 있는 이상이자 실제로 여겨졌다. 특히 수행과 명상을 통해 진리에 대한 궁극적인 통찰을 추구하는 슈라마나 전통의 종교, 즉 불교와 자이나교 같은 종교에서 교주는 곧 일체지자(sarvajña)로 명명되었다. 그러나 인도 종교철학 전통에서 인간이 실현 가능한 일체지에 관해, 타 학파에서는 비판을 가하며 오래도록 논쟁을 거듭했다.
본 워크샵에서는 대표적인 수행종교인 자이나교에서 인간의 일체지의 실현 가능성에 관해 어떻게 설명하고 논증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쁘라마나미망사(Pramāṇamīmāṇsā)」의 해당 부분을 강독하고 토론한다. 12세기 자이나교 백의파의 저명한 학승인 헤마짠드라(Hemacandra)가 말년에 최후로 지은 이 저작은 자이나 전통과 당대 타 학파의 인식논리학적인 이슈를 종합하는 논서이다. 이 안에 담긴 일체지성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논의와 논증 부분을 통해 당대의 일체지 논쟁의 한 측면을 들여다볼 수 있을 것이다.

Photos

Review

존재하는 모든 것을 아는 일체지(omniscience, sarvajñāna)는 서구 전통에서 주로 신의 인식능력으로 부여되었지만, 이와 달리 인도 전통에서는 인간에게도 실현될 수 있는 이상이자 실제로 여겨졌다. 특히 수행과 명상을 통해 진리에 대한 궁극적인 통찰을 추구하는 슈라마나 전통의 종교, 즉 불교와 자이나교 같은 종교에서 교주는 곧 일체지자(sarvajña)로 명명되었다. 그러나 인도 종교철학 전통에서 인간이 실현 가능한 일체지에 관해, 타 학파에서는 비판을 가하며 오래도록 논쟁을 거듭했다.
본 워크샵에서는 대표적인 수행종교인 자이나교에서 인간의 일체지의 실현 가능성에 관해 어떻게 설명하고 논증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쁘라마나미망사(Pramāṇamīmāṇsā)」의 해당 부분을 강독하고 토론했다. 12세기 자이나교 백의파의 저명한 학승인 헤마짠드라(Hemacandra)가 말년에 최후로 지은 이 저작은 자이나 전통과 당대 타 학파의 인식논리학적인 이슈를 종합하는 논서이다.
인도고전학의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는 국내의 신진학자들이 함께 모여, 고전 인도철학기에서 가장 중요한 논쟁점이었던 일체지(자) 존재 논증에 관한 텍스트를 함께 강독하고, 토론하는 워크샵을 진행했다.

MORE DETAIL

Phone

02-880-2868

Email

csas@snu.ac.kr

아시아연구소 페이스북

페이스북에서 연구소의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각종 신청 및 자료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관련 신청서 및 자료실

아시아연구소 오시는 길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를 찾아오는 방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