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센터

·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 수행: 2023년 9월부터 “경계를 넘는 이주자로서 유라시아 난민 연구: 이주동학의 다면적 변화와 영향”이라는 주제로 유라시아 지역에서 발생한 난민과 이민자, 디아스포라 집단의 경계를 넘는 움직임이 유라시아 내부 이주 동학에 가져온 변화와 영향을 분석 · 한인 디아스포라 연구: 중앙아시아와 유라시아 지역 고려인의 생활문화와 국내 고려인 커뮤니티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 · 유라시아 신지역주의 연구: 국민국가의 틀을 넘어서, 지역으로서의 중앙아시아가 형성되는 과정과 동학을 추적하는 연구를 수행

TELEPHONE:
02-880-2097
ADDRESS: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8호

DIRECTOR:

신범식 교수
부소장 / 중앙아시아센터장 /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Categories

지역 연구센터

#이주난민 #한인디아스포라 #유라시아신지역주의 #유라시아경계 #중앙아시아ODA

중앙아시아센터는 2014년 4월에 설립된 이래 지역과 주제를 결합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중앙아시아센터는 이러한 연구 성과를 공유·확산하고 있으며, 중앙유라시아 지역에 관한 다양한 현안을 분석하여 제공하고, 동시에 지역전문가 양성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중앙아시아 지역을 연구하는 국내외 연구자와 관련 기관들과 활발한 교류를 진행하고 있으며,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한 대중의 인식 제고를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 중앙아시아센터는 학술행사와 저서 발간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활동들을 바탕으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여 중앙아시아 연구의 허브로서, 중앙아시아학의 기틀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 수행: 2023년 9월부터 “경계를 넘는 이주자로서 유라시아 난민 연구: 이주동학의 다면적 변화와 영향”이라는 주제로 유라시아 지역에서 발생한 난민과 이민자, 디아스포라 집단의 경계를 넘는 움직임이 유라시아 내부 이주 동학에 가져온 변화와 영향을 분석
  • 한인 디아스포라 연구: 중앙아시아와 유라시아 지역 고려인의 생활문화와 국내 고려인 커뮤니티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
  • 유라시아 신지역주의 연구: 국민국가의 틀을 넘어서, 지역으로서의 중앙아시아가 형성되는 과정과 동학을 추적하는 연구를 수행
  • 유라시아 경계 연구: 중앙아시아 국가 간의 경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의 양태를 파악하고, 이로 인한 지역의 변화를 분석
  • 중앙아시아 ODA 프로젝트 수행: 중앙아시아 개발협력 추진방향 공동연구
  • 교내 연구 동아리 지원: 중앙아시아와 유라시아 지역에 관심 있는 학생들로 구성된 연구 동아리인 ‘유라시아연구회’를 지원함으로써 학문 후속세대를 양성
  • 황의현(2025). 초국적 아랍 정체성과 국가 이익 사이의 긴장: 아랍 국가의 팔레스타인 난민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중동학회논총 45(2)
  • 정민기(2025). 관(官)과 민(民)의 결합: 제천시 고려인 커뮤니티 네트워크 특성. 역사문화연구 93
  • 최아영(2025). 공동체 라디오와 에스닉 미디어 사이에서: 광주고려인마을 GBS 고려방송의 정체성 연구. 역사문화연구 93
  • 이준석(2025). 모집된 공동체’의 탄생: 제천 고려인 공동체의 형성, 특징, 시사점. 역사문화연구 9
  • 송금영(2024). <우크라이나 전쟁과 한반도>. 북랩
  • 황의현(2024).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조명된 시리아 난민에 대한 유럽의 ‘이중잣대’: 아랍권은 비판에서 자유로운가?. 중동연구 (432)
  • 황의현(2024). 생존을 위한 아사드 정권의 ‘쓸모 있는 시리아’ 전략: 강제 이주, 난민, 인구 구성 변화. 중동문제연구 23(1)
  • 최아영(2024). 푸틴 시기 러시아 청년 정치 엘리트의 양성 정책과 충원 경로. 슬라브학보 39(1)
  • 최아영(2024). 난민의 사회 통합과 난민 아동 교육 – 폴란드 거주 우크라이나 난민 아동의 교육을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40(2)
  • 황의현(2024). 국가 능력 약화와 이라크 국내피난민 문제의 장기화. 한국이슬람학회 34(2)
  • 박지원(2024). 이주 러시아 난민의 경제적 영향: 중앙아시아의 사례 연구. 아시아리뷰 14(2)
  • 고가영(2024). 설립자가 있는 광주 <고려인마을> 공동체의 발전 단계별 특성과 한계. 역사문화연구 92
  • Slepchenko, V. (2024). Факторы привлекательности Армении для российских релокантов. 러시아연구 34(2)
  • 고가영(2024). 타지키스탄을 경유하는 아프가니스탄 난민들의 정체성 변화: 젠더 역할과 종교정체성을 중심으로. 호모미그란스-이주, 식민주의, 인종주의(Homo Migrans) 31
  • 주송하(2024). 이주 러시아 난민에 대한 인식과 대응: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스스탄을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39(4)
  • 최아영(2024).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공적 네트워크: 안산시 고려인 밀집 거주지역 사례 연구. 슬라브학보 39(4)
  • 최아영(2023). <엘리트로 보는 유라시아의 변화 I>. 한신대학교 유라시아연구소
  • 고가영(2023). <잡거와 혼종: 유라시아 다중 접경>. 소명출판사
  • 박상희(2023). 참을 수 없는 고통: 다른 조국으로 가는 과정에서 정치적 주체로서의 북한 난민의 경험. Korea Journal 63(4)
  • 고가영(2023). 우크라이나 전쟁 난민 유입과 광주 ‘고려인마을’ 공동체의 확장. Homo Migrans 28
  • 주송하(2023). 이민을 제한하는 이유: 우즈베키스탄과 타지키스탄 독재자들의 경제적 아이디어. 한국국제연구 21(2)
  • 박정후(2023). 유라시아 환경협력 및 갈등에 관한 연구 : 몽골-중국-러시아 사례를 중심으로. 슬라브硏究 39(3)
  • 고가영(2023). 조국을 배신한 자의 아내에서 소련 국민되기: <알지르> 수용소 수감 여성들의 인정투쟁을 중심으로. 슬라보학보 3(48)
  • 신범식 외(2022). <아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진인진
  • 신범식 외(2022).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사회평론
  • 신범식 외(2022). <메가아시아 연구 입문: 역사, 시각, 방법>. 진인진
  • 신범식 외(2022). <메가아시아의 형성과 동학>. 진인진
  • 박정후 외(2022). <미중 전략시대의 유라시아>. 민속원
  • 고가영(2022). 1970-1980년대 소련 장애인들의 조직적 권리 운동. 서양사론 155
  • 최아영(2022). 중앙아시아 부하라 유대인의 초국가적 네트워크 와 정체성: 디아스포라 미디어 분석을 중심으로. 아시아리뷰 12(
  • 고가영(2021). 소비에트 연방정부 수립에 대한 중앙아시아 엘리트들의 대응과 ‘민족-공화국’ 경계 형성의 역학. 슬라브학보 36(4)
  • 신범식(2021). 부상하는 메가아시아: 역사와 개념. 아시아리뷰 11(2)
  • 최아영(2021). 공유된 역사, 엇갈린 국경-타지키스탄과 우즈베키스탄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경계 논쟁. 숭실사학 47
  • 신범식 엮음(2020). <북·중·러 접경지대를 둘러싼 소지역주의 전략과 초국경 이동>. 도서출판 이조
  • 조영관(2020). 북·중·러 초국경 교통물류 협력의 특징과 성과: 러시아의 정책을 중심으로. 국제자유도시연구 11(1)
  • 신범식·고가영 외(2020). <북·중·러 접경지대를 둘러싼 소지역주의 전략과 초국경 이동>. 이조
  • 신범식 편(2020). <중앙아시아 이슬람의 현재: 정치·사회·경제적 선택>. 진인진
  • 신범식 편(2019). <중앙아시아 이슬람의 역사적 경험과 문화>. 진인진
  • A. Khalid 저, 오원교 옮김(2019). <공산주의 이후 이슬람: 중앙아시아의 종교와 정치>. 진인진
  • 고가영(2019). 해빙기 소비에트 정부의 중앙아시아 이슬람 정책의 특징: ‘반-종교 캠페인(anti-r eligious campaign)’과 ‘반-제국주의 아젠다(anti-colonial agenda)’ 사이에서. 슬라브학보 34(1)
  • 오원교(2019). 현대 카자흐스탄 생활 이슬람의 양상과 전망: 청년 무슬림의 종교의식과 활동을 중심으로 .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64
  • 신범식(2018). 탈소비에트 우즈베키스탄의 국민국가 건설과 이슬람. 세계지역논총 36집 2호
  • 최아영(2018). 공립학교 히잡 착용 금지 논쟁을 통해 본 현대 카자흐스탄 이슬람의 특성. 노어노문학 제 30권 4호
  • 강정원 외(2018). <중앙아시아 고려인 전통생활문화: 키르기스스탄>. 민속원
  • 신범식 외(2018). <유라시아의 심장 다시 뛰다!: 중앙아시아 지역의 형성과 역동성.> 진인진
  • 강정원 외(2017). <중앙아시아 고려인 전통생활문화: 카자흐스탄>. 민속원
  • 강정원 외(2017). <중앙아시아 고려인 전통생활문화: 우즈베키스탄>. 민속원
  • 양승조 역(2018). <러시아 극동지역의 역사>. 진인진
  • 고가영(2017). 2차 대전이 중앙아시아 무슬림종무원(САДУМ)의 설립과 활동에 미친 영향 . 슬라브학보 제32권 제1호
  • 김태연(2017). 포스트 소비에트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스스탄 급진 이슬람 운동의 동원 잠재력 비교연구. 러시아연구 제27권 제2호
  • 양승조(2017). 18세기 말-19세기 중반 제정 러시아의 대카자흐 정책과 이슬람 – 오렌부스크 이슬람종무원을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제32권 제4호
  • 오원교(2017). 현대 우즈베키스탄의 생활이슬람의 양상과 전망.러 시아연구 제27권 제1호
  • 최아영(2017). 우즈베키스탄 역사교과서의 이슬람 서술 분석.슬 라브학보 제32권 제1호
  • 최아영(2017). 중앙아시아 고려인 청년 세대의 전통문화 인식 연구: ‘한국’ 요소가 미친 영향 분석을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제32권 제4호
  • 신범식 외(2015).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 진인진
  • 윤익중(2015). 키르기스스탄의 외교정책과 대중국 관계발전: 새로운 도전과 기회. 국제ㆍ지역연구 24권 1호
  • 고가영(2015). ‘아무르의 캘리포니아’: 19세기 러시아 골드러시와 ‘젤투가 공화국’(1883~1886)사. 총 85권
  • 양승조(2015).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 모스크바국의 동방진출과 동투르키스탄의 주변화(周邊化): 준가르 제국을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 제54집
  • 신범식(2015).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대응. 슬라브학보 제30권 2호
  • 김영식(2015). 투르크메니스탄의 경제발전과 에너지프로젝트: 중국을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제30권 2호
  • 정재원(2015). 중앙아시아와 중국 신장, 그리고 위구르 문제: 기회와 위기의 모순적 공존. 슬라브학보 제30권 2호
  • 조영관(2015). 중앙아시아와 중국의 에너지 협력의 특징과 유라시아 지역에 대한 영향. 슬라브학보 제30권 2호
  • 김태연(2015). 1990년 및 2010년 키르기스스탄 오쉬 사태: 민족 간 폭력의 발발 기제를 중심으로. 중소연구 제39권 제3호
일시: 2025년 10월 29일(수) 15:30 ~ 17: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3호
일시: 2025년 10월 23일(목) 10:00 ~ 12:00
https://snu-ac-kr.zoom.us/j/85867920760
일시: 2025년 10월 1일(수) 15:30 ~ 17: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3호
일시: 2025년 9월 18일(목) 10:00 ~ 12: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3호
일시: 2025년 8월 25일(월) 15:00 ~ 16:3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삼익홀
일시: 2025년 6월 5일(목) 14:00 ~ 16:00
Online Zoom: https://snu-ac-kr.zoom.us/j/86326945113
일시: 2025년 5월 15일 (목) 14:00~18: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3호
일시: 2025년 5월 2일(금) 16:30 ~ 18:30
Zoom: snu-ac-kr.zoom.us/j/81679702396

아시아연구소 페이스북

페이스북에서 연구소의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각종 신청 및 자료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관련 신청서 및 자료실

아시아연구소 오시는 길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를 찾아오는 방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