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이주연구DB구축 #한국형이민정책 #다문화와사회통합 #이주거버넌스 #동아시아비교연구
아시아이주센터는 국가와 지역, 대륙을 넘나드는 이주와 이민의 현황과 특징, 전망을 탐색하고 이를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기초연구에 주력하는 한편, 급박하게 진행되는 저출산-다문화사회로의 전환과정에서 정부와 학계, 시민사회 등 국내외 관련 주체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아시아 이주 연구의 허브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아시아 이주연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국내외 이주 전문가 네트워크를 마련하고, 한국 및 아시아 각국의 전문가들과 이주정책과 쟁점을 탐색하며, 학술행사 등 교류를 통해 그 성과를 확산하고자 한다.
- 아시아 이주 연구의 기초 데이터베이스 구축: 국내외 이주연구자, 관련 기관, 주요문헌, 이주정책, 학술행사, 간행물 등 이주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의 DB 구축
- 대만 국립대 글로벌아시아센터와 협력하여 아시아 맥락에서 등장하고 있는 이주현상의 특징을 이론화하고 다양한 경험연구 개발 및 각 국의 이주정책 비교연구
- 저출산고령화 및 다문화사회로의 급속한 전환과정에서 선주민과 이주민 간의 사회통합 과정 연구
- 이주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국내외 연구자, 정부 기관, 국제기구, 시민사회의 이주 전문가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아시아 이주 연구의 허브로 기능하고자 함
- 아시아 이주 전문가 콜로퀴엄: 국내외 아시아 이주 연구의 전문가의 강연 시리즈로 “아시아”의 이주를 둘러싼 연구주제를 발굴하고 정책대안을 모색함
- 정현주·김정섭 외(2025). 메가아시아 관점에서 다문화공간 재사유하기: 김해시 외국인거리를 사례로. 인문논총 81(4)
- 최선영(2024). 종합적 이민정책 수립을 위한 이민자 유입, 정착, 통합 의 단계별 접근: 지역특화형 비자 사업 시행 지역의 외국인정책을 대상으로. 지역연구 40(4)
- Koo, G.Y. (2024). Wavering Theocratic Ideology and the Politicization of Shia Identity: Iran’s Ideological Rifts Amid Geopolitical Maneuvers. As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32(2)
- Jung, H.J. et al. (2024). The Impact of Educational Migration in the Transition to a Modern City: Focusing on Bukchon as the Locus of Educational Migration to Gyeongseong.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37(1)
- 허정원 외(2024). 정주형 이주민의 부모초청 제도 활성화 방안 재검토: 사회통합과 돌봄의 관점에서. 다문화와 평화 18(1)
- 구기연 외(2024). 소프트 파워를 통한 UAE 실리 외교 전략: 종교적 화해 메시지를 중심으로. 한국이슬람학회논총 34(2)
- 구기연 외(2024). 아슈라 의례의 의미 변화 분석 – 애도의 의례에서 저항의 상징으로-. 지중해지역연구 26(3)
- 허정원 외(2024). 이주민의 위협에 대한 지각 방식과 다문화 수용성. 공간과 사회 34(3)
- 장주영·허정원(2023). 근거 기반의 이민정책 수립을 위한 국내 이주민 대상 통계 검토, 공간과 사회 33(3)
- 구기연·백일순(2023). 환대의 관점으로 본 한국 사회의 무슬림 난민: 예멘 난민과 아프간 특별기여자 사례 비교연구, 공간과 사회 33(3)
- 박혜현·정현주(2023). 민족-공간적 ‘차이’에 대한 선택적 포용과 배제: 대림동 조선족 집적지를 둘러싼 로컬 스케일의 신자유주의적 다문화정책과 담론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다문화 13(4)
- 최선영·김율희(2023). 이민현상에 대한 지방정부의 자율적 대응 -제3차 대전광역시 외국인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6(3)
- 허정원(2023). 미얀마 민주화를 위한 한국인들의 연대 노력: 소셜미디어 분석을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1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