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지구 #한반도-아시아의지속가능성 #지식행동네트워크 #복잡계과학 #비저니어링
미래지구 프로그램은 인류가 당면한 다양한 도전과제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미래상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국제 연구네트워크 ‘Future Earth(2012년 출범)’를 국내 및 서울대 내에서 구현하기 위해 출범하였고, 이를 위해 2019년 아시아연구소에 미래지구 한국위원회 사무국을 유치하였다. 자연과학-인문사회과학 간의 대화와 연구협력을 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반도와 아시아의 지속가능성 증진을 위한 이론 및 모델 개발과 이해당사자 간 네트워크 확장을 위한 연구 및 교육 플랫폼을 제공한다.
- 글로벌 미래지구 플랫폼 분석, 구조조정 및 글로벌 사무국 허브 리뷰팀 참여
- 글로벌 지속가능성·연구·혁신 총회 2021에서 ‘생태-사회시스템 건강을 위한 아시아-태평양 지역허브 구축: 도넛 삼중고 비저니어링’ 대안 세션 주관
- 국제 워크숍 ‘한국과 메콩 국가 간의 COVID-19 발병 통제에 대한 경험, 모범 사례 및 교훈 공유’ 태국 출라롱꼰대 아시아연구소와 공동주관
- 한·중·일 연구재단 동북아 국제심포지엄 ‘동북아 미래지구에 대한 접근: 기후변화와 그 영향’ 초청 발표 및 ‘동북아 생태학과 사회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 세션 주관
- 숲과나눔재단 환경포럼 ‘아시아와 환경’ 국제 특별세션 공동운영
- 서울연구원-아시아연구소 공동기획 ‘전염성 질병시대 대도시 방역과 도시전환 전략’ 북챕터 게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특별호 ‘농림기상학의 재고: 대전환’ 편집 및 논문 게재
- 김준(2021). 비저니어링: 지속가능성으로의 전환을 위해 필수이나 등한시된 프레임워크.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3(4)
- 김준(2021). 케이트 레이워스, ‘도넛 경제학: 21세기 경제학자처럼 생각하는 일곱 가지 방법’ Chelsea Green Publishing(2017),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3(4)
- 김준(2021). 복잡계로 본 코로나19 대응의 三重苦와 세계 전망. 유니노믹 리뷰 3(3)
- 김준 외(2021). 한국 김제의 벼 경작 시스템의 기후스마트농업(Climate-Smart Agriculture) 기반의 평가.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3(4)
- 김준·양현영(2021). 북챕터 12장: 대도시 코로나19 대응시스템 비교: 회복성, 복잡성 그리고 전환. <전염성 질병시대 대도시 방역과 도시전환 전략>. 서울연구원
- 양현영 외(2021). 광릉 낙엽활엽수 노령림의 CO2 수지 역학: 15년 관측으로부터의 교훈.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3(4)
- 엄은희·배경민(2021). 북챕터 8장: 메트로마닐라의 코로나19: 권위주의적이고 강압적인 중앙정부의 대응. <전염성 질병시대 대도시 방역과 도시전환 전략>. 서울연구원
- Talucder, M. S. A. (2021). 한국 김제의 벼 경작 시스템의 기후스마트농업(Climate-Smart Agriculture) 기반의 평가.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 박사학위논문
- 양현영 외(2020). 미국 네브라스카의 관개된 옥수수 농업생태계의 복사, 에너지 및 엔트로피의 교환.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2(1)
- 엄은희·구기연 외(2020). <여성 연구자, 선을 넘다>. 도서출판 눌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