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연구소 연구인턴 2기 워크숍 시리즈
프로그램 제목: 아시아연구소 인턴 2기 워크숍 시리즈 <아시아학 개론> 주제: 중앙아시아의 과거, 현재, 미래 발표: 신범식 교수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일시: 10월 10일 금요일 14:30~16:30 장소: 아시아연구소 406호 문의: jaeheelee100@gmail.com 2기 인턴 이재희
Seminar on Asia and Global Economic Order
안녕하세요. 아시아 연구소 위험관리 프로그램입니다. 저희 연구팀이 주최하는 “Seminar on Asia and Global Economic Order”가 다음과 같이 개최될 예정입니다. 이에 대한 관심과 많은 참석 부탁드립니다. – 일 시: 2014년 9월 26일 금요일 오후 5:00~6:00 – 장 소: 101동 304호 (아시아연구소 세미나실) – 발표자: 김동휴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 주 제: Comparison of […]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시민사회 프로그램 2014 워크숍 시리즈 Ⅲ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시민사회 프로그램 2014 워크숍 시리즈 Ⅲ 공적개발원조(ODA)와 시민사회의 개발협력 참여: 현황과 과제 발표자: 김 성규 박사 (Kim Sung-Gyu) 한국국제협력단(KOICA) ODA 연구팀 선임연구위원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교 사회학 박사 前 경제사회발전 노사정위원회 전문위원 관심 분야: 국제개발협력과 ODA -개도국 사회적 기회와 안전망 부문, 개도국 산업구조 전환과 노동시장 변화 주요 저서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지속가능한 성장과 사회통합을 위한 […]
『미-중관계 세미나』그 여덟번째. “China’s Strategic Rivalry with the U.S. in Southeast Asia”
『미-중관계 세미나』그 여덟번째. “China’s Strategic Rivalry with the U.S. in Southeast Asia” <미-중관계 연구프로그램>이 『미-중관계 세미나』시리즈의 여덟번째 세미나를 개최합니다. 본 세미나에서는 싱가포르 난양기술대학교(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Li Mingjiang 교수를 초청해 “China’s Strategic Rivalry with the U.S. in Southeast Asia” 라는 주제로 강연과 질의응답, 그리고 토론을 가질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개최 일시: 2014년 […]
아시아연구소 워크샵 – English-Language Academic Publishing: What Editors Expect and Common Mistakes by Authors
발표제목: English-Language Academic Publishing: What Editors Expect and Common Mistakes by Authors 강연자: Paul H. KRATOSKA Dr Paul H Kratoska is Publishing Director for NUS Press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A former editor of the Journal of Southeast Asian Studies, he is a Regional Editor fo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sian Studies […]
SSK International Workshop on Asia and World Trade
안녕하세요. 아시아 연구소 위험관리 프로그램입니다. 저희 연구팀이 주최하는 “SSK International Workshop on Asia and World Trade”가 다음과 같이 개최될 예정입니다. – 일 시: 2014년 6월 27일 금요일 8:00~16:00 – 장 소: 101동 303호 (아시아연구소 국제회의실) – 내 용: Eric Bond (Vanderbilt University ), “Tariff Overhang: Theory and Evidence” Ian Wooton (Strathclyde Business School), “FDI, Trade Costs and Regional Asymmetries” […]
동아시아의 상상계, 전통, 그리고 포스트모더니티
Imaginaire, traditions et postmodernite dans le monde est-asiatique 동아시아의 상상계, 전통, 그리고 포스트모더니티 시간 : 6월17일 오후 3:30~ 5:30 장소 : 아시아연구소 406호 세미나실 주최 : 대중문화프로그램 (문의 류연미조교 010 9392 3375) Tacussel, Patrick (파트릭 타퀴셀) (1956 ~ ) 폴 발레리 몽펠리에 3 대학 사회학과 교수 : 19세기를 전공하는 학자로서, 사회적 상상계와 형상적 사회학 전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