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과학자료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이관 개원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서울대학교 아시연구소 이관 개원식에 초대합니다. 한국사회과학자료원(KOSSDA)이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에서 새롭게 출범합니다. KOSSDA는 2006년 설립 이래 불과 10년 만에 선진국 수준의 사회과학 자료센터로 발전하였습니다. 교육 및 연구와의 결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서울대학교를 아시아 데이터아카이브의 허브로 구축하기 위해 2015년 7월 재단법인 한국사회과학자료원과 서울대학교는 KOSSDA 사업과 조직을 서울대학교로 이관하는 협약을 체결하였고 이제 그 출범을 알리고자 합니다. KOSSDA […]
2015 동아시아 창의 청년 워크숍 4 “Us and Them : Korean Indie Rock in a K-Pop World”
2015 동아시아 창의 청년 워크숍 4 “Us and Them : Korean Indie Rock in a K-Pop World” 동아시아 청년 워크숍은 ‘창조경제’와 ‘창의산업’이 부각되고 있는 이 시대에, 창의적 문화예술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동아시아의 청년 세대를 연구하려는 취지로 마련되었습니다. 이를 위해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과 현장의 활동가들을 모시고 창의 산업과 예술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당대 청년들의 꿈과 고뇌, […]
소비자 연구에 대한 기업의 요구 변화와 새로운 조사 방법 소개
급변하는 사회 트렌드와 비즈니스 환경에 대응하여 기업의 조사의 목적과 기대 또한 과거와 다르게 변화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본 강연에서는 현재 기업 리서치 컨설턴팅 실무자 입장에서 느끼는 조사에 대한 기업들의 요구 변화를 소개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리서치 어프로치들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강연을 통해 1~2월에 기획하고 있는 동남아센터 연구원들의 현지 시장조사에 큰 도움을 얻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초국적 이동과 공간의 변용에서 본 다롄연구
국가나 영토의 논리 보다 이동과 흐름의 논리를 바탕으로 새롭게 아시아를 상상하기 위한 연구로서 초국경 아시아 프로그램이 출범하였다. 그 중 다롄연구팀은 동아시아에서 중요한 지정학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다롄을 중심으로 특히 한국과 관련된 개인, 집단, 물자 등 다양한 이동과 흐름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다롄대 교수를 비롯해서 국내외 연구자 9명이 때론 공동으로 때론 개별로 진행한 연구 성과들을 한 […]
무브온(MoveOn) 효과: 한국 시민정치의 전환
서울대 아시아연구소.한국정치연구소 공동콜로키움 무브온(MoveOn) 효과: 한국 시민정치의 전환 발표자: 안병진 교수 (경희사이버대) 일시: 2015년 12월 16일(수) 16:00~18:00 장소: 아시아연구소 406호 문의: 아시아연구소 <민주주의와 경제발전 프로그램> (02-880-2110, gyong0507@gmail.com), 한국정치연구소 (02-880-6314, 8806314@hanmail.net)
우즈베키스탄과 고려인 전통생활문화
중앙아시아 지역의 형성과 역동성: 유라시아 공간의 주변에서 중심으로
중앙아시아센터 기반구축 프로젝트는 2014년에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대응”이라는 주제 하에 현재 세계적인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과 그 서쪽 접경에 위치한 중앙아시아 지역에 있는 국가들의 대응양상을 중심으로 중앙아시아 5개국의 상황을 세밀하게 분석했다. 이러한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2015년에는 중앙아시아 지역에 보다 초점을 맞추어, 변화된 주변 환경 속에서 중앙아시아 지역 국가들을 원의 중심으로 놓고, 중앙아시아 지역 국가들이 유라시아 […]
Beyond Boundaries: IIAS’s Current Activities aimed at Framing Asian Studies in the Global Context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특별강연 Beyond Boundaries: IIAS’s Current Activities aimed at Framing Asian Studies in the Global Context 발표자: Philippe Peycam (Director of the IIAS, Leiden) 일시: 2015년 12월 10일(목) 14:00 ~ 16:00 장소: 아시아연구소 303호 주최: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문의: 김고운 (tel: 02-880-2693, email: gounkim@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