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도 상반기 아시아연구소의 아시아연구 연합학술회의
프로그램 14:00 ~ 16:00 – 세션발표 1. 중국의 부상 (장소: 아시아연구소 406호) 사회: 김종철 박사(아시아연구소) 발표 1. 정재호 교수 (미중관계 프로그램) “미중간 공적 인식(Official Views)의 분석” 발표 2. 황진태 박사 (동아시아 도시연구단) “The Production of an Economic Territory: Chinafrica” 2. 아시아시민사회 (장소: 아시아연구소 304호) 사회: 박배균 (국제교류부장) 발표 1. 엄은희 박사 (동남아시아센터) “유역단위 시민사회 활동가 네트워크 분석: 메콩스쿨을 […]
지적재산권, 무역, 표준화 워크숍
본 국제학술대회는 아시아-글로벌 경제질서프로그램(CAGEO)의 기획과제인 “혁신·창조활동의 아시아로의 이동에 따른 세계경제질서의 변화 방향” 의 추진과 함께 기획된 학술행사로, 혁신·창조 활동을 연구하는 국내외 학자들을 초빙하여 학술교류를 할 계획이며, 특히 아시아지역 학자들을 초빙하여 관심 있는 연구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아시아지역의 관련 학자들과의 연구 네트워크를 강화해 나가고자 한다. IPR, Trade, and Standardization Workshop May 30, 2016 Seoul National University […]
제 5기 동남아시아 지역전문가 심화과정 – 인도네시아편
제 1강. 열대우림에서 도시로 나온 인도네시아의 한국기업들 엄은희 (선임연구원,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엄은희는 2008년 “필리핀의 광산개발과 환경의 신자유주의화”를 주제로 서울대학교에서 지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동남아지식정보센터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엄은희는 동남아시아의 각국에 대한 지리학적 이해, 특히 지역/지구적 수준에서의 사회경제적 역동성과 이로 인한 자연환경의 변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엔 인도네시아의 한인기업 연구, 메콩지역의 수자원 개발과 환경갈등, […]
국제기구 전문가가 말하는 아시아의 지속가능한 개발 : SDG의 의미와 전략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중점연구소 특별강연 시리즈 II > 국제기구 전문가가 말하는 아시아의 지속가능한 개발 : SDG의 의미와 전략 국제개발협력 분야 및 국제기구 진출에 대한 국내 청년들의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 속에서 아시아 연구소는 국제기구에서 근무하는 고위급 아시아지역 전문가를 초청하여 교내 학생 및 차세대 연구자 대상 강연회를 개최하고자 합니다. 동 강연회의 주요 목적은 아시아지역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국제기구의 […]
중앙아시아와 이슬람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중앙아시아센터 콜로키움 중앙아시아와 이슬람 중앙아시아 이슬람의 특징을 연구하는 목적으로 – 중앙아아 지역 국가들의 이슬람 금융에 대한 논의, –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이슬람 정책: 권위주의 확립을 위한 전략적 선택에 대한 논의 등 문제들을 논의할 예정이다.
『미-중관계 세미나』, No. 22. “TPP와 미국의 식량전략”
<미-중관계 프로그램>이 『미-중관계 세미나』를 아래와 같이 개최합니다. 『미-중관계 세미나』, No. 22. “TPP와 미국의 식량전략” 강연자: 쉬전웨이 교수(난카이대학교) 개최 일시: 2016년 5월 18일(수) 12시 개최 장소: 아시아연구소(101동) 406호 중국어 강연이며, 순차 통역 제공됩니다. 간단한 식사를 제공합니다. 문의: <미-중관계 프로그램> 이한나 간사 (hnl@snu.ac.kr / 02-880-2087)
<2016 서울대 아시아연구소-명지대 중동문제연구소 공동강연 시리즈> 네가지 주제어로 보는 현대 서아시아
기획의도: 2011년 1월 튀니지에서 시작된 ‘아랍의 봄’ 민주주의 향기가 아름다운 꽃을 피우지 못하고 살상과 폭력이 서아시아를 뒤덮고 있다. IS의 잔인한 살육과 무자비한 공세에 따른 시리아, 이라크, 리비아의 혼란은 언제 끝날지 기약이 없어 보인다. 유가 하락에 따라 그동안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던 산유국마저 휘청대고, 이란 핵을 둘러싼 국제간 협의가 이뤄짐에 따라 새로운 시장에 대한 염원은 커졌지만 투자전망은 여전히 […]
China and Japan: assembling decentralised regionalism in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동남아센터 초청강연 This talk, after providing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ge of regionalisation in the GMS, will focus on a Southeast Asian development paradigm that challenges Western models and defies the laws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when detached from trans-disciplinary area studies. In particular, regionalisation in Southeast Asia will be analysed thoug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