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중앙일보] 한국, 신냉전 뚫을 무기는 한류...미·중에 다 통할 '기회의 창'2023-01-16 09:47
작성자 Level 10

1950년 1월 미국은 소련과 중국의 확장을 막기 위한 애치슨 라인을 발표했다그리고 5개월 뒤 애치슨 라인 밖에 위치하게 된 한반도에선 전쟁이 발발했다. 73년이 지난 2023년 한국은 다시 미ㆍ중의 공급망 전쟁으로 그려질 ()애치슨 라인의 최전선에 서 있다.


중앙일보는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소장 박수진 교수)와 함께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 한국 외교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획 시리즈를 마련했다. ‘아르스프락시아는 아시아연구소의 의뢰로 2020년 1~2022년 9월 30일까지 한ㆍ미ㆍ일ㆍ중 4개국 824개 언론사의 기사 550만여건을 빅데이터 분석했고, ‘한국리서치는 지난달 6~9일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심층 웹설문 조사를 진행했다.(95% 신뢰수준ㆍ표집오차 ±3.1%ㆍ비례할당 후 무작위 추출)


83ae4bdb-98e9-46a6-a032-8dfef998e169.jpg

2021년 11월 28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소파이 스타디움에서 방탄소년단(BTS) 콘서트가 열렷다. 세계 각국의 팬들이 운집하며 보랏빛 물결이 스타디움을 채웠다. 연합뉴스


·중을 양축으로 국제사회가 이합집산하는 최근의 신냉전 구도에서 한류(韓流)가 정부의 외교 목표를 견인할 기회의 창으로 떠오르고 있다. ·중 경쟁이 거세지며 각국은 피아(彼我)를 구분짓고 있지만, 대부분의 국가가 한류에 대해선 열린 마음으로 호응하고 있어서다. 특히 미··3국의 경우 한류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

 

중앙일보와 서울대 아시아연구소가 한···4개국의 언론 매체 824곳이 최근 3년간 보도한 영문기사 550만건을 빅데이터 분석한 결과 한류에 대한 언급량은 총 2319회로 집계됐다. 물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선정된 10대 이슈 중 코로나19 팬데믹(214165)이나 기후변화(52242) 등 다른 글로벌 이슈와 비교했을 때 한류에 대한 언급량 자체가 많은 편은 아니다. 다만 최근 3년간의 언급량 변화 추이를 바탕으로 미래 관심도 증가 폭을 예상한 가속도수치는 +548.8로 상위권에 속했다. ··3개국에서 한류는 '미래 이슈'로 각광받고 있다는 의미다.

 

코로나 지고 한류 뜬다메가트렌드 된 한국 문화콘텐츠


06abfacb-533e-4f0b-9ab5-c21de182a8fe (1).jpg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코로나19 팬데믹의 경우 가속도 수치가 –3751.2로 관심도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고, 기후변화(+305.0) 역시 한류보다 가속도가 낮았다. 국제사회의 판도와 질서 자체를 뒤흔드는 미·중 경쟁 역시 가속도는 –22.7에 불과했다. 이는 미·중 경쟁을 이슈 차원에서 바라보는 것이 아닌 오랜 시간 장기화할 고정 변수로 여기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dd56411a-c358-4cde-9f96-a0a0c2b9f4e2.jpg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이에 비하면 한류는가속도척도로 볼 때 지금보다 빠르게 세계 각국의 주요 관심사가 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다만 정작 한국 내에선 한류 가속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내에서의 한류 가속도는 +27.7로 집계됐는데, 이는 미국(+350.0)과 일본(+63.3)은 물론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 여파가 여전한 중국(+107.8)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국제사회에선 이미 한류가 핵심 글로벌 이슈이자 트렌드로 자리 잡았음에도 정작 국내에선 한류가 가진 소프트파워가 주목받지 못하고, 이를 활용할 준비가 부족하다는 의미다.


빅데이터 분석을 맡은 김도훈 아르스프락시아 대표는 ··중을 포함한 국제사회에서 이미 한류는 문화 현상을 넘어 하나의 트렌드가 됐고, 관심도 역시 빠르게 증가하며 한국의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하고 있다다만 국내에선 한류에 대한 가속도 지수가 낮다는 점에서 알 수 있듯 민관 모두에서 한류 활용법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중 모두 한류에 호응호감도 상승 견인


e0d0957a-1e59-4194-bb7b-87285a586b56.jpg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1227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 자유홀에서 '오징어게임'으로 미국 에미상 감독상을 수상한 황동혁 감독과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배우 이정재에게 금관문화훈장을 수여했다. 뉴스1

 

한류의 힘은 너와 나를 가르지 않는 포용성과 개방성에 있다. 경쟁 중심의 안보 개념인 공급망(supply chain)과 달리 한류로 대표되는 문화망(culture chain)’은 우호와 협력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 실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이 지난해 9월 발표한 ‘2022 글로벌 한류 트렌드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각국에서 한류를 경험한 이후 한국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었다는 답변은 평균 64.2%에 달했다. 특히 인도(83.2%), 태국(82.4%), 베트남(80.2%) 등 동남아 지역에서 한류에 대한 높은 호응도를 보였다.


830324f0-e303-42cb-877d-6484aee58153.jpg


또 한국의 동맹국인 미국과 최대 경제 교역국인 중국 모두에서 한류는 강력한 소프트파워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은 매년 한국의 문화 콘텐트가 갖는 영향력을 수치화한 '한류 브랜드파워지수(BPI)'를 발표하는데 지난해 기준 미주 지역에서 미국의 한류 BPI가 64.2점으로 가장 높았다. 중국의 경우 한류 BPI 지수가 67.9점으로 집계됐는데, 아시아의 한류 거점으로 꼽히는 태국(66.8점)과 대만(66.4점)보다 높았다.


77e197ca-49c9-4082-9b1b-779c924ce15c.jpg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호감도의 척도로 평가되는 한국 방문 의향조사에서도 세계 인구 10명 중 6명이 한국을 방문하고 싶은 국가로 평가했다. 아프리카의 경우 한국을 방문할 의향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76.5%가 그렇다고 답했다. 중동은 이같은 비율이 67.0%였고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에서도 66.8%가 한국을 방문하고 싶다고 답했다.

 

"문화로 다른 나라 매혹할 주체 됐다"


369c41d9-7f57-4a18-b03f-8dfbd5497452.jpg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한류는 한국에 대한 이미지도 바꿔놓고 있다. 과거 국제사회가 바라보는 한국의 이미지는 분단국가나 북핵 등 전쟁과 연관된 키워드가 주를 이뤘다면, 이제는 한류가 한국의 대표 이미지로 자리 잡았다. 아프리카·중동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케이팝을 한국의 대표 이미지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오세아니아의 경우 한국의 대표 이미지로 한류를 꼽은 비율이 16.2%에 달했고, 북미와 중남미 등 미주는 16.1%, 유럽은 10.3%였다.


6e6d89b1-f219-4ae9-b3b3-e8fb11141b31 (1).jpg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이같은 결과는 한류가 이미 각국의 문화 콘텐트 시장에 깊숙이 침투해 있음을 보여준다. 각국의 전체 문화 콘텐트 소비 중 한류 콘텐트가 차지하는 비중을 물은 결과 중동의 경우 34.4%에 달했고 아시아·오세아니아는 29.9%, 미주는 23.9%로 집계됐다. 한류 콘텐트가 자국의 문화 콘텐트 만큼이나 광범위하게 유통·소비되고 있다는 의미다.

 

홍석경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이제 한국은 과거 식민 시절의 착취에 시달렸던 나라도 문화적 역량을 지닐 수 있고, 자력으로 쟁취한 민주화를 통해 개화한 문화적 내용으로 다른 나라를 매혹할 수 있는 문화적 주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산업적이든 외교적이든 (한류에 대한) 더욱 정교하고 세련된 접근과 활용법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기사원문 바로가기 한국, 신냉전 뚫을 무기는 한류...미·중에 다 통할 '기회의 창' [新애치슨 시대] | 중앙일보 (joongang.co.kr)

#중앙일보#신애치슨시대#서울대#아시아연구소#트렌드#신냉전#한류 가속도#한류 제한령#결과 한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