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도시사회센터 | editor
2
archive,paged,author,author-editor,author-2,paged-16,author-paged-16,ajax_fade,page_not_loaded,,qode-theme-ver-16.5,qode-theme-bridge,disabled_footer_top,wpb-js-composer js-comp-ver-5.4.5,vc_responsive

Author: editor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 발발로 인해 세계 곳곳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와중에, 한국의 질병통제 시스템이 크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아시아도시사회센터의 공동연구원인 손정원 교수님(UCL)은 "The Conversation"와 "Deutsche Welle" 등 해외 매체에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를 막기 위해 활용되고 있는 기술과 감시체계에 관한 논평을 기고하고 인터뷰를 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진단 기술뿐만 아니라, 확진자와 접촉자의...

[도시전환랩_브런치] 서울대학교 아시아도시사회센터는 서울시 상도동 주민들이 에너지 전환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10여 년 이상 진행해 온 다양한 활동을 기록하고 지원하기 위한 현장연구 활동을 준비해왔습니다. 상도동의 주민그룹과 함께 2019년 서울시 미래혁신포럼에 참여한 것을 계기로, 2020년부터는 한층 더 다가가는 현장연구를 진행합니다. 연구를 진행하는 H, S, D는 브런치를 통해...

[새 논문 출판 안내]   본 센터의 전임연구원 황진태 박사님의 새로운 논문이 출판되어 소개합니다. 권희조(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학사)님과 함께 작업한 이번 논문은 “사회운동공간에서 ‘차이들을 위한 영역화’ 전략에 대한 검토: 2016년 광화문 촛불집회 페미존을 사례로” 라는 제목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에 게재되었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사회운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차이들을 위한 영역화’ 과정에 주목해,...

Neoliberal Urbanism, Contested Cities and Housing in Asia Editors: Chen, Yi-Ling, Shin, Hyun Bang (Eds.) Considering Asian cities ranging from Taipei, Hong Kong and Bangkok to Hanoi, Nanjing and Seoul, this collection discusses the socio-political processes of how neoliberalization entwines with local political economies and legacies of ‘developmental’ or...

[논문 안내] 아시아도시사회센터의 공동연구원인 제이미 듀셋 교수(맨체스터대학)는 "Environment and Planning C" 학술지에 "Anxieties of an emerging donor: The Korean development experience and the politic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This article examines recent knowledge sharing initiatives aimed at promoting South Korea’s development experience as...

자세히 보기: https://brunch.co.kr/@snucaus/3 서울대학교 아시아도시사회센터는 상도동 주민들이 에너지 전환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10여 년 이상 진행해 온 다양한 활동을 기록하고 지원하기 위한 현장연구 활동을 준비해왔습니다. 상도동의 주민그룹과 함께 2019년 서울시 미래혁신포럼에 참여한 것을 계기로, 2020년부터는 한층 더 다가가는 현장연구를 진행합니다. 연구를 진행하는 H, S, D는 브런치를 통해...

“지역사회영향평가 정책세미나(Policy Seminar on Community Impact Assessment)”를 2020년 2월 18일(화)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삼익홀에서 개최합니다. 본 세미나는 각종 지역개발 관련 정책 및 사업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강제퇴거, 이주 등)을 사전에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분석하여 그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 하는 대응방안을 마련하도록 하는 '지역사회영향평가제도'를 합리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각계의 다양한...

[안내] 2월 13일(목) 오후 2시-6시, 아시아연구소 303호 아시아도시사회센터 18회 콜로키움 개최 이번 워크숍은 도시사회학자 앙리 르페브르로 시작되어 닐 브레너, 슈미트로 이어지는 행성적 도시화 이론의 동아시아적 재해석을 시도한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대만국립대학교 지리학과에 Ling-I 연구원과 같은 학과 박사과정 Brian Scanlon이 발표를 진행한다. 이들은 행성적 도시화 이론의 내파적 외파적...

DMZ 평화지대 3-1 고성 유엔평화도시 모색과 통합적 미래로의 전환 박배균 센터장은 오는 2월 10일 평창평화포럼에서 "DMZ 평화지대 세션: 고성 유엔평화도시 모색과 통합적 미래로의 전환" 세션에 발표를 진행한다. 박배균 센터장은 이번 발표에서 동아시아 냉전 도시들이 가진 특성과 한국 고성이 가진 평화도시 담론의 전개 방향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한국의...

본 센터의 선임연구원 황진태 박사의 새 논문이 출판되었습니다. <공간과 사회> 12월호(vol.29 no.4 통권 70호 pp.118-156)에 게재된 이번 논문은 “북한도시연구방법론으로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용에 관한 시론: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입니다. 이 논문은 기존의 북한 도시 연구를 위한 방법론들이 가진 접근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스타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sns 매체의 활용 가능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