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도시사회센터 | Articles
177
archive,category,category-articles,category-177,ajax_fade,page_not_loaded,,qode-theme-ver-16.5,qode-theme-bridge,disabled_footer_top,wpb-js-composer js-comp-ver-5.4.5,vc_responsive

Articles

왜 미군 위안부는 잊혀져야 했는가? – 기지촌의 로컬리티와 기억의 정치 Why ‘U.S. Camptown Prostitutes’ had to be forgotten? - The locality of US camptown and politics of memory 로컬리티 인문학 2021, vol., no.25, pp. 39-76 (38 pages) 백일순 /Yilsoon Paek  <초록> 미군 위안부에 대한 기억에 있어 사회적인 합의가 부재한 가운데, 본 연구는 미군 기지촌이...

박윤혜, 백일순 (2021) 돌봄의 위기와 대안으로서의 커먼즈 : 협동조합형 아파트 공동체 위스테이 별내를 사례로 , 공간과 사회, 75, 208-245 돌봄의 위기와 대안으로서의 커먼즈 : 협동조합형 아파트 공동체 위스테이 별내를 사례로 Caring Crisis and Commons as an Alternative Approach: A Case Study of WeStay Byeollae <초록> 코로나 19 위기가 지속되고...

[출판 소개] 2020년 9월호 <공간과사회>에는 아시아도시사회센터의 정현주 교수(부센터장)와 황진태 박사(선임연구원)가 함께 “코로나-19의 사회-공간 읽기”를 주제로 특집호를 기획하였습니다. 아래 목차를 참고하시고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공간과 사회(2020년 제73호) 목차]   ● 특집논문: 코로나-19의 사회-공간 읽기 [편집의 글] 코로나-19의 사회-공간 읽기: 코로나-19 발생과 전개의 분석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전망_ 정현주·황진태 스웨덴의 코로나19, 정책대응과 미스매치_...

[논문출간 안내] 성장 연합에서 지방정부의 역할 변화와 이데올로기의 조응 - 파주 용주골을 사례로 - The Correspondence between Changes of Local Government in Growth Coalition and Ideology –A Case Study of Yongjugol – 문화역사지리 2020, vol.32, no.2, 통권 73호 pp. 95-115 (21 pages)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백일순 /Yilsoon Paek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초록> 본 논문은...

[논문출간 안내] 모빌리티스 패러다임으로 본 개성공단: 새로운 모빌리티스 시스템으로서 개성공업지구 통근버스가 만들어 낸 사회-공간  대한지리학회지 October 2020. pp. 521-540 백일순,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아시아도시사회센터 선임연구원 정현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부교수 홍승표,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박사 수료 본 논문은 개성공업지구와 개성시를 포함하여 공단 주변 일대에 운영되었던 ‘통근버스’가 새로운 모빌리티 시스템으로서 작동하면서...

[논문 안내] 아시아도시사회센터의 공동연구원인 손정원 교수(런던대)와 신현방 교수(LSE)는 "Annal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Geographers" 학술지에 "Contextualizing accumulation by dispossession: The state and high-rise apartment clusters in Gangnam, Seoul"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In an effort to contribute to the contemporary debates on accumulation by dispossession (ABD),...

Inclusive partners? Internationalising South Korea’s chaebol throug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linked development cooperation In recent years, non-traditional or ‘emerging’ donors such as South Korea have organised their development cooperation models in a manner that seeks to complement the capacities of the private sector by extending the overseas...

[논문 안내] 아시아도시사회센터의 공동연구원인 신현방 교수(LSE)와 동료들은 "City" 학술지에 "Whither progressive urban futures? Critical reflections on the politics of temporality in Asia"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빠른 경제성장과 압축적 발전을 경험한 아시아와 그에 따른 "fast urbanism"과 시간성의 정치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진보적 도시의 미래를 향하기...

[새 논문 출판 소개] 2020년 3월호 <공간과사회>에는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이정필 연구부소장과 아시아도시사회센터 황진태 박사가 함께 "한반도 에너지전환을 위한 이론적 실천과 과제" 를 주제로 특집호를 기획하였습니다. 이번 특집호에는 황진태, <한반도 에너지 전환의 개념화를 위한 시론>, 이정필, 권승문, <한반도 에너지전환 경로와 시나리오 구상하기>, 한재각, <한국 에너지전환의 미래: 다양한 스케일의...

[새 논문 출판 소개] 2020년 3월호 <공간과사회>에는 본 센터의 공동연구원으로 참여 중인 한신대학교 이상헌 교수님의 "한국사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녹생전환 정책" 논문이 게재되었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녹색전략'이라는 담론적 지형들을 검토하고 '전환'의 의미 속에 담긴 다양한 갈래들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에서 지속가능한 녹색전략들을 평가하고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