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acweelry-2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4 SNUAC WEEKLY (1월 첫째 주)
다양성+Asia 아시아 브리프
 
FEATURES THIS WEEK
아시아리뷰-11-2-표지_2교-1

[출판] 아시아연구소 정기 학술지 『아시아리뷰』 13권 3호(통권 29호) 발행

아시아연구소에서 연 3회 발행하는 정기 학술지 『아시아리뷰』 13권 3호 (통권 29호)가 발행되었습니다.

Read More

[소식] 아시아지역리뷰웹진 〈다양성+Asia〉12월호(23호) 발간

아시아연구소에서 연 4회 발행하는 아시아지역리뷰웹진 <다양성+Asia> 12월호(23호)가 발간되었습니다.

Read More
축소_20231206 이슬람사원방문행사 사진 1

[소식] 베트남 제4지역 정치학원(Học viện Chính trị khu vực IV) 방문단 아시아연구소 내방

2023년 12월 21일 목요일 오전 9시, 베트남 제4지역 정치학원 방문단이 교류와 협력을 논의하기 위해 아시아연구소를 방문하였다.

Read More
19%ea%b8%b0-%ec%9d%b8%ed%84%b4%eb%aa%a8%ec%a7%91

[공지]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19기 연구연수생 아시아지역전문가과정 참가자 모집〈다양성+Asia〉12월호(23호) 발간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는 미래의 아시아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연구연수생 아시아지역전문가과정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연수생 아시아지역전문가과정은 다양한 교육과 훈련을 통해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아시아 연구와 연관된 학계 및 사회에서 우수한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Read More
UPCOMING EVENTS
20231219_poster
240110_poster
ASIA BRIEF
asiabrief_3-58-3

한일관계의 국면전환과 대일외교의 과제

조양현 (국립외교원)

2010년대는 한일관계에서 ‘잃어버린 10년’이었다. 윤석열 정부의 출범 이후 한일관계는 급속히 개선되어 대결에서 협력으로 국면이 전환되었다. 그렇지만 과거사 관련 국민적 자존심과 한일협력의 실익 사이에서 국론이 분열된 현실에는 변함이 없다. 반일과 혐한의 악순환을 끊고 한일 양국이 미래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 위해서는 한일관계의 중요한 역사적 사실과 긴박한 현실에 대한 대국민 설명 노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국제정세와 변화한 한일관계를 반영한 미래비전을 양국이 공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Read More
asiabrief_4-01

특집: 아시아연구소 소장 신년사
무엇을 해야 하는가? 지역학 연구의 국제적 허브를 꿈꾸며

채수홍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소장, 인류학과 교수)

어느덧 새해가 우리 곁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올해는 갑진년 청룡이 날아올라 기운이 넘치는 시간이라고 합니다. 모든 분께서 푸른 용의 기를 온전히 받으며 새해에도 건승하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지난 가을부터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소장의 역할을 맡게 되면서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내방객의 대다수가 몇 가지 사실에 즐겁게(!) 놀라는 모습을 자주 목격하고 있습니다. 손님들께서는 우선 기대 이상인 연구소 규모에 감탄합니다. 100명이 넘는 우수한 전임/공동/방문/객원 연구원, 조교, 행정직원이 6층의 독립건물에 북적거리는 모습을 목격하기 때문입니다. 한국은 물론이고 선진국에도 이러한 규모의 대학 산하 지역학연구소는 흔치 않습니다.

Read More
MEDIA

[EBS] 시대와의 대화 1부 "한국의 현대사와 함께 걷다" - 사회학자 임현진

[창립소장 임현진 교수(시민사회 프로그램 디렉터)]

Read More
구기연

[경향신문] 노벨 평화상 시상식 빈 의자

[구기연 HK연구교수(서아시아센터,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Read More
EVENT REVIEWS
축소_4

[한류연구센터] 아시아 시대는 케이팝처럼 온다

12월 18일 한류연구센터가 주최한 100분 토크 <아시아 시대는 케이팝처럼 온다>가 비대면으로 진행되었다.
Read More
축소_IMG_4044

[아시아이주센터] 한국인의 난민에 대한 태도: 담론과 실증적 분석의 차이

아시아이주센터와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에서는 2023년 12월 18일 오후 4시부터 아시아연구소 삼익홀에서 “한국인의 난민에 대한 태도: 담론과 실증적 분석의 차이”라는 주제로 이민정책연구원 장주영 부연구위원을 초청해 콜로키움을 개최했다.

Read More
축소_1219 브라운백 정면1

[아시아연구소] Leveraging Carbon Trad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Africa: A Win-Win Partnership with Korea

12월 19일 아시아연구소 브라운백 세미나에서 Kent Kamasumba 연구원의 <한국과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탄소 거래 활용: 아프리카의 윈-윈 파트너십>을 주제로 한 발표가 진행되었다.
Read More
KakaoTalk_20231226_123430349

[동북아시아센터] Connected Asia Revisited: Review on China’s BRI after its 10 years

-

Read More
축소_KakaoTalk_20231221_161311806_04

[동남아시아센터] 기후위기, 세계경제, 지속가능발전

2023년 2학기 동남아센터에서 개최한 마지막 초청강연은 한국환경연구원의 강상인 연구위원을 모시고 진행되었다.

Read More
KakaoTalk_20231211_133803177

[남아시아센터] 제1회 인도 문헌 연구 워크샵

남아시아센터에서는 연구활동 면에서의 네트워크 구축과 국내 전문가집단의 연구역량 강화를 위해 전문가들만이 참여하여 집중적으로 주제에 대한 토론을 이어가는 워크샵을 조직하고 있다.

Read More
축소_KakaoTalk_20231222_133748513

[남아시아센터] 제2회 인도 문헌 연구 워크샵

2023년 12월 15일에 남아시아센터의 제2회 인도문헌연구 워크샵을 개최했다.

Read More
‌
‌
‌
Share this on TwitterShare this on Facebook
You have received this email because you have subscribed to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s . If you no longer wish to receive emails please unsubscribe
webversion - unsubscribe - update profile

© 2025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