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3 SNUAC WEEKLY (11월 둘째 주) |
 |
아시아연구소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AsIA지역인문학센터가 11월 2일 수요일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2023 덩실덩실 AsIA 문화축제: 말레이시아 영상 문화제》를 개최하였다. 이번 덩실덩실 AsIA 문화축제는 한국연구재단 제18회 인문주간 참여 행사로, AsIA지역인문학센터와 말레이시아 모나쉬 대학 인문사회과학학부(School of Arts and Social Sciences, Monash University Malaysia)가 공동으로 주최하였다.
|
|
|
한국 발전주의의 변화와 지속
권형기 (서울대학교) 본 글은 대표적인 국가조정모델로서 1990년대 말 경제위기와 함께 본격적인 세계화의 흐름에 휩쓸리게 된 한국 모델이 2000년대 이후 어떻게 세계화에 적응해 왔으며, 그 과정에서 어떻게 단순히 과거 모델의 지속이나 해체가 아니라 ‘변화를 통한 지속’에 성공할 수 있었는지를 밝히는 데 주목하였다. 최근 예측하기 어려울 만큼 글로벌 정치경제 환경의 불안정성이 심화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세계화에 적응해 온 한국 국가조정모델의 경험이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
|
[AsIA지역인문학센터] 생물다양성과 국제협약
아시아연구소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AsIA지역인문학센터의 <아시아의 환경> 강연 시리즈 4강이 지난 11월 1일(수)에 진행되었다. 이번 강연은 “생물다양성과 국제협약”을 주제로 국립생태원 김목영 전임연구이 진행하였다.
|
|
|
[한류연구센터] 한류 외전
10월 30일 한류연구센터에서는 <한류 외전>이라는 제목으로 100분 토크를 진행하였다. 국내외 연구자 및 학생 64명이 참가한 가운데,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김윤지 수석연구원이 최근 저작 <한류 외전>을 주제로 발표했다.
|
|
|
[아시아연구소] 국제정세의 새로운 전개와 한일경제협력의 방향
10월 31일 아시아연구소 브라운백 세미나에서 정성춘 연구원의 <국제정세의 새로운 전개와 한일경제협력의 방향>을 주제로한 발표가 진행되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국경쟁속 자국에 유리한 전략을 구상하는 터키의 현주소를 알아보는 시간이었다.
|
|
|
[시민사회프로그램] 적과의 동침: 전 일본 대중문화보다 한국 것이 더 좋아요
시민사회프로그램은 10월 30일 아시아연구소 303호에서 2023년 아시아시민사회 특별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이번 행사의 발표는 일본 Kansai Gaidai 대학교 장원호 교수가 <적과의 동침: 전 일본 대중문화보다 한국 것이 더 좋아요(Frenemy: I Love Korean Pop Culture More Than Japanese)>라는 주제로 진행하였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