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온라인 매거진

아아: Asia&Asias 2025년 13호 (2025년 9월 4일)

웹진 < 아아: Asia&Asias > 2025년 13호의 주제는 베트남의 행정개혁과 중국의 AI 산업전략입니다.

<아시아 브리프>에서는 김용균 서울대학교 교수가 2025년 이루어진 베트남의 국가조직개혁을 설명하고 행정개혁이 지방 균형 발전과 같은 경제적 목표뿐만 아니라 중앙집권화와 또럼총비서의 권력 강화 등 정치적 목적도 추구한다는 점을 분석합니다

<다양성+Asia>는 ‘아시아-아프리카의 신산업’이라는 주제 아래 아시아 각 지역이 국제 경제적 변화에 대응해 육성하는 신산업 현황을 조명합니다. 이번 호에서는 백서인 한양대학교 교수가 중국의 AI 제조 혁신 현황을 통한 생산성 향상 양상을 살펴보고 한국에 중국 공급망의 전략적 활용을 제안합니다.

웹진 편집위원회

단행본

Constructing K-Multicultural Space from Below: A Case of Little Manila and Korean Catholic Church



정현주(아시아연구소 아시아이주센터)

이 글은 혜화동 ‘리틀 마닐라’를 중심으로 한국식 다문화 공간의 형성과정에서 한국 천주교회의 역할을 탐구한다. 한국의 이민정책은 경제적 실용성과 통제된 통합을 특징으로 하지만, 한국 천주교와 필리핀 공동체는 종교·사회·문화 기능이 결합된 자생적 다문화 공간을 만들어냈다. 국가 주도의 위로부터의 다문화 정책이 아닌, 종교와 시민사회의 아래로부터의 노력이 한국의 독특한 다문화 공존 모델을 형성하고 있다.

아연의 아시아연구

이주민의 위협에 대한 지각 방식과 다문화 수용성

『공간과 사회』 34권 3호

허정원(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 장주영(이민정책연구원)

이 글은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 사회의 이주민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했다. 인구사회학적 배경이나 지역적 요인보다는 막연한 불안감이 이주민 수용성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 위협 인식보다 추상적 불안이 이주민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형성하는 핵심 요인임을 보여준다.

종합적 이민정책 수립을 위한 이민자 유입, 정착, 통합의 단계별 접근: 지역특화형 비자 사업 시행 지역의 외국인정책을 대상으로

『지역연구』 40권 4호

최선영(아시아연구소 아시아이주센터 공동연구원)

현재 지역 이민정책은 이민자 유입과 사회통합에 집중되어 있으나 정착 지원 측면이 부족하다. 이 글은 이민자 유입–정착–통합의 단계별 접근을 강조하며, 특히 정착지원 정책이 사회통합보다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교육·보육, 의료·보건, 주거, 노동 등 구체적 분야에서 정책을 체계화하여 종합적 이민정책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제안한다.

타지키스탄의 아프간 난민: 정책과 환경에 의한 경제적 문제 고찰

『중소연구』 49호 1호

박지원(아시아연구소 중앙아시아센터 공동연구원)

이 글은 타지키스탄의 아프간 난민이 처한 정책적, 경제적 문제를 조명한다. 타지키스탄 정부는 인근 국가인 러시아, 중국, 우즈베키스탄의 압력으로 아프간 난민들에게 점차 적대적인 정책을 취하고 있으며, 타지키스탄의 열악한 경제 상황은 아프가니스탄 난민들의 어려움을 심화하고 있다.